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세월호 재난상담에 참여한 여성상담자의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A Life History of the Female Counselor’s Participated in Sewol Ferry Disaster Counseling

초록

본 연구는 안산 지역의 세월호 재난상담에 참여한 여성 상담자의 성장 과정을 탐색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세월호 피해자를 대상으로 지난 1년여 동안 심리지원 및 상담활동을 하고 안산 지역사회의 집단 트라우마 회복을 위한 정부차원의 심리지원 방안 수립 활동에 참여해오며, 이를 통해 본인의 삶 전체에 대한 성찰을 경험한 50대 후반의 여성 1인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심층면접 자료분석은 Mandelbaum(1973)이 제시한 생애사 분석틀인 삶의 영역(dimensions), 전환점(turning), 적응(adaptions)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삶의 영역은「자아상을 형성한 어린시절」,「동화 속 결혼」,「갑작스러운 남편의 죽음」,「슬픔 속에서 한 발 내딛기」,「상담자의 길」,「반듯하게 자란 자녀들」,「세월호 사건」으로 7개, 삶의 전환점은 「생 앞에 놓인 죽음」,「삶의 이정표, 상담」2개였으며, 적응은「세월호 이전」,「세월호 이후」2개로 분석되었다. 생애사적 관점을 통해 세월호 사건이 한 개인의 삶에, 특히나 상담자로서의 개인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고, 그로 인해 어떠한 변화를 가졌으며, 그에 대해 어떻게 적응하고 대처했는지 분석해 봄으로써 상담자의 성장에 관한 내적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논의 및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keywords
Sewol ferry, female counselor, development of counselor, Mandelbaum’s life history, 세월호, 여성상담자, 상담자 성장, Mandelbaum 생애사분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a female counselor in her late fifties participated in Sewol ferry disaster counseling in An-san region last year. She participated in providing counseling for the victims' families of Sewol ferry disaster, additionally establishing governmental psychological supports plan for recovering collective trauma in An-san region community, through which she have gotten self-reflection of whole her life. For in-depth interview data analysis, Mandelbaum’s three conceptual frameworks were employed; dimensions, turnings, and adaption. Result of study indicated the extracted categories such as ‘having a self image in youth’, ‘marriage in fairy-tale’, ‘unexpected death of husband’, ‘taking a step forward from darkness’, the way of counselor’, nice grown child’, and ‘Sewol ferry disaster’ in life dimension, ‘death in front of life’, and ‘milestone in life, counseling’ in turning points, and ‘before Sewol ferry disaster’, and ‘after Sewol ferry disaster’ in adaption. Life history methods revealed the counselor’s internal developmental process by analyzing what Sewol ferry disaster influenced on an individual life, especially a counselor's one, what changes she went through, and how she adapted herself to tha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are provided.

keywords
Sewol ferry, female counselor, development of counselor, Mandelbaum’s life history, 세월호, 여성상담자, 상담자 성장, Mandelbaum 생애사분석

참고문헌

1.

강영훈 (2011). 태풍 ‘나리’로 본 제주특별자치도 재난피해자의 심리지원 분석. 탐라문화, 38, 279-307.

2.

권해수 (2011). 성폭력상담자의 대리외상 관련변인 연구: 상담유형, 외상경험, 사회적지지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2(1), 145-430.

3.

권해수, 김소라 (2006). 성폭력 상담자의 대리외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3), 495-518.

4.

김보경 (2012). 성폭력, 성매매 상담자의 이차적외상 스트레스와 대리외상 관계에서 외상 신념의 매개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창대, 권경인, 한영주, 손난희 (2008). 상담성과를 가져오는 한국적 상담자 요인. 상담학연구, 9(3), 961-986.

6.

박성우 (2010). 재난이 지역주민의 정신건강에미친 장.단기적 영향 및 재난관리와 정신보건관리체계와의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재난과 심리, 재난피해자 심리지원 정보센터 교육자료.

7.

박윤미, 윤혜미 (2011). 외상생존자와 일하는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대한 역할갈등, 업무부담과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의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35, 289-322.

8.

박지영 (2008). 아동보호전문기관 직원의 외상관련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및 관련요인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9, 177-206.

9.

박지영 (2013). 외상피해원조실무자의 이차적외상스트레스와 소진은 서로 다른가?.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4(2), 383-404.

10.

신혜섭 (2010). 가정폭력상담원의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직무요인이 대리외상에 미치는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5(1), 45-61.

