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Relationships among the Attitude towards Multiple Role Planning, Cognitive Flexibility, Gender Role Attitude, Employer Sensitivity and the Experience of Multiple Roles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how an attitude towards multiple role planning, cognitive flexibility and a gender role attitude, which are considered as personal internal factors of female teachers with children, as well as a perceived difference in couples' gender role attitude and employer sensitivity, which are considered as environmental factors, predict the negative and positive experiences of work-family multiple roles. For this study, a self-reported survey was administered to 266 female teachers with children in Seoul, Gyeonggi, Incheon and Daejeon.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as attitude towards multiple role planning, cognitive flexibility, and employer sensitivity increase, female teachers with children have a lower level of negative experiences of work-family multiple roles and a higher level of positive experienc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s female teachers' level of gender role attitude increase, they have a higher level of experiences of work-family multiple roles and that as a perceived difference in couples' gender role attitude increase, female teachers had a higher level of negative experience of work-family multiple ro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regarding on work-family multiple roles were made.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keywords
일-가족 다중역할 경험, 다중역할계획태도, 인지적 유연성, 성역할태도, 관리자 민감성, work-family multiple roles, attitude towards multiple role planning, cognitive flexibility, gender role attitude, employer sensitivity

Reference

1.

가영희 (2006). 성인의 직장-가정 갈등이 영역별 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2), 163-186.

2.

강기연 (2000). 맞벌이 부부의 공평성 인지·의사결정참여 및 가정생활 만족도: 사무직·관리․전문직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강은희, 강혜영, 공윤정, 김봉환, 김영빈, 유현실 (2015). 진로상담. (주)학지사.

4.

강혜련, 최서연 (2001). 기혼여성 직장-가정 갈등의 예측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6(1), 23-42.

5.

권선영 (2005). 다중역할 수행 시 경험하는 스트레스에 대한 자기 복합성의 완충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명원 (2011).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사회적 지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수현 (2005). 초등학교 조직문화와 초임교사갈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수정 (2015). 맞벌이 부부의 배우자 지지와 직무 만족과의 관계에서 일-가족 향상의 매개효과: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윤미 (2013). 기혼 여교사의 배우자 지지, 다중역할 현실성 하위 요인 군집이 양육스트레스와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옥선, 김효선 (2010). 다중 역할의 상호향상효과: 일-가정 영역 간 자원의 긍정적 전이에 관한 분석. 경영학연구, 39(2), 375-407.

11.

김일경 (2013). 가족친화제도의 활용 용이성과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일․가정양립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종균 (2015). 성역할 태도가 가사노동에 미치는 영향: 성별과 혼인 상태의 조절효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김정식, 서문교 (2008). 리더의 코칭행위가 조직구성원들의 인지적 유연성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15(3), 31-48.

14.

김진희 (2006). 맞벌이 부부의 역할갈등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현숙 (2013). 기혼직장여성의 인지적 유연성과사회적지지가 일-가족 다중역할 갈등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석사학위논문.

16.

노성숙, 한영주, 유성경 (2012). 한국에서 “워킹맘”으로 살아가기: 직장인 엄마의 다중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인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365-395.

17.

박신아 (2014). 직장-가정 자원이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여성노동자의 직업 지위차이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주호 (2011). 학교변화 촉진을 위한 교장의리더십과 교사 직무만족도. 한국HRD연구, 6(4), 89-111.

19.

배보경 (2010). 초등학교 여교사의 양육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및 교직만족도 간의 관계,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배지혜 (2002). 남성의 ‘일-가족 갈등’ 및 ‘가족-일 갈등’과 부모 역할 만족도,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손보영 (2015). 성인진입기의 다중역할계획태도종단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손영빈 (2009). 맞벌이 부부의 가정-직장 간 갈등이 결혼만족도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개인특성 및 가족과 직장 지원의 조절 효과중심.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손윤미 (2013). 가족친화적 인사정책이 조직구성원의 삶의 질 및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송리라, 이민아 (2012). 성역할태도와 우울. 한국인구학, 35(3), 87-116.

25.

송보라, 이기학 (2009).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적응 관계에서의 인지적 유연성 및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3), 73-88.

26.

