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nalyzed the longitudinal changes of satisfaction with marriage and work for married working women. Using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an & Fmaliles, data were analyzed by Latent Growth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rriage satisfaction was decreasing with the course of time and the higher the intial score of marriage satisfaction, the faster the decreasing speed of marriages satisfaction. Second, the work satisfaction was increasing as time passes and the higher of initial score of work satisfaction, the slower the increasing speed of work satisfaction. Third, the younger married working women, the higher the initial score of the marriage satisfaction. The shorter the period of marriage, the higher the initial score of work satisfaction and the older married working women, the slower the decreasing speed of work satisfaction. Forth, the effect of work satisfaction on marriage satisfaction was decreasing over time. The implications on research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가영희 (2006). 성인의 직장-가정갈등이 영역별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 31-42.
강혜련, 윤미자 (2004). 여성관리자의 다중역할 몰입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28, 55-85.
고재문, 강순민 (2008). 제주특별자치도내 여성근로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전문대학 교육연구학회논문집, 9(4), 293-314.
고현선 (1995). 부부의 갈등대처유형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4), 71-83.
권순원, 이영지 (2010). 여성의 경력단절 결정요인과 노동시장 재진입. 숙명여자대학교경제 연구소 논문집, 39(1), 45-57.
김경례 (2014). 광주지역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욕구와 취업활성화 방안 연구. 현대사회과학연구, 18, 35-50.
김덕일 (1996). 애착유형에 따른 부부간의 사랑유형과 결혼만족도.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김미숙 (1989). 도시부부의 결혼안정성 및 관련요인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김미령 (2009). 연령대에 따른 여성의 결혼만족도 차이 및 영향요인 비교. 한국가족복지학, 26, 35-61.
김미령 (2011). 여성의 취업유무에 따른 결혼만족도 차이 및 영향요인 비교. 여성연구, 81(2), 69-101.
김미정 (2001). 부부들이 지각하는 결혼만족도에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김민녀, 채규만 (2006). 가족생활주기에 따른기혼자의 결혼만족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655-671.
김선화 (2010). 부산지역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욕구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논집, 21, 95-131.
김영경 (2007).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경력개발계획과 재취업교육 요구분석 연구. 여성연구, 73, 85-118.
김용희, 제미경 (1987). 취업여성의 직업만족도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5(2), 11-27.
김임용 (1994). 현실치료집단훈련이 주부들의 자기존중감과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효성여자대학교.
김지혜, 장연진, 김희주 (2013). 미취학 아동이있는 여성의 결혼만족도 변화 유형과 영향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3), 255-278.
김정옥 (1987). 부부간의 커뮤니케이션의 효율도. 석사학위논문. 효성여자대학교.
김주현, 문영주 (2010). 맞벌이 여성의 성역할태도가 결혼생활 만족과 일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2), 109-126.
김희수, 김옥희 (2009). 여성의 직업 만족 변인연구. 진로교육연구, 22(3), 85-99.
김희진 (2004). 한국 부부의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5(3), 839-853.
나성은 (2014).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신도구적 부성’의 구성: 맞벌이 중간계층 아버지들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6, 1-39.
노성숙, 한영주, 유성경 (2014). 한국에서 ‘워킹맘’으로 살아가기: 직장인 엄마의 다중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365-395.
노언경, 홍세희, 이현정 (2011). 청년 취업자의직무만족도와 이직의사 변화의 잠재계층에 대한 이중 변화형태 모형의 적용. 조사연구, 12(2), 113-144.
류호상, 장인봉, 염영배 (2013).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참여 활성화를 위한 실태분석과 정책함의: 경기도 사회적기업의 경력단절여성 재취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13(1), 51-75.
민무숙, 오은진, 이시균 (2010). 경력단절 여성재취업지원 서비스 발전방안.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8, 1-316.
문선희 (2013). 기업복지제도가 기혼직장여성의 가정생활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가족친화제도의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8(1), 119-141.
박병선, 배성우 (2011). 부부관계 만족도의 종단적 변화양상과 예측요인: 성별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2, 41-76.
박재규 (2010). 경기도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욕구 분석 및 지원방안 연구. GRI 연구논총. 12(2), 225-252.
박혜경 (2009). 한국 중산층의 자녀교육 경쟁과 ‘전업 어머니’ 정체성. 한국여성학, 25(3), 5-33.
방하남 (2000).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결정요인과 상호작용효과에 관한 연구. 노동경제 논집, 23(특별호), 133-154.
서동인 (1985). 취업주부의 결혼만족도와 관련변수 고찰.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손강숙, 주영아 (2014). 질적분석을 통한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에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394.
송말희, 이정우 (1986). 도시주부의 커뮤니케이션 이해도와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4(1), 33-47.
송성자 (1995).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 법문사.
