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disclosure, social support and intentional rumination of a female high school student who experienced relational loss on posttraumatic growth. This study also aims to examine whether the intentional rumin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losure,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s were carried out to 415 high school students in capital area. In this questionnaire, unreliable responses, a traumatic events which just happened one month ago, the data which marked the pain level below 4 points after traumatic event and cases that were not related to a relational loss were excluded. Finally, 286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For analysis, traumatic event experience questionnaire, self-disclose scale, social support scale, intentional rumination scale and Korea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were used. The result was analyzed by SPSS 22.0 and AMOS 22.0. A basic statistics and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significance of structural model’s mediator effect was proved with Bootstrap method.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sttraumatic growth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disclosure, social support and intentional rumination. Second, intentional rumination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losure and posttraumatic growth. also, indicate that intentional rumination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Final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김영재 (2012). 소방공무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사회적 지지, 대처가 외상 후 성장에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미, 정민선 (2014). 청소년의 외상후 성장관련 변인 탐색. 교육치료연구, 6(2), 213-228.
김현미, 정민선 (2015). 청소년의 자기노출, 사회적 지지 및 의도적 반추가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22(1), 11-24.
김희숙, 박완주, 박경란, 김미향 (2012). 청소년의 인간관계가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21(1), 11-20
단두리 (2013). 자아탄력성 및 자기노출이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보경 (2013). 대학생의 탄력성, 삶의 의미, 의도적 반추 및 외상 후 성장의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선정 (2015). 관계 상실 경험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영향: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학교사회복지, 30, 71-94.
박예슬 (2013). 외상에 대한 의도적 반추와 심리적 수용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준호 (2007).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반복생각, 생각억제 및 자기노출이 정서와 주관안녕에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철종 (2014). 뇌졸중 환자의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서울․경기도북부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효실 (2002). 부모사별 후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대처자원과 가족상황에 대한인지적 평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영석, 조화진, 안하얀, 이정선 (2012). 청소년들의 외상사건 경험. 교육심리연구, 26(3), 787-816.
송승훈 (2007).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현, 이영순 (2013). 회피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6), 3753-3767.
신선영 (2009).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심보윤 (2013). 위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과 삶의 질과의 관계.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귀화 (2014). 외상 후 성장 과정에 대한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양난미, 이은경, 송미경, 이동훈 (2015). 외상을경험한 여자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외상후 성장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1), 175-197.
유희정 (2012).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유희정 (2015). 사별 경험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지각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재활심리연구, 22(2), 323-339.
윤명숙, 박아란 (2015). 청소년의 대인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대처능력의 조절효과 검증. 청소년복지연구, 17(3), 239-261.
윤운영, 유금란 (2013). 아동 및 청소년의 상실경험에 대한 이해와 학교 상담의 개입.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0(1), 241-262.
은헌정, 이선미, 김태형 (2001). 일 도시 지역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역학 조사. 신경정신의학, 40(4), 581-591.
임선영 (2014). 관계상실 경험자를 대상으로한 외상후 성장 촉진 프로그램의 효과. 인지행동치료, 14(3), 339-358.
전유진 (2009). 경찰공무원의 자기노출, 사회적지지 및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민선 (2014). 대학생의 자기노출, 사회적 지지와 외상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의도적반추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5(1), 415-430.
정지혜 (2014). 사회적 지지, 심리적 유연성,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선재, 안현의 (2013). 상실 경험의 의미 재구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상담학연구, 14(1), 323-341.
최승미 (2008).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은영 (2010). 여대생의 아동 청소년기 대인간외상경험과 자기역량 손상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1), 161-177.
Bower, J. E., Kemeny, M. E., Taylor, S., & Fahey, J. L. (1998). Cognitive processing, discovery of meaning, CD 4 decline, and AIDS-related mortality among bereaved HIV-seropositive m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6, 979-986.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Newbury Park, CA: Sage.
Calhoun, L. G., & Tedeschi, R. G. (1999). Facilitating posttraumatic growth. MahWah, NJ:Lawrence Erlbaum Associates.
Kellermann, P. F., & Hudgins, M. K. (2000). Psychodrama with trauma survivors, philadelphia: Jessica Kingsley Publishers.
Leist, M. (1979). Kinder begegnen dem Tod. Gütersloh.
Park, C. L., Cohen, L. H., & Murch, R. L. (1996).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stress-related growth. Journal of Personality, 64, 71-105.
Tedeschi, R. G., Park, C. L., & Calhoun. L. G. (Eds.). (1995). Truma and transformation:Growing in the aftermath of suffering. Thousands Oaks, CA: Sage.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The Foundations of Posttraumatic Growth: New Considerations. Psychological Inquiry, 15(1), 93-102.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6).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Ullrich. P. M., & Lutgendori, K. (2002). Journaling about stressful events: Effects of cognitive processing and emotional expression.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4, 244-250.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ick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Newbury Park,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