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This study, us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 analyzed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 with adolescent single mothers (N = 8). As a result, 51 items for Anxiety factors and 37 items for Needs factors were extracted. Multidimensional Analysis (MDS) and a two-step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underlying dimensions and clusters. For the risk factor, five clusters (‘emotional burdens of child-rearing;’ ‘financial burdens of child-rearing;’ ‘fear and concerns about future life;’ ‘concerns about future romantic relationships;’ and ‘concerns about stereotypes’) were distributed on: (a) x-axis for ‘emotional and instrumental factors’ and (b) y-axis for ‘being a woman as a person and as a mother.’ Protective factors regarding the independence of adolescent single mothers consisted of three clusters (‘desire for perceived well-being;’ ‘desire for instrumental and educational supports;’ and ‘desire for social support’) were distributed on: (a) x-axis was for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b) y-axis was for ‘instrumental and human resources.’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include: (a) exploring the concept structure of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f Korean adolescent single mothers who are about to leave the rehabilitative institutions and (b) identifying their unique and lively experiences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f adolescent single mothers particularly from their own perspectives before leaving the facility.
김나래, 이기학 (2016). 여성의 자발적 경력변경 영향 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상담학연구, 17(1), 227-248.
김윤아, 이형하, 김혜선 (2008). 미혼 양육모의양육체험. 청소년복지연구, 10(1), 1-20.
김은지, 김동식, 최인희, 선보영, 김나연, 정다은 (2013). 청소년 한부모가족 종합대책 연구II: 청소년 한부모가족 지역사회 지원체계 모형개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2, 1-28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김은지, 최인희, 최윤정, 최진희, 김혜영 (2016). 청소년한부모 자립지원 패키지 개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161.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은지, 황정임 (2012). 저소득한부모 가족 아동양육비 지원방안 연구. 젠더리뷰, 26, 79-83.
김지연 (2014). 청소년 한부모의 생활실태 및 자립지원 방안. NYPI 청소년정책 리포트, 51, 1-1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김지연, 황여정, 이준일, 방은령, 강현철, 곽종민, 박민영 (2013). 청소년 한부모가족 종합대책 연구Ⅱ. 청소년 한부모 유형 및 생활주기별 대응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41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김지연, 한나리, 이동귀 (2009). 상담일반: 초심상담자와 상담전문가가 겪는 어려움과 극복방안에 대한 개념도 연구. 상담학연구, 10(2), 769-792.
김지혜, 조성희 (2016). 양육미혼모의 자립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8(2), 149-180.
김혜경, 선보영, 김은영, 정재훈 (2009). 미혼부모의 사회통합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혜선, 김은하 (2006). 미혼양육모의 양육결정체험: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8(1), 373-393.
김희주, 조성희, 김지혜 (2017). 미혼모 차별경험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56, 169-196.
남미애 (2011). 청소년쉼터에서 생활하는 가출청소년의 요인별 생활만족이 청소년발달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3(4), 203-229.
문순영 (2015). 미혼모자 가족에 대한 복지정책의 특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31(2), 73-103.
박동진, 김혜성, 김희숙, 이설아, 엄주희, 권오용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18(4), 323-372.
손승영 (2017). 양육미혼모의 당사자조직 참여경험과 인식 변화. 여성학연구, 27(1), 35-66.
송지현, 정소희 (2014). 청소년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37(1), 31-57.
여성가족부 (2019). 2019년 한부모가족지원사업 안내. http://www.mogef.go.kr/nw/enw/nw_enw_s001d.do?mid=mda700&bbtSn=705888에서 2019, 3. 자료 추출
윤형옥 (1993). 부산지역 미혼모의 성경험, 임신, 분만실태 및 향후 생활계획에 대한 조사연구.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논문.
이경숙, 노정숙, 김수진 (2017). 미혼모의 정신건강과 모-자녀 상호작용 특성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4). 467-489.
이용우, 양호정 (2017). 양육 미혼모의 자립지원 프로그램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1(1), 115-145.
이은림, 이근매 (2005).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미혼모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2(4), 845-867
이현주, 엄명용 (2013). 미혼 양육모 삶의 경험에 관한 질적 종단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40, 157-187.
장복례 (2006). 우리나라 미혼모 복지정책의 실태 및 개선방안.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온정 (2017). 재가 미혼모의 홀로서기 경험연구: 탈시설 과정을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 25(3), 497-528.
장인경 (2013). 자립 동기화 프로그램이 위기청소년의 삶의 목적, 자립의지 및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신영, 이동귀, 박현주 (2012). 자살시도 병사의 불안요인과 욕구요인에 관한 개념도연구. 상담학연구, 13(1), 113-133.
조규필, 정경은 (2016). 취약청소년의 자립준비도 분석. 청소년학연구, 23(3), 267-292.
조주은 (2010). 양육 미혼모 관련 정책 현황과 개선방안, 국회입법조사처 현안보고서 89. 1-70.
지수연 (2012). 보호시설 청소년 미혼모의 학습된 무기력 감소를 위한 예비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상담평가연구, 5(1), 13-20.
최윤정, 김계현 (2007). 진로상담: 고학력 기혼여성의 진로단절 위기 경험에 대한 개념도 (Concept Mapping) 연구-진로지속 여성과 중단 여성 간의 비교. 상담학연구, 8(3), 1031-1045.
통계청 (2017). 연도별 요보호아동 발생 및 조치현황.
통계청 (2017). 한부모 가구 비율.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78에서 2019, 2, 자료 추출.
한부모가족지원팀 (2016). 심리적 울타리 형성을 위한 미혼모 프로그램. 연세상담코칭연구, 6, 153-174.
홍봉선, 남미애 (2011).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자녀양육과 자립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체계구축방안. 청소년학연구, 18(9), 19-52.
Bedi, R. P. (2006). Concept mapping the client's perspective on counseling alliance form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3(1), 26-35.
Giullari, S., & Shaw, M. (2005). Support or controlling? New labour’s housing strategy for teenage parents. Critical Social Policy, 25(3), 402-417.
Goodyear, R. K., Tracey, T. J., Claiborn, C. D., Lichtenberg, J. W., & Wampold, B. E. (2005). Ideographic concept mapp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Conceptual overview, methodology, and an illustr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236-242.
Hair, J. F., & Black, W. C.. (2000). Cluster Analysis. In L. G. Grimm, & P. R. Yarnold, Reading and understanding more multivariate statistics (pp. 147-205). Washington, DC: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arding, J., & Kirk, P. (2004). The housing and support needs of teenage mothers. Housing Care and Support, 7, 16-19.
Kane, M., & Trochim, W. M. (2007).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Thousand Oaks, CA: Sage.
Mollborn, S., & Dennis, J. A. (2012). Investigating the Life Situations and Development of Teenage Mothers’ Children: Evidence from the ECLS-B. Population Research and Policy Review, 31(1), 31-66.
Riger, S. (1999). Measuring subjectivities: Concept mapping as a feminist research method:Examining the community response to rape.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3(1), 9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