11.

이문희, 하 정 (2011). 대가 이동식 선생의 발달 과정에 관한 연구. 상담학 연구, 12(3), 835-860.

12.

이성복 (2001). 네 고통은 나뭇잎 하나 푸르게 하지 못한다. 서울: 문학동네.

13.

이양자, 정남운 (2008). 외상 후 성장에 대한연구 개관: 적응과의 관계 및 치료적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1), 1-23.

14.

이효선 (2010). 한국 거주 외국인 노동자들의 생애발달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F. Schutze의 생애사 연구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7, 49-84.

15.

정여주 (2011). 여성폭력상담소 종사자들의 자기효능감과 클라이언트 폭력이 이차적 외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채은희 (2006). 재난이 피해지역주민의 정신건강에 미친 장.단기적 영향 및 재난정신건강관리체계 개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Adams, R. E., Boscarino, J. A., & Figley, C. R. (2006). Compassion fatigue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social workers: A validation study.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6(1), 103-108.

18.

Benatar, M. (2000). A qualitative study of the effects of a history of childhood sexual abuse on therapists who treat survivors of sexual abuse. Journal of Trauma & Dissociation, 1(3), 9-28.

19.

Beutler, L. E., Malik, M., Alimohamed, S., Harwood, T. M., Talebi, H., Noble, S., & Wong, E. (2004). Therapist variables. In M. J. Lambert, A. E. Bergin & S. L. Garfield (Eds.), Handbook of psychotherapy and behavior change (pp. 864). England: John Wiley &Sons.

20.

Brown, S. D., & Lent, R. W. (2000).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New York: Wiley.

21.

Calhoun, L. G., Cann, A., Tedeschi, R. G., & McMilan, J. (2000). A correlational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religion, and cognitive processing.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3(3), 521-527.

22.

Corey, G., Corey, M. S., & Callanan, P. (2005). An approach to teaching ethics courses in human services and counseling. Counseling &Values, 49(3), 193-207.

23.

Follette, V. M., Polusny, M. M., & Milbeck, K. (1994). Mental health and law enforcement professionals: trauma history, psychological symptoms, and impact of providing services to child sexual abuse survivor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5(3), 275-282.

24.

Frankl, V. E. (2005). 죽음의 수용소에서 [Man’s search for meaning], (이시형 역). 서울: 청아출판사. (원전은 1964에 출판).

25.

Ghahramanlou, M., & Brodbeck, C. (2000). Predictors of secondary trauma in sexual assault trauma counselors.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ency Mental Health, 2(4), 229-240.

26.

Harrison, R. L., & Westwood, M. J. (2009). Preventing vicarious traumatization of mental health therapists: Identifying protective practices.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46(2), 203-219.

27.

Herman, M. D. (1997). Trauma and recovery. New York: Basic books.

28.

Kierkegaard, S. A. (2007). 불안의 개념/죽음에 이르는 병 [Sygdodommen til Doeden], (강성위 역) 서울: 동서문화사. (원전은 1849에 출판).

29.

Loganbill, C. R., Hardy, C. V., & Delworth, U. (1982). Supervision: A conceptual model. The Counseling Psychologist, 10(1), 3-42.

30.

Mandelbaum, G. (1973). The study of life history:Gandhi. Current Anthropology, 14(3), 177-206.

31.

McCann, I. L., & Pearlman, L. A. (1990). Vicarious traumatization: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working with victim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3(1), 131-149.

32.

Paul, V. C. (2012). 무신론의 심리학 [Faith of the fatherless : the psychology of atheism], (김요한 역) 서울: 새물결플러스. (원전은 2000에출판).

33.

Pearlman, L. A., & Saakvitne, K. W. (1995). Treating therapists with vicarious traumatization and secondary stress disorder. In C. Figley (Eds.),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pp. 150-177). New York: Brunner/Mazel.

34.

Skovholt, T. M., & Rønnestad, M. H. (1992).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0(4), 505-515.

35.

Trippant, R. L., Kress, V. E. W., & Wilcoxo, S. A. (2004). Preventing vicarious trauma: What counselors should know when working with trauma survivors. Journal of Counseling &Development, 82(1), 31-37.

36.

VanDeusen, K. M., & Way, I. (2006). Vicarious trauma: An exploratory study of the impact of providing sexual abuse treatment on clinicians’ trust and intimacy. Journal of Child Sexual Abuse, 15(1), 69-85.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