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메뉴

A comparison of the mental health problems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and South Korean adolescents: Focused on gender and ag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bjectively evaluat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living in South Korea (NKAD, N=202), by comparison with South Korean Adolescents (SKA, N=194). The scores on 11 scales of Psychological State Inventory for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PSI-NKR-A) were compared across the country of origin, gender, and age. PSI-NKR-A is a brief self-report questionnaire designed to evaluate a broad range of psychological problems and symptoms of psychopathology of NKAD. MANOVA showed that NKAD had higher scores on Post-Traumatic Stress and Psychosis scales than SKA, while the latter had higher scores on Academic Stress. Female adolescent had higher scores on Depression, Somatization, Anxiety, Interpersonal Sensitivity, Low Self-Esteem, Academic Stress, Internalization Problems and Total Scores than Male adolescent, while the latter had higher scores on Conduct Problems.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higher scores on these scale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action effects of country of origin by gender and gender by age on Post-Traumatic Stress and Anxiety,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scales were significant. Analysis of the simple main effect showed that NKAD Female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Post-Traumatic Stress and Anxiety scales than NKAD Males, but SKA had no difference on these scales on their gender. High school Male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on Anxiety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scales than Middle school Male Students, Female adolescent had no difference on these scales on their age. Based on these result,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ere described.

keywords
탈북 청소년, 정신건강문제, 탈북 청소년 심리상태검사, 난민,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Mental health problems, Psychological State Inventory for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Refugee

Reference

1.

강승호, 정은주 (1999). 고등학생들의 스트레스와 학업성적 및 정신건강간의 관계연구. 교육심리연구, 13(4), 405-424.

2.

강효림 (2007). 탈북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관한 연구: 우울 불안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교육부 (2013). 탈북학생 주요통계자료.

4.

길은배, 문성호 (2003). 북한이탈 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 문제와 정책적 함의. 청소년학연구, 10, 163-186.

5.

김광일, 원호택, 김이영, 김명정 (1983). 고등학교 재학생의 정신건강 실태연구(Ⅱ): 집단심리검사에 의한 조사. 정신건강연구, 1, 41-50.

6.

김소아, 강민주 (2013). 정서조절, 정서적 자기개방 및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중․고등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4(5), 61-77.

7.

김수주 (2002). 중고등학생의 학교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희경, 신현균 (2013). 탈북 청소년용 심리상태검사 개발 및 신뢰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3), 521-541.

9.

민성길 (2001). 통일과 남북 청소년. 연세대학교 출판부.

10.

박유정, 이지연 (2009). 학업스트레스와 여고생의 폭식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2), 171-187.

11.

박윤숙 (2006).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특성과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백혜정, 길은배, 윤인진, 이영란 (2007). 남한내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심리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적응준비도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8, 183-211.

13.

보건복지부 (2002). 2001 국민건강․영양조사:보건의식행태편.

14.

양계민, 황순택 (2008). 입국초기 새터민 청소년들의 심리적 건강상태에 관한 탐색적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9, 333-358.

15.

양영은, 배임호 (2010). 학업중단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복지연구, 41, 189-224.

16.

유가효, 방은령, 한유진 (2004). 한국사회에서탈북 아동 청소년의 학업성취 및 사회적응: 초기 사회적응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185-196.

17.

윤 진, 최정훈 (1989). 청년기의 정신건강문제와 그 대처행동양식-고교 및 대학생에대한 기초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2(1). 16-35.

18.

이경숙, 김정호 (2000). 학업스트레스 대처훈련이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1), 43-59.

19.

이기영, 성향숙 (2001). 탈북자 가족 구성원의가족관계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탈북자가구주 및 그 배우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47, 243-271.

20.

이선윤 (2005). 북한이탈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총신대학교석사학위논문.

21.

