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The effects of spouse support and career resili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career-interrupted wome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e support and the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career-interrupted women,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auses of career interruption. One hundred sixty six women, who had taken courses or had come for advice at the Woman Vocation Organizations of Kyongsang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e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diated by career self-efficac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diated by career self-efficacy. Third, career-interrupted women for child-birth and nurture had higher scores in all the variables and higher correlation between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n career-interrupted women for marriag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about career-interrupted women are discussed.

keywords
경력단절여성, 배우자 지지, 진로탄력성,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career-interrupted women, spouse support, career resilience, career self-efficacy

Reference

1.

김건희, 황은희 (2016).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비판적사고 성향, 셀프리더십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2), 436-445.

2.

김동숙, 이영민 (2011). 미취업 기혼여성의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 인식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HRD연구, 6(4), 21-39.

3.

김미경 (2013). 전문대학생 진로탄력성 척도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미영 (2005). 여성실직자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직업포부 수준과의 관계. 한국기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봉환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2차원적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선중 (2005).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수정, 송성화, 조민경 (2013).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진로교육연구, 26(4), 85-107.

8.

김우영 (2003). 결혼과 출산을 중심으로 한 여성 취업률의 동태적 분석. 노동정책연구, 3(1), 67-101.

9.

김정호 (2013). 여성 경력단절의 원인과 임금효과. 사회경제평론, 41, 97-127.

10.

김주영 (2010). 여성의 경력단절과 노동시장 재진입. 노동리뷰, 8, 36-50.

11.

김지경 (2004). 젊은 기혼여성의 출산 후 취업연속성 결정요인. 대학가정학회지, 42(3), 91-104.

12.

김지연, 이기학 (2014). 자아탄력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7(3), 1-25.

13.

김형균 (2003).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의 성별, 학년별 관계분석.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효진, 장윤옥 (2011). 공업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8(7), 1-32.

15.

류호상, 장인봉, 염영배 (2013).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참여 활성화를 위한 실태분석과 정책함의. 한국정책연구, 13(1), 51-75.

16.

민무숙, 오은진, 이시균 (2010). 경력단절 여성 재취업지원 서비스 발전방안. 연구보고서, 8,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7.

박수미 (2003).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여성학, 19(1), 43-80.

18.

박숙경 (2013).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박효진, 은선경 (2012). 경력단절 경험을 가진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의 일-가족양립 정책과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7(1), 5-29.

21.

성경옥, 강혜영 (2015). 경력단절여성의 직업정보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보격차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4), 443-467.

22.

송현심, 홍혜영 (2010).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율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1(3), 1325-1350.

23.

여성부 (2008).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욕구조사연구. 여성가족부.

24.

유성경, 김은석 (2015). 맞벌이 여성 근로자의 일자리 중단에 대한 영향요인 검증: 비연속시간 생존분석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4), 551-569.

25.

유현실 (2013). 진로탄력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성인 진로상담에 대한 시사점. 상담학연구, 14(1), 423-439.

26.

윤경희 (2013).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긍정적 정서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상희 (2006). 진로발달에서 진로장벽과 사회적지지의 역할: 사회인지 진로이론(SCCT)과 사회인지 이론의 검증. 상담학연구, 7 (4), 1123-1135.

28.

이유민 (2013).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은정 (2012).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긍정정서와 진로장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정규 (2006).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고3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20(3), 571-586.

31.

이주연, 이기학 (2014). 내현적 자기애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사회인지진로이론적 관점에서. 진로교육연구, 27(1), 65-81.

32.

이희정 (2009).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장벽 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임은주 (2012). 경력단절여성의 사회적 지지 인식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장서영 (2008).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여성연구, 74(1), 79-104.

35.

전주연 (2014). 청소년이 지각한 긍정심리자본이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정혜욱, 이옥형 (2011). 초임 유아교사와 경력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3), 31-53.

37.

조명실, 최경숙 (2007). 후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모형 검증. 상담학연구, 8(3), 1085-1099.

38.

조혜수 (2005).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부모 애착,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학생생활상담, 23, 57-81.

39.

주재선 (2007). 여성통계연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40.

최윤정, 김계현 (2007). 고학력 기혼여성의 진로단절 위기 경험에 대한 개념도(Concept Mapping) 연구 -진로지속 여성과 중단 여성 간의 비교-. 상담학연구, 8(3), 1031- 1045.

41.

최형재 (2008). 자녀교육과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한국노동연구원.

42.

통계청 (2015). 여성경제활동인구 및 참가율.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72에서 2015, 3, 22 인출.

43.

하애란 (2010). 여성고용지원을 위한 노동법적 과제: 여성의 경력단절요인과 재취업욕구를 중심으로. 노동법논총, 19, 471-508.

44.

황윤경 (1996). 청소년 또래집단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심리사회적 성숙도와의 관계-서울시 중학교 인문계 고교 중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황지영, 박재황 (2015).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직업교육연구, 34(5), 73-101.

46.

Anderson, J. Z., & White, G. D. (1986).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patterns in functional and dysfunctional nuclear families and stepfamilies. Family Process, 25(3), 407-422.

47.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48.

Beach, S. R., Martin, J. K., Blum, T. C., & Roman, P. M. (1993). Effects of marital and co-worker relationships on negative affect: Testing the central role of marriag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1(4), 313-323.

49.

Betz, N. E., & Hackett, G. (1981). The relationship of career-related self-efficacy expectations to perceived career options in college women and 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5), 399-410.

50.

Bimrose, J., & Hearne, L. (2012). Resilience and career adaptability: Qualitative studies of adult career counseling.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1(3), 338-344.

51.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 (Ed.),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pp. 39-101). Hillsdale, NJ: Erlbaum.

52.

Cinamon R. G. (2009). Role salience, social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among Jewish and Arab female teachers in Israel.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36(2), 139-158.

53.

Cinamon R. G., & Rich, Y. (2010). Work family relations: Antecedents and outcome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8(1), 59-70.

54.

Eden, D., & Aviram, A. (1993). Self-efficacy training to speed reemployment: Helping people to help themselv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8(3), 352-360.

55.

Jang, S. Y., & Merriam, S. (2004). Korean culture and the reentry motivations of university- graduated women. Adult Education Quarterly, 54(4), 273-290.

56.

Kaplan, B. H., Cassel, J. C., & Gore, S. (1977). Social support and health. Medical Care, 15(5), 47-58.

57.

Kim, S., Ahn, T., & Fouad, N. (2016). Family influence on Korean students’ career decisions: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4(3), 513-526.

58.

Klohnen, E. (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5), 1067-1079.

59.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1994).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5(1), 79-122.

60.

London, M. (1997). Overcoming career barriers: A model of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es for realistic appraisal and constructive coping.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24(1), 25-38.

61.

Masten, A. S., & Coatsworth, J. D. (1998).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in favorable and unfavorable environments: Lessons from research on successful children. American Psychologist, 53(2), 205-220.

62.

McArdle, S., Waters, L., Briscoe, J. P., & Hall, D. T. T. (2007). Employability during unemployment: Adaptability, career identity and human and social capital.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1(2), 247-264.

63.

Noe, R., Noe, A., & Bachhuber, J. A. (1990). An investigation of the correlates of career motiv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7(3), 340-356.

64.

Rosenbaum, M., & Cohen, E. (1999). Equalitarian marriages, spouusal support, resourcefuln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Israeli working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4(1), 102-113.

65.

Taylor, K. M., & Betz, N. E. (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1), 63-81.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