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윌버의 통합적(Integral) 페미니즘에 대한 여성주의적 고찰

A Feminist study on the Wilber’s integral feminism

초록

본 연구는 통합적 페미니즘의 발전과 자아초월적 여성주의 상담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필요한 것을 찾기 위해, Wilber의 통합적 페미니즘과 통합사상의 젠더관점을 여성주의 입장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Wilber의 통합적 페미니즘과 통합사상에 대해 그가 저술한 다양한 문헌들과 통합 공동체(integral community)의 젠더 관련 연구를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특히, Wilber의 페미니즘에 대한 관점, 섹스와 젠더 인식, 자기발달의 유형학에 초점을 맞추어 문헌들을 살펴보았다. 통합적 페미니즘은 여성의 경험과 젠더정체성을 전개인, 개인 영역을 넘어, 초개인적인 발달과정까지 확장하는 이론이다. 본 고에서는 젠더와 여성주의 이론을 통합적 페미니즘의 사상한적 틀을 활용하여 통합지도로 제시했다. 통합사상은 젠더를 인류와 개인의식 발달의 관점에서 이해한다. 이러한 관점으로 볼 때 근대에 구성된 젠더와 젠더정체성은, 탈근대로 발달함에 따라 초월될 것으로 전망된다. 심리적 영적인 발달과 함께 모든 특성들에서 탈동일시 되는 자아초월적 젠더의식에 이르게 된다. 성별유형학은 다른 유형을 나누는 것과 달리 정치적 의미를 함의하고 개인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차이가 형성되는 과정과 영향에 대한 민감한 통찰력이 필요하다. 통합적 페미니즘이 보다 입체적인 지도를 제공하면서 임상적인 실효성을 가지려면, 여성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문화적․사회적․정치적 맥락 속에서 젠더와 권력을 중심에 두고 이해하는 여성주의상담의 관점을 통합할 필요가 있다. 여성주의 인식론과 여성주의상담의 성역할 분석, 권력분석 같은 기제들이 사상한간의 긴밀한 영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인간의식발달을 초개인 영역까지 포괄하여 제시하는 스펙트럼 이론과 의식발달을 위해서는 개인의 심리와 함께 사회적 체계가 변형되어야 한다는 통합사상의 관점은 자아초월적 여성주의상담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유용하다.

keywords
통합적 페미니즘, 여성주의상담, 자아초월적 여성주의상담, 젠더, 성역할 분석, 성별 유형, Integral feminism, Feminist counseling, transpersonal feminist counseling, gender, gender analysis, gender type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revolves on a critical examination of Wilber’s integral feminism and his gender perspective from a feminist perspective in order to improve integral feminism and discover basic principles of transpersonal feminist counseling. A variety of Wilber’s writings and studies on gender conducted by the Integral Community were reviewed. The literature review centers on Wilber’s perspective on feminism, the consciousness of sex and gender, typology of ego development. Integral feminism expands women’s experiences and gender identities to transpersonal development beyond pre-personal and personal aspects. The author developed an integral map on gender and feminism using an all quadrant all level (AQAL) model of integral feminism. The integral theory explains gender in the context of the consciousness development of humankind and individuals. From this perspective, gender and gender identities, which have been constructed in modern society is expected to be transcended as society evolves into a post-modernism phase. Individuals are expected to have transpersonal consciousness of gender accompanied by de-identifying with all traits along with psychological and spiritual development. Gender typology requires sensitive insights into a process and influences of forming differences as it has political implications and influence on individual development,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 typologies. In order for integral feminism to offer a more detailed map and clinical implications, it needs to incorporate a perspective from feminist counseling that addresses women’s issues based on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focusing on gender and power. Feminist epistemology and feminist counseling techniques, such as a gender analysis and a power analysis, are beneficial to understand the close relationships among four quadrants. The spectrum theory that includes transpersonal aspects of human consciousness development and the integral theory that emphasizes the transformation of social systems along with individual psychology for consciousness development would benefit to found transpersonal feminist counseling.

keywords
통합적 페미니즘, 여성주의상담, 자아초월적 여성주의상담, 젠더, 성역할 분석, 성별 유형, Integral feminism, Feminist counseling, transpersonal feminist counseling, gender, gender analysis, gender type

참고문헌

1.

