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권호 목록

성희롱문제 지각에서 성차 및 성역할태도의 영향
김정인(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최상진(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손영미(중앙대학교 심리학과) pp.1-2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희롱 문제에 대한 남녀간의 지각차를 확인하고 성역할 태도가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120(남 67명, 여 53명)명과 직장인 168(남 75명, 여 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성희롱에 대한 개념이해에서는 주로 적대적 근무환경 조성을 성희롱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문제의 심각성 인식에서는 남자 직장인들이 다른 집단에 비해서 이 문제를 덜 심각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오류성통념과 관련해서는 남성들이 여성들에 비해 성희롱 문제에 대한 책임을 여성에게 돌리는 경향이 강했고, 피해자들이 과잉반응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성희롱 발생원인에 대해서 남녀간에 지각차가 일부 있기는 하지만 남녀 모두 회사의 정책부재가 주된 원인이라고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성역할 태도에 입각해서 성희롱에 대한 남녀간의 인식의 차를 설명하고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Korean adults' perceptions of sexual harassment, and more specifically, to examine effects of gender differences and sex-role attitudes of the perception of sexual harassment. A total of 120 undergraduate students(67 male students, 53 female students) and 168 employees(75 male workers, 93 female work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participants perceive producing hostile environment as sexual harassment. Male workers are more likely to underestimate the seriousness of sexual harassment than students and female workers. Second, men tend to ascribe the responsibility of sexual harassment to women. Third, although there are some gender differences, both men and women consider the company's absence of policy on sexual harassment as the main cause. Finally, gender differences on sexual harassment are explained based on sex-role attitud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심리학에서의 가족변인 동향고찰 및 향후연구 방향제시
김현정(이화여대) ; 김명소(호서대) pp.23-35
초록보기
초록

지금까지 심리학 연구 문헌들을 살펴보면, 가족 문제는 정신분석 전토의 연구나 애착 연구에서와 같이 초기의 부모-자녀 관계에 관한 내용만을 다루거나, 기계론적 전통에 따라 가족 관계의 한 부분만을 주로 인과적인 분석의 틀 속에서 이해하는 경향이 있어서, 사실상 개인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주요한 사회적 맥락으로서의 가족의 의미가 간과되어 왔다. 본 고에서는 심리학, 특히 발달심리학의 학문 성격의 변화와 연결하여, 가족 연구가 심리학에서 가지는 의미와 현 위치, 그리고 이후 연구의 방향성을 검토해 보면서, 여성 문제에 가지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이에 덧붙여 이혼에 대한 선행 연구들의 예를 들어 가족 변인을 발달적 접근으로 다루는 것의 중요성과 분석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성차변인에 대한 함의를 제시해보았다.

Abstract

Research on "family" was not a main topic in developmental psychology, though there are some efforts to consider the parental influence on child development. For example, psychoanalytic tradition empaphasized the importance of early expericences with caregivers or early mechanistic tradition favored unidirectional causal model considering only a part of the family relationships. These traditional approaches to family issues have underestimated the dynamic aspects of continuous interactions among family members and the functioning of the family as a totality which is related to the other social context. This paper investigated (1), why we have neglected the family issues in psychology while reviewing some major tradition of the developmental psychology, (2) what we can learn from the studies of family issues based on developmental contextualism, suggesting the directions and the analytic strategies of the further research, and (3) what kind of implicaitions and issues we can find on "woman" or "gender differences" in this process. Some empirical studies on divorce were presented to show how we have to deal with the family, as a main developmental context, and gender differences for explaining the current functioning of the individual and the changes over time.

초경 후 경과기간에 따른 월경에 대한 태도
양동옥(전남대학교 심리학과) ; 윤가현(전남대학교 심리학과) pp.37-4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양성평등을 지향하는 시대적인 상황을 반영한 상태에서 원경에 대한 태도를 묻는 척도의 개발과 함께 초경을 경험한 후 경과기간에 따라서 월경에 대한 태도가 차이가 있는가를 살피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자는 초경 후 경과기간이 2년에서 32년 정도인 933명의 여성(연령범위: 16~46세)이었는데, 그들은 그 경과기간에 따라서 여섯 집단으로 나누었다. 월경에 대한 태도는 초경 후 경과기간이 짧은 집단일수록 상대적으로 약간 더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는데, 이러한 경향은 월경에 대한 태도척도의 하위점수로 분석할 때에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 결과들은 양성평등의 시대적인 상황 및 평생발달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develop the scale of attitudes toward menstruation which is adequate to assessing the attitudes of women who live in the gender equality oriented modem society and to check any differences in the attitudes according to the increased years after menarche. There were 933 female participants who have passed at least 2 years after menarche but less than 32 years. The major findings were that the more increased years after menarche, the less negative attitudes toward menstruation, but there found no relations between the increased years after menarche and "symbol of femininity", one factor of the scale.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gender equality society as well as life-span development.

