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unmarried mothers, and to explore moderating effects of the character strengths and the social support between unmarried mothers’ stress and quality of life. We measured unmarried mothers stress, quality of life(WHOQOL-BREF), character strength, social support, parental role satisfaction, stigma, parenting motivation, personality psychopathology five scale, parent support and paternal support. The results showed employment status, health status, family-of-origin stress, work-related stress, optimism, love, negative emotionality/neuroticism, introversion/low positive emotion, and parenting motiv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quality of life of unmarried mothers. This study verified moderating effects of character strengths: love of learning, social intelligence, fairness, forgiveness, humility, prudence, gratitude, sense of humor and social support on relation between unmarried mother stress and quality of life. We discussed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unmarried mothers. Finally,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positive psychology about unmarried mothers, and we discussed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and proposed future research.
강주희, 박종효 (2014). 가정폭력 피해여성을위한 용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상담학연구, 15(6), 2245-2267.
강현아 (2007).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35, 145-165.
고숙경 (2002). 미혼모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공강석, 하승수 (2015). 경찰관 직무스트레스가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격강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1(1), 43-63.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권석만 (2011). 인간의 긍정적 성품: 긍정심리학의 관점. 서울: 학지사.
권석만, 유성진, 임영진, 김지영 (2010). 성격강점검사: 전문가 지침서. 서울: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
김만지 (2000). 미혼모의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김명소, 김혜원, 임지영, 한영석 (2003). 한국인의 행복 현주소: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2003년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171-172.
김명소, 김혜원, 임지영, 한영석, 유기설 (2003). 한국 남녀의 삶의 질 차이에 관한 연구. 2003년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235-236.
김선영, 윤혜영 (2013). 은퇴 남성의 은퇴스트레스, 성격 강점, 결혼불만족이 은퇴 후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4), 553-576.
김영신 (2001). 생애사적 접근을 통한 비혼모의 출산과 양육경험.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5(1), 27-58.
김유정, 조애저, 노충래 (2006). 미혼모의 출산, 양육환경 개선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의철, 박영신 (2004).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973-1002.
김의철, 박영신 (2006).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5). 1-28.
김중술, 한경희, 임지영, 이정흠, 민병배, 문경주 (2005). 다면적 인성검사-2 매뉴얼. (주)마음사랑.
김지영 (2014). 대학생의 성격강점 및 덕성과성격장애와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1(11), 75-99.
김현경, 이민영 (2008). 자발적 비혼모의 선택체험에 관한 연구: Parse의 인간되어감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한국가족복지학, 24, 5-36.
김현미 (2016). 성격의 대표강점과 안녕감과의관계 및 대표강점의 활용에 기반한 안녕감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혜란 (2006). 한부모 여성가장의 스트레스원,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수준.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혜선, 김은하 (2006). 미혼양육모의 양육결정체험: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8, 373-393.
김혜영, 선보영, 김은영, 정재훈 (2009). 미혼부모의 사회통합방안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혜영, 안상수 (2009). 미혼부모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와 의식.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혜정, 백용매 (2006). 낙관성과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대학생의 우울과 생활 만족도에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7(3), 683-699.
김희주, 권종희, 최형숙 (2012). 양육미혼모들의 차별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6(6), 121-155.
남미애 (2013).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우울과 전반적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 한국아동복지학, 55, 91-125.
노승미 (2002). 미혼모가 된 과정과 경험에 대한질적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노충래, 김원희 (2004). 시설거주 미혼모의 입양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7, 49-79.
문태정 (2003). 미혼모의 스트레스에 관한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 (2000).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척도(WHOQOL-BREEF)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39(3), 571-579.
박수현 (2010). 동성애자의 소수자 스트레스와대처 전략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의 차이.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양리, 현명호 (2012). 용서치료 프로그램이성인 아이의 부정적 정서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2), 275-297.
박영신, 김의철 (2006).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질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 세대별지각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1), 161-195.
박종효 (2003). 용서와 건강의 관련성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 302-321.
박종효 (2012). 한국 성인의 용서와 주관적 안녕감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대인관계 신뢰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2), 415-432.
박지원 (1985).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배영미 (2001). 청소년 미혼모의 발생 요인에관한 연구. 국제여성연구소 연구논총, 10(1), 51-80.
변호순, 최정균 (2016). 빈곤 미혼모의 경제적어려움과 우울증상, 양육스트레스, 아동학대와 방임이 아동의 사회행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53, 1-23.
