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차별지각,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북한이탈주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매개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Perceived Discrimination, Acculturatio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among North Korean Refugees : A Mediated Moderation Model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우울에 기여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통합적 영향을 규명할 목적으로 차별지각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우울을 예측하는 경로에서 문화적응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 소재 국립정신건강센터 및 하나센터에서 모집한 북한이탈주민 여성 87명이 차별지각, 문화적응(남한문화지향, 북한문화지향), 문화적응 스트레스, 우울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인 연령, 남한거주기간, 표집 기관 등은 공변인으로 분석에 포함하였다. PROCESS macro로 매개된 조절효과 모형을 분석한 결과, 차별지각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우울을 예측하는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매개효과가 문화적응에 따라 달라지는 양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더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지 않고 심리사회적 요인들이 우울을 예측하는 직접경로가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차별지각과 남한문화지향의 주효과, 그리고 차별지각×북한문화지향×남한문화지향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임상적, 정책적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북한이탈주민, 차별지각,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 우울, North Korean Refugees, Perceived Discrimination, Acculturation,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conjoint effect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accultura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to North Korean refugees’ levels of depression. Specifically, we tested a mediated moderation model in which interactive effect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acculturation were hypothesized to predict depression via their effects on acculturative stress. A total of 87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completed a set of questionnaires assessing perceived discrimination, acculturatio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In addition, 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and duration of residence in the South and recruitment site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s covariates. Results indicated that acculturative stress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depression although this indirect effect was not moderated by acculturation. Moreover, direct effect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South Korean cultural orientation, and interactive effect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x North Korean cultural orientation x South Korean cultural orientation on depression were significant.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북한이탈주민, 차별지각,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 우울, North Korean Refugees, Perceived Discrimination, Acculturation,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참고문헌

1.

강성록 (2000). 탈북자들의 외상척도 개발 연구. 연세대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2.

강숙정 (2009). 새터민의 심리적 적응을 위한 셀프파워 증진 프로그램개발. 홍익대대학원박사학위 청구 논문.

3.

고광신 (2011). 국내거주 고려인의 심리․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 논문.

4.

국경없는 의사회 (2006). 한국 내 북한인을 위한 심리지원. 2005년도 연간보고서.

5.

권석만 (2013). 현대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6.

김나연 (2012). 북한이탈주민의 지각된 스트레스및 자존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교육학석사학위 청구 논문.

7.

김미령 (2005). 탈북자의 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57(1), 193-217.

8.

김병창 (2010).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정신건강정책포럼, 4, 19-37.

9.

김승현, 최빛내 (2013). 북한이탈주민을 위한PTSD 프로그램 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4), 533-548.

10.

김연희 (2006). 북한이탈주민의 정신보건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 논문.

11.

김연희, 전우택, 조영아 (2010). 북한이탈주민정신건강 문제 유병율과 영향요인: 2007년 입국자 중심으로. 통일정책연구, 19(2), 141-174.

12.

김은경, 권정혜 (2009). 탈북자 문화적응척도타당화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3), 761-781.

13.

김태국, 정은의 (2014). 포스터 발표: 제 1 분과 임상;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 이후경과시간과 외상 후 성장.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논문집, 2014(1), 257-257.

14.

김태동 (2010). 문화적응스트레스와 학교적응관계에서 탈북 후기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연구. 청소년학연구, 2010(9), 277-296.

15.

김현경 (2007). 난민으로서의 새터민의 외상(trauma)회복 경험에 대한 현상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 논문.

16.

김현경 (2009). 현상학으로 바라본 새터민(탈북이주자)의 심리적 충격과 회복 경험. 한국학술정보(주).

17.

김현경 (2013). 남한거주 탈북청소년의 외상이후 심리적 성장 요인에 관한 연구. 문화와 사회, 14, 225-262.

18.

김현아, 전명남 (2003). MMPI 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의 개인차 특성. 통일연구, 7(2), 129-160.

19.

김화순 (2010). 고학력 북한이탈주민이 인지하는 차별과 직업계층 변화에 대한 인식. 통일과 평화, 2(2), 76-110.

20.

노대균 (2001). 탈북자의 개인차 요인이 적응 및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 박사학위논문.

21.

박순성, 고유환, 소라미, 이임하, 이희영, 전미영, 차문석, 홍민 (2009). 탈북여성의 탈북및 정착과정에서의 인권침해 실태조사.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보고서.

22.

박정순 (2014). 북한이탈주민의 가정폭력 및 사회적 차별 경험이 심리 사회적응에 미치는영향. 서울기독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 논문.

23.

박철옥 (2007). 새터민의 대인관계적 외상경험, 용서, 경험회피와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선한승, 강일규, 김영윤, 윤인진, 이영훈, 정성훈, 김화순 (2005). 북한이탈주민 취업 실태와 정책과제 연구.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5.