신용호 (1982). 교감의 역할과 학교조직풍토와의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신재민 (2013). 여성의 일-삶의 균형이 주관적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안용자 (2000). 배우자의 특성에 따른 기혼여교사의 역할갈등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관한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양은주 (1998). 여대생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 연구: 태도와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양정호 (2013). 경력직 입사자의 인지적 유연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양현정 (2013).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초등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양현정 (2014). 유자녀 직장여성의 생애주기 단계에 따른 다중역할 경험과 진로포부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양현정, 이기학 (2015). 유자녀 직장여성의 다중역할로 인한 긍정적, 부정적 효과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1), 25-53.

34.

우영지 (2009). 여대생의 개인특성에 기초한 다중역할계획태도 군집유형에 따른 진로장벽지각 수준 비교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논문.

35.

유계숙 (2008).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가 근로자의 일-가족 조화와 삶의 질에 미치는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 27-37.

36.

이기연 (2011). 여교사의 육아휴직제도의 활용과만족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37.

이명재 (2009). 학교조직풍토와 교사효능감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슬기 (2015). 기혼 직장여성의 성역할태도, 일만족도, 부부갈등과 일-가정 양립 갈등의관계에 관한 연구: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이윤석 (2010). 취업한 기혼 남녀의 일과 가족전이: 부정적 전이와 긍정적 전이의 통합적 접근. 한국인구학. 33(2), 1-31.

40.

이자명 (2013). 워킹맘의 일-가족 다중역할갈등상황에서 심리적 거리 조절에 따른 대안적사고 차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이지아 (2015). 사회초년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성향과 인지적 유연성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상사의 코칭행동을 매개로.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임정빈, 정혜정 (1986). 취업주부의 역할갈등과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4(1), 71-93.

43.

장재윤 (2003). 직장-가정 간 갈등이 삶의 만족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의 성차: 우리나라 관리직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9(1), 23-42.

44.

전명숙 (2014). 학령기 아동을 키우는 전일제 기혼직장여성들의 일-가족 갈등과 우울의 관계: 배우자의 정서적 지지와 부모 효능감의매개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정유경 (2012). 어린이집 기혼여교사의 사회적지지와 직장-가정 역할갈등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정경은 (2010). 이성 관계 애착과 진로장벽의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다중역할계획 태도의 매개효과 분석: 여대생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조성연 (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 교육과학연구, 36(1), 81-104.

48.

조윤진, 유성경 (2012). 기혼 취업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일-가족 갈등 및 향상의 관계에서 문제-중심 대처와 우울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441-463.

49.

조은영, 임정하 (2014). 대학생의 긍정정서 및부정정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5(4), 185-210.

50.

주세영 (2015).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적 행동과 친사회적 행동,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부서원의 인지적 유연성과 직무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경영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1.

최유정 (2013). 기혼 남녀의 일․가족 양립 태도와 관련 요인에 관한 일고찰. 조사연구, 14(2), 77-111.

52.

최윤정, 김계현 (2009). 여성 진로상담 관점에서 본 다중역할(일-가족) 균형의 구성개념및 측정에 관한 경험적 연구 고찰. 상담학연구, 10(1), 365-384.

53.

최윤정 (2010). 대졸 기혼 직장 여성의 일-가족다중역할 갈등 완화 과정: 개인 특성과 환경적 지지와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54.

한영주, 박지아, 손난희 (2013). 기혼 취업모의일-가족 갈등과 일-가족 향상의 관계: 대처 방식과 배우자 지지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4(2), 1443-1468.

55.

한유경 (1983). 교사의 다중역할에서 발생하는갈등에 관한 연구: 서울시 중학교 교사를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한인영, 홍선희 (2011). 여성의 성역할 인식이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성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6(4), 477-498.

57.

한지숙 (2007). 근로자의 성역할 태도와 일-가족지향성이 일-가족 갈등 및 촉진과 가족친화제도 이용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허심양 (2011). 완벽주의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역할.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

홍숙지 (2005). 개인 유연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황윤희 (2005). 기혼 직장 여성의 성역할, 여성이 인식한 남편의 성역할 갈등과 직장-가정갈등.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

국가통계포털 (2015/7/17). www.kosis.kr

62.

Barnett. R. C. (1994). Home-to-Work Spillover Revisited: A Study of Full-Time Employed Women in Dual-Earner Coupl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6(3), 647-656.

63.

Behson, S. J. (2005).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formal informal organizational work-family suppor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6(3), 487-500.

