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기혼자녀를 둔 중년기 전업주부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배우자지지와 자녀지지의 조절효과

Moderate Effect of Spouse Child Support in Relation to Life Stress and Satisfaction of Middle-Aged Housewife having Married Children in Korean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와 자녀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실제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기혼여성 35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중 330부를 회수 하였다. 본 연구는 회수된 자료 중 기혼자녀 1인 이상을 포함한 45세에서 60세 사이의 중년기 전업 주부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불성실하게 답한 설문지 2부와 미혼 자녀만을 둔 중년기 전업주부의 설문지 5부를 포함하여 총7부를 제외하고 최총 323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 배우자 지지는 가족관계스트레스를 제외하고 중년여성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의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에 중년여성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감의 관계에서 자녀지지는 역할관계, 경제적 문제 전체 생활사건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역할변인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중년여성, 생활사건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배우자지지, 자녀지지, Aged women, Life event stress life satisfaction, Spouse support, Child suppor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e effect of support of the child and spouse on life event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in middle - aged women.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350 married women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 - do, and 330 of them were collected. A total of 32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ept for 7 questions including two questionnaires that were unfaithfully answered and five questionnaires of middle - aged full - time housewives with unmarried children becau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middle-aged full-time housewives between 45 and 60 years of age, including one or more married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pousal suppor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event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in middle - aged women, except family relationship stress. 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event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child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ole variable moderating the life event stress of all life including economic problems, role relation stress. Based on these results, It presented to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keywords
중년여성, 생활사건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배우자지지, 자녀지지, Aged women, Life event stress life satisfaction, Spouse support, Child support

참고문헌

1.

강현숙, 한상숙 (2000). 류마티스관절염과 섬유조직염환자의 증상, 일상생활, 자기효능 및 가족지지 비교 연구. 류마티스건강학회지, 7(1), 25-39.

2.

강희숙, 이춘희 (2017). 중년여성의 정신 심리적 요인에 아로마 테라피가 미치는 효과-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인문사회 21, 8(1), 757-774.

3.

김미령 (2012). 노인의 스트레스와 성인자녀의 지지가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32(단일호), 1-27.

4.

김미옥, 이미숙 (2017). 중년기 여성의 대인애착, 내현적 자기애 및 배우자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집, 36(1), 57-84.

5.

김세영, 정태연 (2013). 한국 어머니에게 자녀가 갖는 삶의 의미.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3(1), 149-149.

6.

김수정 (2015). 맞벌이 부부의 배우자 지지와 직무 만족과의 관계에서 일-가족 향상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7.

김수정, 유성경 (2016). 일-가족 양립에 관한 배우자 지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4), 971-1002.

8.

김숙영, 전은영, 김귀분, 서연옥 (2002). 중년여성의 자아실현과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14(4), 602-611.

9.

김순옥, 김현숙 (2016).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와 가족지지가 자녀양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6), 462- 473.

10.

김순옥, 임현숙, 정구철 (2013).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가족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1), 221-235.

11.

김시연, 서영석 (2010).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결혼만족 간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2), 189-213.

12.

김은하, 김혜림 (2015).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화병간의 관계: 내외통제성을 통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의 매개된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상담일반, 16(5), 33-47.

13.

김은아, 최윤정, 이미경 (2018). 노인의 우울, 자살사고와 삶의 질의 관계.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6(2), 179-208.

14.

김정호 (2007).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 웰빙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2), 325-345.

15.

김정희 (1992). 중년 여성의 적응과 일상적 스트레스 및 정서적 경험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4(1), 54-68.

16.

김진이 (2016). 중년 여성의 일상생활스트레스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영적 안녕과 대처기제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54, 41-75.

17.

김필숙, 심재만 (2015). 배우자 지지가 한국사회 여성 삶에 미치는 영향력.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65-265.

18.

김현동, 이상우 (2017). 맞벌이 여성근로자의 자녀부양책임감과 배우자인 남편의 역할이 직장과 가정의 긍정적 전이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4(4), 83- 106.

19.

신혜섭 (2006). 중년기 위기와 가족 스트레스. 동덕여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1, 84-90.

20.

서은희, 최지연, 정영숙 (2018). 중년 여성의 노화 불안과 미래 시간 조망 및 행복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1(2), 21-40.

21.

이서영 (2016). 가족스트레스가 중년기 기혼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과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1), 141-158.