서혜영 (1999). 남성의 일-아버지 역할 갈등과부모역할 만족도 및 부모로서의 유능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서혜영, 이숙현 (2002). 아버지의 직업만족도 및 가족만족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14(3), 27-51.
양귀화, 김종남 (2014). 외상 후 성장 과정에대한 분석: 정서조절곤란,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의 삼중매개효과와 낙관성의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4), 1041-1062.
양민옥 (2012). 초등학생 자녀를 둔 미혼양육모의 양육경험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양윤모 (2007). 익명의 알코올중독자모임(AA)이단주의지에 미치는 영향: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영란 (2004).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삶의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 경인지역 소아암 환아 부모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원두리 (2011). 성격 강점이 청소년의 안녕감과 적응적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1), 151-167.
유태용, 한태영, 안상수, 신강현, 한영석, 탁진국, 노혜미 (2006). 성격이 실직자들의 행동, 생애만족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1), 107-124.
윤미현 (2000). 10대 미혼모의 임신 및 유아 입양 관련 요인들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윤성민, 신희천 (2012). 한국 수도권 중년여성들의 성격적 강점과 행복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1), 27-49.
윤영주 (2001). 한국 체류 중국동포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명순, 박주현 (2008). 입양을 결정한 10대 미혼모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3(3), 187-205.
이미정 (2009). 국내외 입양과 미혼모 복지, 미혼모에 대한 인식개선과 지원방안. 서울:한국여성정책연구원.
이성원 (2009). 미혼 양육모의 부모역할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임선옥 (2002). 재가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임세아, 김일옥 (2013). HVI 감염인의 우울과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2), 363-378.
임영진 (2012). 성격강점과 정신적 웰빙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3), 713-730.
전미주, 권지은, 황순택 (2011). 우울, 불안, 스트레스 대처양식과 성격병리 5요인(PSY-5)의 관계. 인간이해, 32(2), 109-125.
전주언, 이종연 (2015). 지체장애학생 어머니의초월 성격 강점, 삶의 목적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재활심리연구, 22(3), 565-581.
전혜자, 김미량 (2006).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0(3), 115-124.
정태환, 황성훈 (2015). 회피성 성격 성향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성격강점의 조절작용. 한국심리치료학회지, 7(2), 127-141.
최빛내, 김희경 (2011). 탈북 여성의 외상 경험과 성격병리가 심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1), 195-212.
최은미 (2009). 성격강점이 성인의 삶의 만족도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국여성개발원 (1984). 미혼모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홍봉선, 남미애 (2001).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자녀양육과 자립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체계구축방안. 청소년학연구, 18(9), 19-52.
Aspinwall, L. G., & Taylor, S. E. (1992). Modeling cognitive adaptation: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the impact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coping on college adjustment and perform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989-1003.
Brissette, I., Scheier, M. F., & Caver, C. S. (2002). The role of optimism in social network development during a life transi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 102-111.
Carver, C. S., Scheier, M, F., Segerstorn, S, C. (2010). Optimism. Clinical Psychology Review, 30, 879-889
Duke, H. D., Rose, H. A., & Halverson, C. F. (1997). Predictors of parenting satisfaction. Paper presented at 58th NCFR Conference, Kansas City, Missouri.
Graham, J. R., Ben-Porath, Y. S., & McNulty, J. L. (1999). MMPI-2 correlates for outpatient mental health setting.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Harkness, A. R., & Lilienfeld, S. O. (1997). Individual differences science for treatment planning: Personality traits. Psychological Assessment, 9, 349-360.
Linley, P. A., & Joseph, S. (2004). Positive Psychology in Practice. Hoboken, NJ: John Wiley & Sons.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Strengths of character and well-be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 603-619.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eterson, C., Park, N., & Seligman, M. E. P. (2006). Greater strengths of character and recovery from illnes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 17-26.
Proctor, C., Maltby, J., & Linley, P. A. (2011). Strengths use as a predictor of well-be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2, 153-169.
Rocha NS., Power, M., Bushnell, D., Fleck, M. (2009). Is there a measurement overla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Comprehensive Psychiatry, 30, 549-555.
Shimai, S., Otake, K.,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6). Convergence of character strengths in American and Japanese young adult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7, 311-322.
Veronika, H., & Lance, H. (2010). Psychological strengths and cognitive vulnerabilities: Are they two ends of the same continuum or do they have independent relationships with well-being and ill-being?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1, 7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