64.

Boyer, S. L. and Mosley Jr. D. C.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Self-Evaluations and Work-Family Satisfaction: The Mediating Role of Work-Family Facilitation. Journal of Vacational Behavior, 71(2), 265-281.

65.

Buffardi, L. C., & Erdwins, C. J. (1997). Child-care satisfaction: Linkage to work attitudes, inter-role conflict, and maternal separation anxiet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2, 84-96.

66.

Carlson, D. S., & Perrewe, P. L. (1999).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stressor-strain relationship: An examination of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0, 713-719.

67.

Dennis, J. P., & Vander Wal, J. S (2010). The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 Instrument Development and Estimat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4(3), 241-253.

68.

Erdwins, C. J., Buffardi, L., Casper. W., & O’Brien, A. (2001). The relationship of women’s role strain to social support, role satisfaction, and self efficacy. Family Relations:An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pplied Family Studies, 50, 230-238.

69.

DeMaris, A., & Longmore, M. A., (1996). Ideology, power, and equity: Testing competing explanations for the perception of fairness in household labor. Social Forces. 74(3), 1043-1071.

70.

Frone, M. R., M. Rusell, and M. L. Copper. (1992).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7, 65-78.

71.

Frone, M. R. Russell, M., & Cooper, M. L. (1997). Relation of work-family conflict to health outcomes: A four-year longitudinal study of employed parent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0, 325-335.

72.

Ganginis. H. V. (2011). Work-Family experiences among employed mother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ryland.

73.

Goff, S. J., Mount, M. K., & Jamison, R. L. (1990). Employer supported child care, work/family conflict, and absenteeism: A field study. Personnel Psychology, 43, 793-809.

74.

Greenberger, E & O’neil R. (1993). Spouse, parent, worker: role commitments and role-related experiences in the construction of adults’well-being.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 181-197.

75.

Greenhaus, J. H., & Beutell, N. J., (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 76-88.

76.

Greenhaus, H. J., Parasuraman. S., Rabinowitz, S., Bedeian, A. G., & Mossholder, K. W. (1989). Work and Family variables as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ives’ employment and husbands’ well-be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2(1), 185-201.

77.

Greenhaus, H., & Powell, G. N. (2006).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1, 72-92.

78.

Kopelman, R. E., Greenhaus, J. H., & Connlly (1983). A Model of work and interrole: a construct validation stud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32, 198-215.

79.

Kulik, L. (1999). Marital power relations. resources and gender role ideolosy: A multi variate model for assessing effects. Job Comparative Family Studies, 30(2), 189-207.

80.

MacCracken, R. S., & Weitzman, L. (1997). Relationship of personal agency, problemsolving appraisal, and traditionality of career choice to women‘s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4(2), 149-159.

81.

Martin, M. M., & Rubin, R. B. (1994). Development of a communication flexibility scale. Southern Communication Journal, 59, 171-178.

82.

Paulhaus, D. L., & Martin, C. I. (1988). Functional Flexibility: A new conception of interpersonal flexibil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 88-101.

83.

Spiro, R. J., Jacobson, M. J., Feltovich, P. J., & Coulson, R. L. (1992). Cognitive flexibility, constructivism, and hypertext: Random access instruction for advanced knowledge, illstructured domains. Educational Technology.

84.

Paulhaus, D. L., & Martin, C. I. (1988). Functional flexibility: A new conception of interpersonal flexibil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 88-101.

85.

Peake, A., & Harris, K. I. (2002). Young adults’attitude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the influence of gender, career traditionality, and marriage pla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0, 405-421.

86.

Ruderman, M. N. (2002). Benefits of multiple roles for managerial wome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5(2), 369-386.

87.

Thomas, L. T., & Ganster, D. C. (1995). Impact of family supportive work variabl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A contro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0, 6-15.

88.

Voydanoff. P. (2004). The Effects of Work Demands and Resources on Work-to-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2), 398-412.

89.

Voydanoff. P. (2005). Toward conceptualization of perceived work-family fit and balance: A demand and resources approach.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7, 822-836.

90.

Weitzman, L. M. (1994). Multiple role realism: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process of planning to combine career and family roles. Applied and Preventive Psychology, 3, 15-25.

91.

Weitzman, L. M. (1996). Th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scales to assess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 269-284.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