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사랑에서 관계지위와 성별에 따른 개인적 및 관계적 특성에서의 차이 : 남녀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강진경(이화여자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정태연(연세대학교 인지과학연구소) pp.1-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낭만적 사랑에 있어서 관계지위(커플 대 싱글)와 성별에 따른 개인적 및 대인관계적 차원에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커플 542명(남: 271명, 여: 271명)과 싱글 382명(남: 214명, 여: 168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커플은 안정적 애착특성과 부모에 대해 따뜻한 내적 표상을 지닌 반면, 싱글은 몰두적이고 회피적인 애착특성과 부모에 대해 냉정하거나 양가적 표상을 가지고 있었다. 싱글에 비해 커플이 더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갖고 있었으며 상대방에 대한 신뢰감과 만족도 역시 더 높았다. 싱글보다는 커플이 더 강한 열정애와 이타애 경향을 보인 반면, 싱글은 더 강한 유희애 특성을 보였다. 상대방에 대한 신뢰감 및 만족도에서 큰 성차는 없었다. 그러나, 부모의 양육유형이 남성들에게서 더 부정적인 경향이 있었다. 또한, 남성들은 안정 및 몰두된 애착성향을 그리고 여성들은 두려운-회피 애착성향을 보였다. 여성들에 비해 남성들이 보다 더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높은 열정애, 유희애와 이타애 그리고 낮은 실용애 특성을 보였다. 분석에서 성별과 관계지위에 따른 상호작용은 전반적으로 크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개인의 발달사적인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dministered questionnaires to 271 heterosexual couples and 382 singles (men:214, women: 168) in an attempt to address both status (couple vs. single) and gender differences in individual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romantic love in adulthood. Regarding status differences, parents of couples in their childhood were judged as more warm and yet less cold and ambivalent relative to those of singles. Couples had a more positive view of self, a more stable attachment style, and higher levels of trust toward and satisfaction with their partners. Couples had higher levels of Eros and Agape and yet lower levels of Ludus than singles. With regard to gender differences, they were small in the trust toward and satisfaction with partners. However, parental child-rearing style tended to be more negative for men than for women. Also, men than women marked a higher score on the secure and a lower scone on the avoidance attachment style. Men had a more positive self concept and higher levels of Eros, Ludus, and Agape and yet lower levels of Pragrna. Overall, interactions between status and gender were not great across measures of variable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individuals.

기혼여성 직장-가정 갈등의 예측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강혜련(이화여자대학교) ; 최서연(이화여자대학교) pp.23-4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혼여성의 직장-가정 갈등의 원인이 되는 변수를 개인차원 변수와 조직차원 변수로 구분하여 이 변수들이 직장-가정 갈등지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아울러 직장-가정 갈등이 조직물입, 이직의도 및 삶의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기업에 근무하는 기혼여성(1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우선, 가족구성원의 사회적 지지(도구적, 정서적 지지)는 직장-가정 갈등을 감소시켰고, 정서지향적 스트레스 해결성향은 직장-가정 갈등을 높였으며,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직장-가정 갈등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직장-가정 갈등은 조직물입과 삶의 만족을 낮추고 이직의도는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가 기업차원의 관리방안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of married working women. Two types of variables, individual related variable and organization related variable, were defined. It was analyzed what effects theses two types of variables have on work-family conflict. In addition, it was analyzed what effect work-family conflict has outcome 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life satisfaction as well.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undertaken using data from 196 married working wome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wo forms of family social support, both family instrumental support and family emotional support, were negatively related to work-family conflict. Second, of two forms of stress coping style, only emotion-focused style was negatively related to work-family conflict. Third, Perception of a supportive work-family culture had negative effect on work-family conflict. Finally, work-family conflict was nega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 commitment and life satisfaction, but it was posi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Based on aforementioned results, this study finally discussed managerial implication.

