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내현적 자기애 성향 여자 대학생들의 진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on Career Experience of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the Covert Narcissism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realize and understand in depth on the issue of career path appealed by female college students, who are on the time of searching for their career path. In previous studies, narcissism is the ongoing major factor in the achievement-oriented culture of modern society. The narcissism classified into Overt narcissism and Covert narcissism according to its aspect and internalized shame as well as dysfuntional career thoughts like perfectionism were meaningful intervening variable related to career.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narrative research method to look into experience by college students with covert narcissism on the process of choosing career path as well a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In the light of this, career counselling was conducted for three of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the narrative analysi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frequently talked about perfectionism, shame, and vague frustration when choosing career path. Especially, there were various themes such as ‘perfection’, ‘unstable goal’, ‘emptiness’, ‘seeking for recognition’, ‘anxiety about performance of inferiority’, ‘low self-esteem’. For them, career counseling is a process of overcoming optimal frustration, which means recognizing realistic self and supporting process of career decision to step forward.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of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in understanding the career problems of female college students.

keywords
Female College Students, Career Counseling, Covert Narcissism, Perfectionism, Shame, Narrative Inquiry., 여자 대학생, 진로상담, 내현적 자기애, 완벽주의, 수치심,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1.

강선희, 정남운 (2002).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969-990.

2.

구현경, 김종남 (2014). 내현적 자기애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 부적응적 완벽주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5(2), 609-636.

3.

권미소, 오인수 (2015). 비합리적 신념과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와 낙관성의 매개효과. 교육문제연구, 28(1), 29-52.

4.

김경희, 정혜정. (2011). 대학생들의 성, 사랑, 결혼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수업 중 저널쓰기를 기초하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4), 51-71.

5.

김방글, 오수성 (2009). 실패 경험이 외현적,내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자존감에 미치는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4), 1069-1083.

6.

김성주, 이영순 (2015).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 평가염려 완벽주의, 부정평가에 대한 두려움,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1), 199-216.

7.

김영윤, 이은진, 김범준 (2011). 대학생의 자기애, 우울과 정신병질 성향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1), 97-113.

8.

김은석, 정남운. (2006).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적 지지가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6(1), 502-503.

9.

김은정 (2014). 20대 청년층의 새로운 생애발달단계로서 “성인모색기”(Emerging Adulthood)에 관한 탐색 연구. 담론 201, 17(3), 83-129.

10.

김은혜 (2009). 공적 자의식, 자기제시 동기에따른 내현적 자기애와 완벽주의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지윤, 이동귀 (2013).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14(1), 63-82.

12.

김태석, 이기학 (2012). 대학생의 자기애 성향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13(4), 123-141.

13.

김홍석 (2013). 대학생의 취업불안에 영향을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상담학연구, 14(2), 1165-1187.

14.

남미자 (2013). 초원을 달릴 수 없는 경주마:대학생들의 취업에 관한 내러티브. 교육인류학연구, 16(2), 155-192.

15.

민지영 (2015).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내러티브 탐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학술대회, 45-51.

16.

박동숙 (2004). 내현적 자기애와 불안, 완벽주의, 강박증상간의 관련성. 성신여자대학원석사학위논문.

17.

박승민, 김광수, 방기연, 오영희, 임은미 (2012). 근거이론 접근을 활용한 상담연구과정. 서울: 학지사.

18.

박지연, 신민섭, 김은정. (2011).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신체에대한 수치심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3), 663-679.

19.

박혜선, 김봉환 (2013). 여대생의 완벽주의 성향이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4(1), 343-357.

20.

선혜연, 이제경, 김선경 (2012). 진로미결정 대학생의 진로고민 내용 및 원인과 결과. 아시아교육연구, 13(2), 1-24.

21.

손은령, 김계현 (2002). 여자대학생이 지각한진로장벽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1), 121-139.

22.

송언희, 강연우, 허보연, 하정희 (2008). 자기제시동기에 따른 자기애와 진로미결정과의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3), 819-838.

23.

위혜정 (2008). 완벽주의가 내현적 자기애 성향에 미치는 영향: 분노표현양식을 매개변인으로. 덕성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24.

이상희, 박서연, 김신우 (2013). 진로선택에서우연을 기회로 만든 직장인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인간이해, 34(1), 111-133.

25.

이준득, 서수균, 이훈진. (2007).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자기개념 명료성과부정적 정서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2), 463-477.

26.

장효진, 안명희. (2015). 대학생의 병리적 자기애가 부적응적 자기제시에 미치는 영향:수치심과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의 매개역할. 상담학연구, 16(2), 249-271.

27.

차아름, 이희경 (2014). 심리적 진로장벽, 환경적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희망을 매개변인으로. 상담학연구, 15(1), 343-358.

28.

최영민 (2011). (쉽게 쓴) 자기심리학. 서울: 학지사.

29.

최윤진, 임현정 (2010). ‘알파걸’의 실재 및 진로발달 특성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1(2), 203-230.

30.

최인선, 최한나 (2013).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5), 2815-2831.

31.

하은혜, 곽진영 (2010). 청소년의 자기애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7(3), 315-331.

32.

황선정, 조성호 (2015). 병리적 자기애의 하위유형에 관한 연구: 구성주의 자기 조직화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3), 613-640.

33.

Arnett, J. J. (2007). Emerging adulthood: What is it, and what is it good for? Child development perspectives, 1(2), 68-73.

34.

Akhtar, S., & Thomson. A. (1982). Overview: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1), 12-20

35.

Burns, D. D. (1980). The perfectionist’s script for self-defeat. Psychology today, 14(6), 34-52.

36.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7). 내러티브 탐구. 서울: 교육과학사.

37.

Emmons, R. A. (1984). Factor analysis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8(3), 291-300.

38.

Fedewa, B. A., Burns, L. R., & Gomez, A. A. (2005). Positive and negative perfectionism and the shame/guilt distinction: Adaptive and maladaptive characteristic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8(7), 1609-1619.

39.

Frost, R. O., Marten, P., Lahart, C., & Rosenblate, R. (1990). The dimensions of perfectionism.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5), 449-468.

40.

Hewitt, P. L., & Flett, G. L. (1991).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3), 456.

41.

Krumboltz, J. D. (1996). A learning theory of career counseling.

42.

Polkinghorne, D. E. (1988). Narrative knowing and the human sciences: Suny Press.

43.

Raskin, R., & Terry, H. (1988). A principalcomponents analysis of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and further evidence of its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5), 890.

44.

Rathvon, & Holmstrom, R. (1996). An MMPI-2portrait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6, 1-19.

45.

Rose, P. (2002). The happy and unhappy faces of narciss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3(3), 379-391.

46.

Saha, L. J., & Sikora, J. (2008). The career aspirations and expectations of school students:from individual to global effects. Education and Society, 26(2), 5-22.

47.

Savickas, M. L. (2011). Career counselin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8.

Shafran, R., Cooper, Z., & Fairburn, C. G. (2002). Clinical perfectionism: A cognitive-behavioural analysi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0(7), 773-791.

49.

Sorotzkin, B. (1985). The quest for perfection:Avoiding guilt or avoiding shame?.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22(3), 564.

50.

Wink, P. (1991). Two faces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4), 590.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