22.

이승숙, 정문주 (2017). 한국에서 ‘졸혼 (卒婚)’을 원하는 여성들.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4), 689-711.

23.

이여봉 (2012). 중년여성의 노후 준비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4, 31-70.

24.

이인숙 (2002). 기혼여성의 우울과 배우자 지지. KJWHN(여성건강간호학회지), 8(4), 482-493.

25.

이인정 (2009). 초고령 노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1(1), 359-382.

26.

이윤석 (2011). 부모의 성인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 관련 태도 연구. 한국인구학, 34 (3), 1-30.

27.

이평숙. (1984). 생활사건과 관련된 스트레스량 측정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8.

왕인순 (2010). 요가 자세․요가 호흡․요가 이완 프로그램이 비정규직 여성노동자들의 스트레스의 신체증상, 피로, 스트레스 반응 및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1), 67-90.

29.

장현숙 (2007). 취업모의 직업만족도. 배우자지지 및 母와子의 애착특성이 母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장혜경, 손정남 (2017). 중년기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요인.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 609-621.

31.

전경숙, 정태연 (2012). 한국사회 중년기 전업주부의 삶의 재평가.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1), 19-44.

32.

정영숙, 최효선, 성지훈 (2008). 원격대학 전업/취업 주부 학습자의 인구통계학적 및 교육적 특성. 평생교육학연구, 14, 103-132.

33.

조금숙, 조증열. (2004).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심리적 안녕감.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9(3), 27-41.

34.

조혜숙 (2013). 중, 노년기 부부관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탄력성의 조절역할. 생애학회지, 3(2), 1-19.

35.

조 하, 신희천 (2009).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21(4), 1011-1026.

36.

차영란, 김기범, 전경숙 (2007). 중년여성의 일상생활속의 사회적 역할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3), 299 -313.

37.

최명숙, 한금선 (2008). 고 3 자녀를 둔 한국중년여성의 정서와 삶의 질, 스트레스와의 관계. 스트레스硏究, 16(1), 29-37.

38.

최영희 (1983). 지지적 간호중재가 가족지지행위와 환자역할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39.

하춘광, 석희정 (2015). 호주이민 한인 중년여성의 가족지지와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3), 63-80.

40.

황혜원, 신정이 (2009). 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역할갈등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1), 45-71.

41.

Aiken, L.,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Sage.25-35.

42.

Beiser, M. N., & Hou, F. (2006). Ethnic identity, resettlement stress and depressive affect among Southeast Asian refugees in Canada. Social Science & Medicine, 63(1), 137-150.

43.

Bernice, L. N. (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Bernice L. Neugarten, Robert J. Havighurst, Sheldon S. Tobin. Journal of Gerontology, 16(2), 134-143.

44.

Brody, E. M. (1981). “Women in the middle” and family help to older people. The Gerontologist, 21(5), 471-480.

45.

Diener, E. D.,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46.

Erikson, E. H. (1968). Life cycle, ln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New York: The Free Press.

47.

Feldman, D. B., & Snyder, C. R. (2005). Hope and the meaningful life: Theoretical and empirical associations between goal-directed thinking and life mean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4(3), 401-421.

48.

Henderson, V. W., Guthrie, J. R., Dudley, E. C., Burger, H. G., & Dennerstein, L. (2003). Estrogen exposures and memory at midlife A population-based study of women. Neurology, 60(8), 1369-1371.

49.

Holmes, T. H., & Rahe, R. H. (1967).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1(2), 213-218.

50.

Lazarus, R. S., & Folkman, S. (1984). Coping and adaptation. The handbook of behavioral medicine, 282-325.

51.

Maunsell, E., Brisson, J., Mondor, M., Verreault, R., & Deschênes, L. (2001). Stressful life events and survival after breast cancer. Psychosomatic Medicine, 63(2), 306-315.

52.

Ro, M. O., & Park, K. R. (2008). The influence of life stresses and coping behavior of the middle-aged working men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7(2), 255-269.

53.

Tak, Y. R., & McCubbin, M. (2002). Family stres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following the diagnosis of a child's congenital heart diseas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9(2), 190-198.

54.

Wrosch, C., Jobin, J., & Scheier, M. F. (2017). Do the emotional benefits of optimism vary across older adulthood? A life span perspective. Journal of Personality, 85(3), 388-39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