청소년 매매춘의 현황파악, 원인규명 및 예방책 제시
김혜원(호서대학교) ; 김명소(호서대학교) pp.43-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 매매춘의 현황과 그 현상이 어느 정도의 위험수위에 다다르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또한 여자 청소년 매매춘이 왜 일어나는가에 대한 관련원인과 특징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청소년과 청소년 매매춘에 대한 용어적 정의를 내리고 다음으로 최근 우리나라에서 일어나고 있는 청소년 매매춘의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최근의 청소년 매매춘은 사적인 매춘, 자발성 형태를 띈 비자발적 선택, 대상의 확대 및 저연령화라는 특징을 갖고 있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또한, 청소년 매매춘의 원인으로 크게 5가지 사항이 지적될 수 있는데 첫째, 성윤리·성가치의 하락, 둘째 성적 서비스 산업의 다양화, 셋째 물질만능주의와 소비심리의 팽배, 넷째 남성 중심의 성문화, 그리고 마지막으로 청소년을 유혹하는 음란성 광고들이 그것들이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매매춘에 대한 대책과 방향제시로는 올바른 성문화 정착을 위한 성의식·성윤리 교육의 실시, 범 사회적인 관심, 매매춘 청소년을 위한 시설의 활성화, 인터넷 내용물에 대한 제재등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자는 보다 정확한 정보의 획득과 원인 파악 및 대책을 위해 청소년 매매춘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야 하며, 무엇보다도 이러한 청소년들에게 기성세대가 진실한 사랑과 관심을 보여주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tried to explore the phenomenon of teenagers' prostitution,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teenagers' prostitution, and lastly suggested possible interventions to protect the teenagers' prostitution.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eenagers' prostitution were summarized as individual prostitution', selection that fly spontaneity form, and extension of target and age. The causes of teenagers' prostitution were summarized to five factors: First, corruption of sex-morality, second, diversification of sexual sevice industry, third, material omnipotence care and surge of consumption sentiment, fourth, codification of man-centered culture, and finally sexual advertisement those alluring teenagers. In order to protect the phenomenon of teenagers' prostitution, several factors were suggested: Sex education, social support for teenagers, activation of equipment for teenagers, and sanction for internet content.

여성이 지각하는 주관적 연령 : 신체적ㆍ정신적 차원 비교
서은현(전남대학교 심리학과) ; 윤가현(전남대학교 심리학과) pp.61-7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여성이 지각하는 주관적 연령이 신체적 및 정신적 차원으로 구분되는지 알아보고, 평생발달의 관점에서 이 두 가지 차원의 주관적 연령지각 양상을 각각 비교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15세에서 80세까지의 여성 406명에게 주관적 연령을 신체적 및 정신적 차원에서 묻는 질문지에 응답하도록 했다. 그 결과 30대에서 40대까지의 연령층에서만이 신체적 주관연령과 정신적 주관연령이 유의하게 구분되었고, 나머지 연령층에서는 두 차원의 주관적 연령이 구분되지 않았다. 또한 두 차원의 주관적 연령지각 양상은 모두 10대에서 20대 중반 정도까지는 자신의 연령보다 더 나이 들게 지각하고, 20대 후반 이후부터는 보다 더 젊게 지각했으며, 실제 연령과 주관적 연령이 교차되는 시기는 신체적으로는 33세 그리고 정신적으로는 27세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attempted to explore if subjective age could possibly be distinguished into two different dimensions, physical and mental,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each pattern of subjective age and chronological age. Four hundred and six participants from 15 to 80 years of age were asked about both physical and mental subjective ag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hysical and mental subjective ages in the total sample, whereas the 30s or 40s group showed different pattern of physical subjective age from that of mental subjective age. Participants in their teens held older both physical and mental subjective age than their chronological age, whereas during the early adults years, maintained same age identities, and across the middle addle and later adult years reported younger age identities. The age of turning point between older and younger age identity was slightly different by each pattern of subjective age-that of physical subjective age was 33, and mental subjective age 27.

성역할 특성의 전환이 호감변화에 미치는 영향 : 성차를 중심으로
윤유경(공군사관학교) ; 채지영(이화여자대학교) pp.71-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역할 특성의 전환이 호감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성차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161명의 대학생이 성역할 전환이 제시된 대본을 평가한 결과, 남성의 성역할이 남성성에서 양성성으로 변화한 경우는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큰 호감 증가가 나타났으며, 여성의 성역할이 남성성에서 여성성으로, 여성성에서 남성성으로 변화된 경우는 가장 큰 호감변화의 성차가 나타났다. 여성의 성역할이 남성성에서 여성성으로 전환된 경우 남성은 가장 큰 호감의 증가를 보인 반면, 여성의 성역할이 여성성에서 남성성으로 전환된 경우는 남성에게 가장 큰 호감의 감소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남성의 성역할에 대한 호감은 성차가 크지 않은 반면 여성의 성역할에 대한 호감은 성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보다 남성은 보다 더 성유형화된 여성을 좋아하며 따라서 남성보다는 여성이 여성에 대해 보다 성역할에 자유로운 대인지각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d how the shift sex-role could affect on liking change of the person. 161 undergraduate students evaluated sex-role shifts in script. When a man's sex-role shifted from masculinity to androgyny, female subjects increased liking for him more than male subjects did. When a woman's sex-role shifted from masculinity to feminine, male subjects showed the biggest positive change for her. Whereas, when a woman's sex-role shifted from feminine to masculinity, male subjects decreased the liking for her. As the result, sex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for the man's sex-role were not big but the sex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for the woman's sex-role were large. This implied, males preferred sex-role stereotyped women than females did sex-role stereotyped men.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