신현균, 김희경, 임지영(2010), 북한이탈주민용간이심리상태 검사 개발 및 신뢰도,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9(3), 777-798.

26.

엄미도 (2013).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 논문.

27.

엄태완 (2004). 북한이탈주민의 우울과사회적문제 해결 능력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9, 5-32.

28.

엄태완 (2007).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대처 향상 전략. 통일정책연구, 16(2), 173-197.

29.

유정자 (2006). 재중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에대한 연구-보호기관 대상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30.

윤여상, 윤인진, 이금순, 안혜영, 서윤환, 엄흥석 (2005). 2005년도 새터민 정착실태 연구. (사)북한인권정보센터.

31.

윤옥경 (2009). 중학생의 북한에 대한 지식과새터민에 대한 고정관념의 관계에 대한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6), 820-833.

32.

윤인진 (2007). 북한이주민의 건강과 경제적응의 관계. 보건과 사회과학, 21, 65-96.

33.

윤인진, 길은배, 박영희, 엄홍석, 윤여상, 채정민 (2005). 새터민 여성․청년 실태조사보고서. (사)북한인권정보센터.

34.

이겨레 (2011). 북한이탈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구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석사학위 청구 논문.

35.

이경희, 배성우 (2006).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정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통일정책연구, 15(2), 1-28.

36.

이기영 (1998). 탈북자의 정신건강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의 모색.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8, 161-176.

37.

이기영, 엄태완 (2003). 북한이탈주민의 무망감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사회사업, 16, 5-28.

38.

이소래 (1997). 남한이주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39.

이수정, 양계민 (2013). 북한출신주민과의 지역사회 내 접촉수준에 따른 남한출신주민의태도의 차이: 인천 논현동 지역 거주자를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보, 17(1), 395-421.

40.

이승종 (1996). 문화이입과정 스트레스와 유학생의 신념체계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41.

이장호 (1997). 북한출신주민(탈북자 포함) 심리사회적 적응 프로그램 개발. 성곡노총, 28(4), 739-789.

42.

임지영, 신현균, 김희경 (2010). 남한 사회에정착한 북한이탈주민의 생활스트레스, 지각된 사회적지지, 대처방식과 전반적인심리증상 간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2), 631-638.

43.

장명선, 이애란 (2009).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여성 실태조사 및 지원 정책방안 연구. 서울:서울시 여성가족재단.

44.

장문선, 손의정 (2014). 북한이탈주민의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심리적 문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4), 973-999.

45.

전겸구, 이민규 (1992). 한국판 CES-D 개발 연구 1.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1(1), 65-76.

46.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47.

전우택 (1997). 탈북자들의 주요 사회배경에따른 적응과 자아정체성에 관한 연구. 통일연구, 1(2), 109-167.

48.

전우택 (2004). 남한 내 북한이탈주민들의 신체및 정신건강이 경제적 자생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통일부 연구용역 보고서.

49.

조영아 (2011). 북한이탈주민의 차별경험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2(1), 1-19.

50.

조영아, 전우택, 유정자, 엄진섭 (2005).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예측 요인: 3년 추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467-484.

51.

채정민 (2003).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내 문화적적응 기재와 적응형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청구 논문.

52.

채정민 (2015), 북한이탈주민의 질문지 응답패턴 분석.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8), 226-226.

53.

채정민, 김종남 (2004). 북한이탈주민의 상대적박탈감과 심리적 적응: 개인적 정체감과사회적 정체감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사회 및 성격, 18(1), 41-63.

54.

최희철 (2013).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경기도 거주자를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연구, 12(4), 107-129.

55.

한인영 (2001). 북한이탈주민의 우울성향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1, 78-94.

56.

홍창형 (2004). 북한이탈주민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 대한 3년 추적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57.

통일부 자료실 (2016). http://unikorea.go.kr/content.do?cmsid=3099에서 인출.

58.

Alamilla, S. G., Kim, B. S., & Lam, N. A. (2010). Acculturation, Enculturation, Perceived Racism, Minority Status Stressors, and Psychological Symptomatology among Latino/as.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32(1), 55-76.

5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DSM-5.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60.

Arbona, C., Jackson, R. H., McCoy, A., & Blakely, C. (1999). Ethnic identity as a predictor of attitudes of adolescents toward fighting.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9(3), 323-340.

61.

Berry, J. 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46(1), 5-34.

62.

Berry, J. W. (2003). Conceptual Approaches to Accultura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3.

Berry, J. W. (2006). Acculturative stress. In Handbook of Multicultural Perspectives on Stress and Coping (pp. 287-298). Springer US.

64.

Berry, J. W. (2009). A critique of critical accultu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33(5), 361-371.

65.

Berry, J. W., Kim, U., Minde, T., & Mok, D. (1987). Comparative studies of acculturative stress.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491-511.

66.