이영진, 방수영, 최 선, 이해국, 김병후, 김원, 이상혁 (2008). 중, 고등학생의 한국판상태-특성 불안척도의 적용 연구. 신경정신의학, 47(5), 471-480.

22.

이현심, 박주현, 최덕경 (2011). 북한이탈청소년들의 한국생활 적응에 관한 현상학적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3, 309-341.

23.

이현지, 하은혜, 오경자 (2005). 청소년기 정서및 행동문제의 성차.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16(1), 117-123.

24.

장성봉 (2003). 지역조건에 따른 중고등학생의 정신건강실태, 학교생활실태 그리고 비행의 차이.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정병호, 양계민, 이향규, 임후남, 황순택 (2006). 새터민 청소년: 사회적응력 제고를 위한 교육방안 마련 연구. 경기도교육청.

26.

조경은 (2011).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중국 연변 조선족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조영아, 김연희, 김현아 (2011). 북한이탈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영향 요인. 청소년학연구, 18, 33-57.

28.

통일부 (2014). 북한이탈주민 입국 현황. 통일부 홈페이지.

29.

하은혜, 오경자, 송동호 (2003). 청소년기 우울및 불안증상 공존집단의 심리사회적 위험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2(2), 127-144.

30.

한만길 (2010). 탈북학생의 교육실태 분석 및 지원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1.

허정화 (2003). 중․고등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허준경, 이기학 (2013)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수준과 공격성향 간의 관계에서 자율성의조절효과 검증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0(3), 429-448.

33.

홍덕기 (2002). 탈북귀순 청소년의 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학교 및 사회생활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Carolyn Zahn-Waxler, C., Shirtcliff, E. A., & Marceau, K. (2008). Disorders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Gender and psychopathology.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4, 275-303.

35.

Crick, N. R., Ostrov, J. M., Burr, J. E., Cullerton-Sen, C., Jansen-Yeh, E., Ralston, P. (2006). A longitudinal study of relational and physical aggression in preschool.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7, 254-268.

36.

Cyranowski, J. M., Frank, E., Young, E., & Shear, M. K. (2000). Adolescent onset of the gender difference in lifetime rates of major depression:A theoretical model.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7(1), 21-27.

37.

Diane, B., & William, M. (1994). A causal model of adolescent depression. The Journal of Psychology: Interdisciplinary and Applied, 128(4), 455-468.

38.

Goodnow, C., & Espin, O. M. (1993). Identity choices in immigrant adolescent females. Adolescence, 28(109), 173-184.

39.

Grant, K. E., Compas, B. E., Thurm, A. E., McMahon, S. D., Gipson, P. Y., Campbell, A. J., Krochock, K., & Westerholm, R. I. (2006). Stressors and child and adolescent psychopathology: Evidence of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6(3), 257-283.

40.

Hill, J. P., & Lynch, M. E. (1983). The intensification of gender-related role expectations during early adolescence. In J. Brooks-Gunn, A. Petersen (Eds), Girls at Puberty: Biological and Psychosocial Perspectives (pp. 201-228). New York: Plenum.

41.

Kashani, J., Rosenberg, M., & Reid, J. (1989). Developmental perspectives in child and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in a community sampl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6, 871-875.

42.

Keiley, M. K., Bates, J. E., Dodge, K. A., & Pettit, G. S. (2000). A cross-domain growth analysis: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s during 8 years of childhood.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8, 161-179.

43.

Kim, S. -H., Kim, H. K., & Lee, N. (2013). Psychological features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on the MMPI–2: Latent profile analysis. Psychological Assessment, 25(4), 1091-1102.

44.

Lahey, B. B., Van Hulle, C. A., Waldman, I. D., Rodgers, J. L., D’Onofrio, B. M., Pedlow, S., Rathouz, P., & Keenan, K. (2006). Testing descriptive hypotheses regarding sex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conduct problems and delinquency.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4, 737-755.

45.

Peterson, A. C. (1988). Adolescent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9, 583-607.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