성별 고정관념의 암묵적 표상구조: 성별단서, 범주전형성 및 성별선호도의 상호작용
이재호(중앙대 심리학과) ; 조혜자(이화여대 심리학과) ; 방희정(경기대 청소년학과) pp.49-67
초록보기
초록

성별 고정관념은 일반 범주와는 달리 매우 복잡하고 다원적인 특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성별 고정관념의 암묵적 표상구조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기 우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성별단서(남성이름과 여성이름)를 점화자극으로 전의식 수준(150ms)에서 제시하고, 전형성과 선호도를 변화시킨 속성 형용사를 명명과제로 사용하여 명명시간을 측정하였다(SOA 250ms). 그 결과, 성의 일치성 효과는 여자 참가자에게서만 나타났고, 전형성 효과(고정관념 일치효과)는 남녀 모두 이성에게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긍정성 효과가 나타났으나 남녀 참가자 모두에게 여성선호도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여성의 고정관념이 남성에 비해서 강하게 표상되는 성별간의 비대칭적 표상이 구성될 가능성과 성별 고정관념은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더 처방적일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Abstract

To explore the implicit structure of gender-stereotype which was considered having complex and multiple properties, we conducted an experiment using an implicit priming paradigm. Participants were presented gendered names as primes at pre-conscious level(150ms.), and were asked to name adjectives which were differed in their typicalities and preferences of gender properties. The results showed that gender congruent effects(participants' sex - gender label) were found in women participants only, but typicality effects were found toward other sexes and preferences were found toward women all in both sexe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from a point of view of asymmetrical representation of gender stereotype and prescriptive qualities of gender stereotype toward women.

차별의 심리적 기제로서의 성 고정관념 연구 -농협 사내부부 여성해고사건을 중심으로-
정경아(이화여대 여성학과) pp.69-8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최근 일어난 농협의 사내부부 해고사건을 통해 차별의 심리적 기제로 사용되는 성 고정관념을 분석한 글이다. 결혼한 직장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은 사업주나 주변동료, 가족들에게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이는 때로 승인의 성격으로, 때로 처벌의 성격으로 나타난다. 이 글에서는 직장여성에 대한 승인과 처벌의 고정관념이 성차벌적 불법행위로 이어질 때, 모든 사원들로 하여금 심리적 동의와 강제를 가능하게 하는 기제가 되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먼저 회사측은 저임금, 하위직에 집중되어 있는 직장 여성들에 대한 선택적 부주의와 통계적 평균에 기초하여 사내부부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활성화시켰으며, 혈연중심, 유교적 인간관계에 기초한 우리사회의 가족주의는 주변 동료들로 하여금 승인과 처벌의 고정관념을 작동하게 하여 심리적 동의를 이끌어 냈다. 한편 사내부부 해고 당사자들 또한 가족 내 역할을 기대하는 온정적 가부장제로 인해 심리적 강제에 직면해야 했는데, 사내부부 해고사건에는 이처럼 회사, 동료, 당사자 세 축의 공정관념 활성화 작동이 있었다. 농협 사내부부 해고사건은 폭력이나 물리적 강제에 의존하지 않고, 성 고정관념과 같은 심리적 메커니즘을 이용한 불법행위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노동시장 성차별이 뿌리 깊은 성 고정관념의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면, 이는 많은 사람들의 심리적 동의와 강제를 이끌어 내면서 차별행위는 합리화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성 고정관념과 차별행위 간의 연관성, 성 고정관념의 항상성과 변화가능성을 탐구하는 여성주의 심리학의 연구가 필요함을 밝혔다.

