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ystematically and synthetically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areer-interrupted women’s employment support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 using meta-analysis. To do this, twelve related studies conducted in Korea were selected and the effect sizes of various variables included in each study were calculated. In addition, we calculated the effect size of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total effect size of the program for career-disrupted women, the main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career support program for career-disrupted women is .985,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large effect size. Second, to examine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career support program for career-disrupted women, the effect size was analyzed based on the main variables As a resul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were published in journals, the effect size was larger when they were not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Depending on the control group, the effect size was larger when there was no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ssions, the effect size was larger whe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more than 10 sessions. The effect size of the program effect area was in the order of employment and career variable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variables, and program satisfaction. Participation generation showed a large effect size when two generations participated and there was a large effect size when less than 10 participants participated.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describe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nd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for career-disrupted women.
권경인, 조수연 (2013). 청소년 스트레스 감소및 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1), 41-62.
권일진 (2014). 생애진로설계가 경력단절 중년여성의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희경 (2010). 경력 단절 기혼 여성의 재취업 욕구 관련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1), 87-98.
김계현 (2002). 교육상담에서의 효과성 연구와 메타분석. 아시아교육연구, 3(1), 131-155.
김난주 (2014). 여성의 경력단절 발생과 대책 <2013년 경력단절여성 등 경제활동실태조사)결과를 중심으로. 젠더리뷰, 32, 13- 27.
김난주, 이택민, 강민정, 박미연, 안주희 (2013).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실태조사. 여성가족부.
김신향, 김형수 (2014).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사회과학연구, 40(3), 77-97.
김유경 (2013). 생애단계별 여성의 취업행태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199, 39-56.
김인선 (2005). 경력단절 여성 경력지원프로그램의 효과연구-서울지역 14개 여성인력개발센터를 중심으로. 산업과 경영, 12(1), 89-112.
김종희, 주용국 (2014).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HRD연구, 16(3), 185-223.
김지희 (2012).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정책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현희 (2017). 진로적응성 프로그램이 경력단절여성에게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노성숙, 한영주, 유성경 (2012). 한국에서 워킹맘으로 살아가기: 직장인 엄마의 다중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24(2), 365-395.
문수이 (2016). 인간중심 집단미술치료가 경력단절 여성의 인생태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호남대학교 복지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민무숙, 오은진, 이시균 (2010). 경력단절 여성 재취업지원 서비스 발전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연구보고서.
박상규, 신인수, 정진원 (2012).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운동학 학술지, 14(3), 1-11.
박성미 (2010).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욕구형태에 따른 진로행동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2(2), 165-179.
박소연, 신인수 (2011). 국내 노인을 대상으로 한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이 근력증가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8(3), 38-48.
박예슬 (2011).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효과분석-노동부 WIN(Woman Into New Jobs․Career․Life)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재규 (2010). 경기도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욕구 분석 및 지원방안 연구. GRI 연구논총, 12(2), 225-252.
방서연 (2016). 집단미술치료가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류호상, 장인봉, 염영배 (2013).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참여 활성화를 위한 실태분석과 정책함의. 한국정책연구, 13(1), 51-75.
서경희, 곽원준, 심지현 (2014). 경력단절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취업진로연구, 5(4), 57-88.
엄경애, 양성은 (2011). 기혼여성의 경력단절 및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1), 21-40.
여성가족부 (2017). http://www.mogef.go.kr/cs/cbwMain.do
여숙현, 김명식 (2016). REBT 진로 집단상담이 경력단절 30대 기혼여성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Digital Convergernce, 14(9), 571-577.
오영신 (2018).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관련 욕구에 관한 연구-심층면접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은진, 박성정, 민현주, 김난주, 송창용, 김지현 (2008).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욕구조사 연구. 여성부.
오은진, 이한나 (2013). 기혼여성의 직업 이동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52(1), 133-161.
유희정 (2015).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장벽 지각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사고개발, 11(1), 155-178.
윤혜경 (2008).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직업진로 탐색 경험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14(1), 83-112.
이미지, 장세영, 지 은 (2015). 장애학생 대상 진로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특수교육학연구, 50(3), 291-312.
이영민, 노경란, 최윤선 (2009).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사회적 지지 인식과 흥미도를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5(2), 45-72.
이창향 (2014). 재취업 준비프로그램이 경력단절 중년여성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경, 김진숙 (2018).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집단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19(1), 195-216.
이희정, 김금미 (2010). 진로상담: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장벽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1(2), 623-640.
임은미, 임찬오 (2003). 국내 집단 진로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청소년상담연구, 11(1), 3-11.
장서영, 오민홍, 은혜경, 최미정, 정미나, 우영주 (2007).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프로그램개발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장서영, 안선영 (2007).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Andragogy Today, 10(4), 25-45.
장서영 (2008).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여성연구, 74, 79-104.
장서영, 은혜경, 최미정 (2008). 경력단절여성 경력개발지원 프로그램 개발. 진로교육연구, 21(4), 1-21.
장지연, 전병유 (2005).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 제고를 위한 정책. 노동부.
전연숙, 주영아 (2016). 경력단절 여성의 도움추구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취업진로연구, 6(4), 45-70.
정명혜 (2012). 중년기 기혼여성의 취업경력 지속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선형, 탁진국 (2011). 성인용 구직장애 요인 탐색 검사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4), 1165-1188.
조한익, 권혜연 (2011).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업관련 변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청소년학연구, 18(7), 163-183.
최경화, 탁진국 (2017). 경력단절여성 대상 강점 중심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자존감, 구직효능감,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1(1), 73-97.
최유진, 손은정 (2016). 경력단절여성의 배우자 지지와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4), 749-768.
최형묵 (2016). 긍정심리기반 진로그룹코칭프로그램이 경력단절여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혜영 (2017).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5(3), 289-301.
하지연, 신성만 (2015). 인터넷 중독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441-441.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욕구조사연구. 여성가족부.
황수경 (2003). 여성의 직업 선택과 고용 구조. 한국노동연구원.
황여정, 변정현, 전현정 (2016). 청소년의 세대통합역량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황윤주, 이희수 (2014). 프로그램 논리모형을 활용한 경력단절여성 재취업지원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서울시 S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33(6), 55-79.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Borenstein, M., Hedges, L., Higgins, & Rothstein, H. R. (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West Sussex: John Wiley & Sons, Ltd.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behavior sciences, (2nd ed). Hillsdale, NY; Lawrenece Erlbaum Associates
Faisal, F., & Khan, M. M. (2011). Individual and structural determinants of intrinsic work preference among female public servants in Pakistan. Australian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Research, 1(3), 63-74.
Glass, G. V. (1976). Primary, secondary,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er, 5, 3-8.
Lipsey, M. W., & Wilson, D. B. (2001). Practical meta-analysis. Sage Publications, Inc.
Littell, J. H., Corcoran, J., & Pillai, V. (2011).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정인숙, 전성숙, 황선경, 김동희, 하주영 역). 서울: 원서출판. (원본,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