강남순 (2002). 페미니스트 신학: 여성․영성․생명.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2.

고미송 (2010). 그대가 보는 적은 그대 자신에불과하다: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 서울: 푸른사상.

3.

고은희 (2014). 장자의 ‘성심(成心)초월’과 여성주의상담 원리의 상관성 연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민예숙 (2009). 자아초월적 여성주의상담. 김민예숙여성주의상담연구실 6회 아카데미자료집, 25-28.

5.

김민예숙 (2010). 자아초월적 여성주의상담. 여성건강과 치유센터 준비위원회 제1차 여성주의상담 워크숍 자료집, 24-27.

6.

김민예숙 (2011). 미국과 한국의 여성주의상담역사 비교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 16. No 2, 197-218.

7.

김민예숙 (2013). 여성주의상담 원리의 역사에관한 연구 여성주의상담: 구조화모델 워크북. 서울: 한울

8.

문일경, 김명권 (2008). 통합심리학 연구의 세가지 주요 흐름: 역사적 맥락과 향후 과제. 상담학연구. 9(2), 863-875

9.

문일경 (2009). Ken Wilber의 통합이론에 기초한 심리치료의 통합적 접근, 상담학연구. 10(2), 1277-1290

10.

민경숙 (2011).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이론 어떻게 읽을 것인가?, 자연과학연구소논문지16(1), 1-18,

11.

박선화 (2012). 윌버의 통합사상과 생태여성주의의 비교 연구. 서울불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오세준 (2012). 통합적 영성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서울불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용정순, 최훈석 (2015). 성격 특성, 정서 및 사회적 행동의 성차. 한국여성심리학회(편). 여성심리학 (pp. 205~236) 서울: 학지사

14.

이재경 외 공저 (2007). 여성학, 서울: 미래M&B

15.

이한영 (2013). 앎과 영적 성장: 켄윌버 사상의신학적 이해. 서울: 도서출판 문사철

16.

조혜자 (2002). 비본질주의 관점에서 본 여성의 자아정체성.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7(3) 115-130

17.

Bailin, R. A. (2014). Feminine, masculine, female, and male in the integral space. Integral Voices on Sex, Gender, and Sexuality: Critical Inquiries, 165.

18.

Ballou, M., Matsumoto, A., & Wagner, M. (2002). toward a feminist ecological theory of human nature: Theory building in response to real-world dynamics. In M. Ballou & L. S. Brown (Eds.). Rethinking mental health and disorder: Feminist perspectives (pp.99-114). NY:The Guilford Press.

19.

Brooks, C. (2010). Unidentified allies: Intersections of feminist and transpersonal thought and potential contributions to social change. ranspersonal Studies.

20.

Brooks, C., Ford, K., & Huffman, A. (2013). Feminist and Cultural Contributions to Transpersonal Psychology. The Wiley-Blackwell Handbook of Transpersonal Psychology, 612-625.

21.

Brown, Laura S (2012). 여성주의상담의 전복적대화 [Subversive Dialogues] (김민예숙․강문순․손연주 역), 서울: 한울 (원전은 1994년에 출판).

22.

Butler, J. (2013). 젠더 트러블: 페미니즘과 정체성의 전복 [Gender trouble: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조현준 옮김). 파주:문학동네 (원전은 2011년 출판)

23.

Corey, G. (2012). 여성주의 치료. 조현춘, 조현재외 공역, 심리상담의 이론과 실제(pp361-395)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 (원전 2009년에 출판)

24.

Debold, E. (2014). A Deep Integral View on the Future of Gender. Integral Voices on Sex, Gender, and Sexuality: Critical Inquiries, 63.

25.

Enns, C. Z. (2009). 여성주의와 상담: 기원, 주제, 다양성[.Feminist theories and feminist psychotherapies: origins, themes, and diversity](김민예숙․손연주 옮김), 파주: 한울아카데미. (원전은 2004년에 출판).