송시내 (1999). 결혼생활만족과 부부 의사소통에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양소남, 신창식 (2011). 어린 자녀를 둔 일하는어머니의 일가족 양립 고충. 보건사회연구, 31(3), 70-103
유성경, 김은석 (2015). 맞벌이 여성 근로자의근로자의 일자리 중단에 대한 영향 요인검증- 비연속시간 생존분석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4), 551-569.
유성경, 한영주, 조윤진 (2011). 기혼 직장여성의 개인특성 및 사회적 지지가 일-가족갈등 및 향상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2, 1893-1913.
유영주 (1993). 신가족관계학. 경기: 교문사.
이상숙 (1989). 부부간의 커뮤니케이션과 결혼만족도와의 상관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이여봉 (2010). 부부역할과 여성의 결혼만족도:연령 범주별 분석. 한국인구학, 33(1), 103-131.
이영민, 박가열, 박경연, 임정연 (2013). 경력단절여성 직장적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 한국HRD연구, 8(3), 23-43.
이은주 (1993). 기혼남녀의 자아존중감과 활력적결혼생활과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이재경, 이은아 (2003). 기혼 취업여성의 일-가족생활에 대한 주관적 인식: 세대별 차이를 중심으로. 여성학논집, 20, 39-69.
이정우 (1989). 보고편 - 1989년도 춘계학술대회 (주제: 사회변천과 가정) 발표: 취업여성과 가사노동문제. 대한가정학회지, 27(2), 224-227.
이종숙 (1988). 주부의 내외통제성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이주일, 유 경 (2010). 직장-가정 갈등의 세대차이와 직장-가정 갈등이 행복에 미치는영향: 직장여성의 경우.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3, 472-501.
이호신 (2000). 결혼생활만족에 관련된 부부의상호작용 요인들.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이희정, 김금미 (2010). 진로상담: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장벽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1(2), 623-640.
임영란 (1991). 한국 개신교 교인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장재윤, 김혜숙 (2003). 직장-가정간 갈등이 삶의 만족 및 직무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있어서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 23-42.
전춘애, 박성연 (1993). 결혼만족도와 변화 패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2), 51-60.
정영금 (2006). 기혼 취업여성의 일-가족 균형감과 지원용이도/요구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2), 107-118.
정영순, 어윤경, 임유진 (2012). 취업모 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전일제와시간제 비교. 한국사회정책, 19(3), 215-245.
정철영, 김재호, 이성식, 한승완, 조단비 (2009).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을 위한 취업설계사 운영 사례 분석 및 활성화 방안.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1(2), 101-126.
정현숙 (1996). 도시 부부의 결혼만족도 변화패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2), 51-60.
조희금 (1999). 취업기혼여성의 일-가정갈등과직업 및 생활만족도: 생산직과 사무직 기혼여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7(2), 145-158.
최영아 (1988). 주부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최성일, 유계숙 (2007). 가족친화적 기업정책이근로자의 일 가족 조화, 인적자원성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경로모형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2), 1-26.
최지희 (1984). 결혼전후 환경이 부부관계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통계청 (2011). 맞벌이가구 및 경력단절여성통계 집계 결과.
통계청 (2016). 2016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하애란 (2010). 여성고용지원을 위한 노동법적과제: 여성의 경력단절요인과 재취업욕구를 중심으로. 노동법논총, 19, 471-508.
홍성희 (2000). 기혼취업여성의 취업특성과 직업만족도 영향요인: 자영업자와 봉급생활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8(10), 143-156.
홍세희 (2000). 구조방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홍세희 (2015).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 연구방법론 워크삽 교재. 서울: S&M리서치그룹.
홍세희, 박민선, 김원정 (2007). 인터넷 중독과부모와의 의사소통 사이의 자기회기 교차지연 효과 검증: 성별간 다집단분석. 교육심리연구, 21(1), 129-143.
Atchley, R. C. (1992). Retire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in Szinovacz, M. D. J. Ekerdt, and B. H, Vinick (eds.) Families and Retirement, Newbury Park, Sage: 145-158.
Andrisani, P. J. (1978). Job satisfaction among working women. Signs. 3(3), 588-607.
Behrman, D. L. (1982). Family and/or career plans of first-time mothers. Ann Arbor, MI: University of Michigan Research Press.
Barnett. R. C., & Hyde. J. S. (2001). Women, men, work, and family: An expansionist theory. American Psychologist, 56, 781-796.
Berry, R. E., & Williams, E. L. (1987).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Marital and Income Satisfaction: a Path Analytical approach.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9, 107-116.
Blood, R. O., & Wolfe, D. M. (1960). Husbands and wives. New York: Macmillan.
Bradbury, T. N., & Rincham, F. D. (1988).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in close relationships: A contextual model of marriage as an integrative framework,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713-721.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Newbury Par, California.
