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여성근로자의 직무자율성, 사회적 지지와 직무열의 및 소진과의 관계에서 주도적 성격의 조절효과 검증 : 생산직과 사무직의 비교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in the Relations of Job Autonomy, Social Support, Work Engagement and Job Burnout: Comparison between female labor and office workers.

초록

본 연구는 사무직과 생산직 여성근로자의 직무자율성, 사회적 지지와 직무열의 및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주도적 성격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관계구조 모형에서 사무직과 생산직 여성근로자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만 19세 이상의 여성근로자 371명으로, 이 중 사무직 여성근로자는 244명이었고 생산직 여성근로자는 127명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근로자의 직무자율성, 사회적 지지와 직무열의 및 소진과의 관계에서 주도적 성격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절모형에 대한 사무직과 생산직 여성근로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무직 여성근로자 집단과 생산직 여성근로자 집단의 직무자율성, 사회적지지, 주도적 성격과 직무열의 및 직무소진의 관계구조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사무직과 생산직 여성근로자의 직무열의와 직무소진에 대한 이해와 이들 집단 간 차이에 대한 이해의 틀을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무직과 생산직 여성의 상담 및 교육적 접근에서 가지는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여성근로자, 직무자율성, 사회적지지, 주도적 성격, 직무열의, 직무소진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moder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on the relation of job autonomy, social support, job engagement and job burnout among female workers. Furthermore, the structural relations were compared between female office workers and labor workers. Survey data from 371 female workers over the age of 19, out of them, 244 were office workers and 127 were labor workers.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lation of job autonomy, social support, job engagement and job burnout were significanttly moderated by proactive personality. The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also indicated that the structural model differed between the two group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counseling intervention for female workers in Korea are discussed.

keywords
female worker, job autonomy, social support, proactive personality, job engagement, job burnout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