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effect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marital quality through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mediating effect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81 pairs of pregnant couples in Seoul and Gyeonggi(total 562). APIM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tor-effect of insecure adult affection on marital quality appeared. Second, actor-effect of insecure adult affection on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nd the partner-effect of pregnant women were revealed. Third,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showed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effect on marital quality. Fourth, both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effect of the indirect path to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marital quality through the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were fou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marital quality and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were suggested.
강수경, 김해미, 정미라 (2018). 임산부의 원가족 어머니애착과 태아애착 간의 관계에서 불안정 성인애착과 부부관계 질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3(1), 1 -23.
강지영, 이인수 (2017). 단절 및 거절도식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매개효과: 자기-상대방효과. 상담학연구, 18(2), 351-373.
강진경, 신수진, 최혜경 (2001). 결혼지속연수에 따른 한국 부부의 사랑구조의 변화 양상.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51-66.
권선림, 이신화, 신지영, 천성문 (2012). 부부의 심리적 독립, 자기분화, 갈등해결전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서정신과학, 15(1), 27-42.
김광은 (2005). 성인 애착 유형에 따른 결혼만족도 및 부부 갈등 대처 전략.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707- 734.
김민희, 민경환 (2007). 중년기 부부의 애착과 결혼만족: 애착유형과 결혼만족의 매개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7(1), 213- 233.
김성현 (2004). 친밀 관계 경험 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항 반응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수민, 이지연 (2015). 기혼 여성의 불안정 애착유형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과 부정적 갈등해결 전략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1), 251-264.
김용주, 장현아 (2017).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이성 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4(10), 61- 82.
김은혜, 이선희, 이운경, 김민주, 도현심 (2017). 임신기 부부의 첫 부모됨 적응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2(1), 1-39.
김진아 (2016). 정서표현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자기효과 및 상대방 효과;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혜숙 (2008). 가족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백현정 (2009). 임산부의 모애착과 태아애착의 관계에서 배우자지지 지각과 정서상태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성미혜, 주경숙 (2011). 임부의 결혼만족도와 배우자 지지가 태교실천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7(1), 31-38.
성지원 (2015). 대학생의 가족 간 의사소통과 갈등해결전략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안자경, 장문선 (2016). 성인애착과 이성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의 관계: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7(3), 363-394.
연수진, 서수균 (2013). 이성관계에서 안정애착이 갈등해결전략과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2), 411- 431.
우수정, 이 영 (2010). 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양육협력의 매개효과 검증. 대한가정학회지, 48(7), 89-97.
이명신, 김유순 (2016). 부부권력, 변화주장, 갈등해결전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년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13(2), 179-213.
이선미, 전귀연 (2001). 결혼초기 남편과 아내의 부부갈등과 갈등대처방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203-220.
이영숙, 박경란 (2009). 기혼남성의 성격유형, 갈등대처방법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8(2), 275-286.
이윤정 (2016). 중년 부부의 성인 애착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과 상대방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미라, 강수경, 이혜진 (2012). 임신기 부부의 부부관계 질과 태아애착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50(4), 51-61.
정미라, 김민정, 이방실 (2015). 어머니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행동 간의 관계: 부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355- 373.
정복자, 조성희 (2017). 부부의 마음챙김, 내외통제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형 (APIM) 적용. 가족과 가족치료, 25(2), 301-326.
정현숙 (2001). 한국형 결혼만족도 척도 개발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2), 205-517.
정혜경, 김경희, 염순교, 송미승, 안옥희, 이종화 (2003). 임부의 가족지지와 임신의도 및 산전자가간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9(3), 319-326.
조성경, 최연실(2007). 결혼초기 기혼남녀의 원가족특성과 갈등 및 상담요구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17-35.
최규련 (2015). 부부문제와 부부상담. 서울: 신정.
최유리 (2013). [Baby & Kids’ Brain] 똑똑한 태아와 아기를 위한 두뇌육아법. 브레인, 38, 46-49.
한혜영, 현명호(2006).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부부 조망수용과 갈등해결 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4), 935 -952.
홍종배 (2006). 글로벌시대의 갈등 관리 : 한국인과 미국인의 문화 내 및 문화 간 갈등 관리 전략의 비교.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6, 168-201.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
Cobb, R. J., Davila, J., & Bradbury, T. N. (2001). Attachment security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role of positive perceptions and social suppor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7(9), 1131-1143.
Cook, W. L., & Kenny, D. A. (2005).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 model of bidirectional effects in developmental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9(2), 101-109.
Corcoran, K. O. C., & Mallinckrodt, B. (2000). Adult attachment, self‐efficacy, perspective taking, and conflict resolution.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78(4), 473-483.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
Floyd, F. J., & Widaman, K. F. (1995). Factor analysis in the development and refinement of clinical assessment instruments. Psychological Assessment, 7(3), 286.
Fraley, R. C., & Shaver, P. R. (2000). Adult romantic attachment: Theoretical developments, emerging controversies, and unanswered question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4(2), 132.
Fraley, R. C., Waller, N. G., & Brennan, K. A. (2000).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of self-report measures of adult attach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2), 350.
Gallo, L. C., & Smith, T. W. (2001). Attachment style in marriage: Adjustment and responses to interactio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18(2), 263-289.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Kenny, D. A. (1996). Models of non- independence in dyadic research.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13(2), 279- 294.
Kenny, D. A., Kashy, D. A., & Cook, W. L. (2006). Dyadic analysis. NY: Guilford.
Kulik, L., &Havusha-Morgenstern, H. (2010). An ecological approach to explaining women’s adjustment in the initial stage of marriage. Contemporary Family Therapy, 32(2), 192-208.
Kulik, L., Walfisch, S., & Liberman, G.(2016). Spousal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marital relations in late adulthood. Personal Relationships, 23(3), 456-474.
Molero, F., Shaver, P., Fernández, I., & Recio, P. (2017). Attachment insecurities, life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from a dyadic perspective: The rol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7(3), 337-347.
Overall, N. C., Girme, Y. U., Lemay Jr, E. P., & Hammond, M. D. (2014). Attachment anxiety and reactions to relationship threat: The benefits and costs of inducing guilt in romantic partn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6(2), 235.
Pietromonaco, P. R., Greenwood, D., & Barrett, L. F. (2004). Conflict in adult close relationships: An attachment perspective. Doctoral dissertation, Massachusetts University. Massachusetts, U.S.
Rahim, M. A. (1983). A measure of styles of handling interpersonal conflic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6(2), 368-376.
Wilmot, W. W., & Hocker, J. L. (2001). Interpersonal conflict. New York: McGraw-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