Bures, A. L., Henderson, D., Mayfield, J.,Mayfield, M., & Worley, J. (1996). The effects of spousal support and gender on workers’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 cross national Investigation of dual career couples. Journal of Applied Business Research. 12(1), 52-58.
Cotton, J. L., & Tuttle, J. M. (1986). Employee Turnover: A meta-analysis and review with implications for research.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 55-70.
Clark, S. C. (2000). Work/family border theory: A new theory of work/family balance. Human Relations, 53, 747-770.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Demerouti, E. (2012). The spillover and crossover of resources among partners: the role of work0self and family-self facilit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7(2), 184-195.
Duncan, T. E.,& Duncan, S. C. (2004). An introduction to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Behavior therapy, 35(2), 333-363
Eckes, T., & Trautner, H. M. (2000). Developmental social psychology of gender:An integrative framework. pp.3-32 in T. Eckes and H. M. Trautner (eds.). The developmental social psychology of gender. Mahwah, NJ: Erlbaum.
Edwards, J. R., & Rothbard, N. P. (2000). Mechanisms linking work and family: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family construct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5, 178-199.
Enders, C. K., & Bandalos, D. L. (2001). The relative performance of 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missing data in structural equation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8(3), 430-457.
Frone, M. R. (2003). Work-family balance. In J. C. Quick & L. E. Tetrick (Eds.), Handbook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pp.143-162). Washington, DC: APA.
Frone, M. R., Russell, M., & Cooper, M. L. (1992).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Testing a model of the work-family interfa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7, 65-78.
Gilford, R. (1986). Marriage on later life. Generations, 10, 16-20.
Greenberg, E., & O'Neil, R. (1993). Spous, parent, worker: Role commitment and role-related experiences in the construction of adult's well-being. Developmental Psychology, 29, 181-197.
Greenhaus, J. H., & Powell, G. N. (2006).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 family enrichment.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1, 72-92.
Griffeth, R. W., Hom, P. W., & Gaertner, S. (2000). A meta-analysis of antecedents and correlates of employee turnover: Update, moderator tests, and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next millennium. Journal of Management. 26(3). 463-488.
Grzywacz. J. G., & Bass. B. L. (2003). Work, family, and mental health: Testing different models of work-family fi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5, 248-261.
Grzywacz, J. G., & Marks, N. F. (2000). Reconceptualizing the work-family interface:An ecological perspective on the correlates of positive and negative spillover between work and famil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1), 111-126.
Hu, L-Z.,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 1-55.
Iverson, R. D., & Currivan, D. B. (2003). Union participation,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 turnover: An event-history analysis of the exit-voice hypothesis. Industrial Relations. 42, 101-105.
Kelly, E. L., & Conley, J. J. (1987). Personality and compatibility : A prospective analysis of marital stabi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27-40.
Lavner, J. A., & Bradbury, T. N. (2010). Patterns of Change in Marital Satisfaction over the Newlywed Year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2, 1171-1187
Lewis, R. A & Spaniner, G. B. (1979). Theorzing about th quality and stability of marriage, In Burr, W., Hill, R., Nye, I, & Reiss, I(eds),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Vol 1, New York: Free Press.
Locke, E. A. (1976). The nature of causes of job satisfaction. pp.1297-1350 in M. Du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O’Brien, K. M., Ganginis Del Pino, H. V., Yoo, S. K., Cinamon, R. G., & Han, Y. J. (2014). Work,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Employed mothers in Israel, Kore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1(3), 461-472.
O'Donohue, W., & Crouch, J. L. (1996). Marital therapy and gender- linked factors in communic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therapy, 22, 87-110.
O'Driscoll, M. P., Ilgen, D. R., & Hildreth, K. (1992). Time devoted to job and off-job activities, inter role conflict, and affective experienc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7, 272-279.
O’Farrell, B., & Harlan, S. L. (1982). Craft workers and clerks: The effects of male co-worker hostility on women’s satisfaction with non-traditional jobs. Social Problems. 29(3), 252-265.
Rollins, B., & Canon, L. (1974). Marital Satisfaction over the Family Life Cycle: a Reevalu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6(1), 271-282.
Ross, C. E. (1992). Education Control at Work and Job Satisfaction. Social Science Research, 21, 134-148.
Rothbard, N. P. (2001). Enriching or depleting? the dynamics of engagement in work and family role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6, 655-684.
Scanzoni, J. (1975). Sex roles, economics factors and marital solidarity in black and white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7, 402-413.
Story, T. N., Berg, C. A., Smith, T. W., Beveridge, R. Henry, N. J., & Pearce, G. (2007). Age, Marital Satisfaction, and Optimism as Predictors of Positive Sentiment Override in Middle-aged and Older Married Couples. Psychology and Aging, 22(4), 719-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