26.

Friedman, H. L., & Hartelius, G. (Eds.). (2013). The Wiley-Blackwell handbook of transpersonal psychology. John Wiley & Sons.

27.

Gilligan, C (1997). 다른 목소리로[In a different voice]. (허란주 옮김). 서울: 동녘. (원전은1982년 출판)

28.

Hildebrandt, T. H. (2014). An Integral Map of Sexual Identity. Integral Voices on Sex, Gender, and Sexuality: Critical Inquiries, 121.

29.

Laqueur, T. (2000) 섹스의 역사: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남성과 여성의 변천사[Making sex: body and gender from the Greeks to Freud] (이현정 옮김). 서울: 황금가지, 2000(원전은 1992년 출판)

30.

Marquis, A. (2011). 통합심리치료[The integral intake: A guide to comprehensive idiographic assessment in integral psychotherapy]. (문일경 옮김).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8년에 출판)

31.

Nicholson, S. E. (2014). Defining Woman. Integral Voices on Sex, Gender, and Sexuality: Critical Inquiries, 13.

32.

Surrey, J. L. (1991). The “self-in-relation”: A theory of women's development. In Jordan, J. V. (Ed.). Women's growth in connection: Writings from the Stone Center. (pp. 51~66) Guilford Press. (여성주의상담연구회 옮김: 미간행)

33.

Washburn, M. (2003). Transpersonal dialogue: A new direction.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35(1), 1-20.

34.

Wright, P. A. (1995). Bringing women’s voices to transpersonal theory. ReVision 17(3): 3-10

35.

Wright, P. A. (1996). Gender issues in Ken Wilber's transpersonal theory. REVISIONCAMBRIDGE MA THEN WASHINGTON-, 18, 25-37.

36.

Wilber, K. (1995). Sex, ecology, spirituality. Shambhala Publications.

37.

Wilber, K. (1998). A more integral approach. In Rothberg, D. J., Kelly, S. M., & Kelly, S. (Eds.). Ken Wilber in dialogue: Conversations with leading transpersonal thinkers. Quest Books.

38.

Wilber, K. (2004). 모든 것의 역사[(A)brief history of everything]. (조효남 옮김) 서울: 대원. (원전은 1996년 출판)

39.

Wilber, K. (2007a). Integral spirituality. Shambhala Publications.

40.

Wilber. K. (2007b). 감각과 영혼의 만남[The Marriage of Sense and Soul]. (조효남 옮김). 일산: 범양사 (원전은 1998년 출판)

41.

Wilber, K. (2008). 통합심리학: 의식, 영, 심리학, 심리치료의 통합[Integral Psychology:Consciousness, Spirit, Psychology, Therapy]. (조옥경 옮김). 서울: 학지사(원전은 2000년 출판)

42.

Wilber, K. (2014). 통합비전: 켄 윌버를 이해하기 위한 가장 쉽고 핵심적인 입문서[The integral vision: a very short introduction to the revolutionary integral approach to life] (정창영 옮김). 파주: 김영사(원전은 2007년출판)

43.

Wilber, K., Patten, T., Leonard, A., & Morelli, M. (2014) (건강, 웰라이프, 그리고 영적 성장을 위한)켄 윌버의 ILP[Integral life practice. Shambhala Publications] (안희영, 조효남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8년 출판)

44.

Wilber, K. (2015a). 켄 윌버의 아이 오브 스피릿: 영적 관조의 눈[Eye of spirit: an integral vision for a world gone slightly mad]. (김철수․조옥경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1998년에 출판)

45.

Wilber. K. (2015b). 모든 것의 이론[A theory of everything]. (김명권․민회준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0년 출판).

46.

Worell, J., & Remer, P. (2004). 여성주의 상담의이론과 실제[Feminist perspectives in therapy:empowering diverse women]. 김민예숙․강김 문순 옮김, 서울: 한울. (원전은 2003년에출판).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