Abstract

In this study, I made an analysis of gender stereotype used as psychological mechanism, concerning the discharge of married women employees in Nonghyup(Korean Agricultural Cooperatives), for which they worked together with their male spouses. The stereotype on a married woman clerk is presented to the employers, the co-workers, and the family in various ways, and they allow or punish her according to their own stereotype. I tried to show that when this stereotypical system of allowance and punishment results in an illegal act of gender discrimination, all the employees are psychologically forced to acknowledge that sort of act. First of all, with a help of selective inattention to women employees with low-income and low-status, and of some statistical means, the employers activated the stereotype on married woman. Then familism of whole Korean society, which is based on kin-oriented, Confucian relationships, operated the stereotypical system of allowance and punishment, making other employees consent to the employer's decision. Besides discharged women faced the psychological demands for domestic role in their family. Thus, it was the three axes of the employers, the employees, and the discharged that activated the operation of stereotype in this discharge case. Nonghyup case is considerable, because it was an illegal act depended not on physical violence or pressure, but on psychological mechanism like gender stereotype. When gender discrimination in labor market was caused by deep-rooted social stereotype, it is justified in general by forcing the whole society to consent to. The analysis above tells us the need for feminist psychology, not only to expose the correlation between gender stereotype and discriminative act, but also to show the adherent gender stereotype and to search for the possibility of its change.

초등학교 고학년 성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조연순(이화여자대학교) ; 김정효(이화여자대학교) ; 이경순(이화여자대학교) ; 이혜주(이화여자대학교) pp.87-1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4~6학년) 아동과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양적, 질적 조사 연구를 통하여 '성교육'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초등학교 고학년 성교육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읍·면의 4, 5, 6학년 1,448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한 양적 요구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양호교사를 포함한 교사 27명, 아동 44명, 학부모 15명을 중심으로 핵심집단면담을 통한 질적 요구 조사가 실시되었다. 그 결과, 첫째, 성교육은 아동의 필요 뿐아니라 교사, 학부모의 요구가 균형있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 둘째, 남녀아동의 성적 성숙의 차이가 고려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특히 남아들에게 양성평등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는 점, 셋째, 성지식에서도 자신의 생리적 현상을 중심으로 보다 체계적인 원리적 접근을 필요로 한다는 점, 넷째, 2차성징과 성적 성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형성이 필요하다는 점, 다섯째, 이성교제 및 성문화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과 대처능력을 심어줄 수 있어야 한다는 점 등이 제시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xplore knowledge and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sex and gender and needs of the teachers & parents on sexuality education for children in order to develop sexuality education program. For the purposes, we developed questionnaire and implemented to 1,448 elementary students. Also we conducted qualitative interviewing with 27 teachers, 44 students, and 15 parent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into six items and some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it is concluded that the content of sexuality education for upper elementary school children should include scientific knowledge and systematic understanding about sex-related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balanced understanding of human relationship, and culture and ethics of sexuality.

성 고정관념: 왜 끈질긴가?
조혜자(이화여대 심리학과) pp.107-125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성 고정관념은 다른 고정관념들에 비해 왜 변화되지 않고 유지되며 여성에게 더 불리하게 적용되는지를 성 고정관념의 내용적 측면과 사회적 현상, 지각자의 입장, 대상의 입장에서 고찰하였다. 성 고정관념은 능력과 호감차원으로 구성되어있어 여성에게는 호감차원에서 처방적일 뿐 아니라, 사회가 남녀에게 비대칭적으로 제공하는 역할과 지위, 파워가 남녀의 반응을 변화시키고 순화적으로 고정관념을 유지시키는 기제임을 살펴보았다. 또한 성 고정관념은 전의식 수준부터 자동적으로 활성화되며, 암묵적인 수준에서 작동하는 동시에, 대상들 스스로 자기인식과 행동을 고정관념에 맞춤으로써 순환성을 가지고 유지된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따라서 개인수준의 수정 뿐 아니라, 전반적인 사회구조의 수정이 필요하다는 점이 제안되었다.

Abstract

This review study was to explore why the gender stereotype is persistent and how it affects women negatively more than men. The review covers studies of dimensions of gender stereotype, of social structure not symmetrical between men and women, of stereotype activation which takes place pre-consciously or consciously, and of stereotype which works as self-construal and self-fulfilling prophecy.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