Cardo, L. M. (1994).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measuring valence of ethnicity and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Journal of Multicultural Counseling and Development, 22(1), 49-59.

67.

Cook, B., Alegría, M., Lin, J. Y., & Guo, J. (2009). Pathways and correlates connecting Latinos' mental health with exposure to the United Stat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9(12), 2247-2254.

68.

Dawson, B. A., & Panchanadeswaran, S. (2010). Discrimina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among first-generation Dominicans.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32(2), 216–231.

69.

Endler, N. S., & Parker, J. D. (1994). Assessment of multidimensional coping: Task, emotion, and avoidance strategies. Psychological Assessment, 6(1), 50.

70.

Finch, B. K., Hummer, R. A., Kolody, B., & Vega, W. A. (2001). The role of discrimina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in the physical health of Mexican-origin adults.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23(4), 399-429.

71.

Finch, B. K., Kolody, B., & Vega, W. A. (2000).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depression among Mexican-origin adults in California.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1(3), 295-313.

72.

Harrell, S. P. (1997). The racism and life experience scales. Unpublished manuscript.

73.

Harrell, S. P., Merchant, M., & Young, S. (1997, August).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Racism and Life Experience Scales (RaLES). Post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vention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Chicago.

74.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ress.

75.

Hayes, A. F. (2016). The PROCESS macro for SPSS and SAS (version 2.15) [Software].

76.

Jasinskaja-Lahti, I., Liebkind, K., Horenczyk, G., & Schmitz, P. (2003). The interactive nature of acculturation: Perceived discrimination, acculturation attitudes and stress among young ethnic repatriates in Finland, Israel and Germany.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27(1), 79-97.

77.

Kosic, A. (2004). Acculturation strategies, coping process and acculturative stress.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45(4), 269-278.

78.

LaFromboise, T., Coleman, H. L., & Gerton, J. (1993). Psychological impact of biculturalism:evidence and theory. Psychological Bulletin, 114(3), 395.

79.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80.

Lorenzo-Blanco, E. I., & Cortina, L. M. (2013). Towards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Latino/a acculturation, depression, and smoking: A gendered analysis. Journal of Latina/o Psychology, 1(1), 3.

81.

Lorenzo-Blanco, E. I., Unger, J. B., Ritt-Olson, A., Soto, D., & Baezconde-Garbanati, L. (2011). Acculturation, gender, depression, and cigarette smoking among US Hispanic youth: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discriminat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0(11), 1519-1533.

82.

Mossakowski, K. N. (2003). Coping with Perceived Discrimination: Does Ethnic Identity Protect Mental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18-331.

83.

Moyerman, D. R., & Forman, B. D. (1992). Acculturation and adjustment: A meta-analytic study.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14(2), 163-200.

84.

Pascoe, E. A., & Smart Richman, L. (2009).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health: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35(4), 531.

85.

Pearlin, L. I., Menaghan, E. G., Lieberman, M. A., & Mullan, J. T. (1981). The stress proc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37-356.

86.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87.

Rodriguez, N., Myers, H. F., Mira, C. B., Flores, T., & Garcia-Hernandez, L. (2002). Development of the Multidimensional Acculturative Stress Inventory for adults of Mexican origin. Psychological Assessment, 14(4), 451.

88.

Ryder, A. G., Alden, L. E., & Paulhus, D. L. (2000). Is acculturation unidimensional or bidimensional? A head-to-head comparison in the prediction of personality, self-identity, and adjust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1), 49.

89.

Schmitz, P. G. (1992). Immigrant Mental and Physical Health. Psychology & Developing Societies, 4(2), 117-131.

90.

Sellers, R. M., & Shelton, J. N. (2003). The role of racial identity in perceived racial discri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5), 1079.

91.

Shen, B. J., & Takeuchi, D. T. (2001). A structural model of acculturation and mental health status among Chinese American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9(3), 387-418.

92.

Smart, J. F., & Smart, D. W. (1993). Acculturation, biculturalism, and rehabilitation of Mexican Americans, Journal of Applied Rehabilitation Counseling, 24, 46-51.

93.

Taft, R. (1977). Coping with unfamiliar cultures. Studies in Cross-Cultural Psychology, 1, 121-153.

94.

Torres, L., Driscoll, M. W., & Voell, M. (2012). Discrimination, acculturation, acculturative stress, and Latino psychological distress: a moderated mediational model.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18(1), 17.

95.

Waraich, P., Goldner, E. M., Somers, J.M., & Hsu, L. (2004). Prevalence and incidence studies of mood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49(2), 124-138.

96.

Williams, C. L., & Berry, J. W. (1991). Primary prevention of acculturative stress among refugees: Application of psychological theory and practice. American Psychologist, 46(6), 632.

97.

Williams, D. R., Neighbors, H. W., & Jackson, J. S. (2003). Racial/ethnic discrimination and health: findings from community studi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3(2), 200-208.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