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 study on Logistics and Home delivery service for Electronic Commerce in Korea

Th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 Th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P)1738-3110; (E)2093-7717
1999, v.1 no.1, pp.25-38
Yun, Myeong-Gil
Seol, Seong-Su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최근 들어서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전자상거래가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정책의 하나로 부상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정부나 학계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전자상거래의 성장과 그 가능성에 대해서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전자상거래에 대한 이러한 관심은 전자상거래가 장소나 시간에 제한 받지 않고, 저렴한 거래비용을 지불하고도 편리하게 상거래를 영위할 수 있다는 장점에서 유래된다. 현재 국내의 전자상거래 시장은 매우 낙후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까지 이와 관련된 논의는 주로 전자상거래를 위한 환경적인 측면에 집중된다. 이는 윤명길ㆍ설성수(1999), 설성수ㆍ윤명길(1999)에서 본 바와 같은 연구동향에서도 파악된다. 즉, 최근의 연구는 전자상거래에 관한 일반적인 논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결제제도나 소비자보호와 같은 문제, 법제화나 규범화의 문제로 나누어지는데, 환경요인이라 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문제가 주로 검토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풀어야 할 또 하나의 중요한 과제가 있다. 전자상거래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상품의 전달과정인 택배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택배의 문제는 광의로 보면 물류의 문제이다. 택배나 물류가 문제가 되는 것은 국내에서는 물류․택배비용이 전자상거래 자체를 위협할 정도로 비싸기 때문이다. 현재의 택배시스템은 분명 향후 전자상거래가 확산되는 데 장애요인으로 등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택배시스템이 전자상거래의 새로운 방식에 힘입어 개선․발전될 여지도 매우 크다. 다시 말해 전자상거래는 택배시스템의 합리화를 통해 크게 활성화될 것이지만 전자상거래 역시 택배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상호 보완적이고 양면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국내의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해 택배시스템이 어떠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어떻게 해결되어야 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인터넷 쇼핑몰 운영업체의 입장을 강조하며 이 문제를 검토할 것이다. 전자상거래에 관한 물류나 택배와 관련된 논의는 이재규ㆍ장용식(1998)의 물류수송․배달체계에 관한 논의와 권오경ㆍ변의석(1998)의 물류부문 대응방안에 관한 논의가 있다. 전자는 종합중개형인 메타랜드를 대상으로 했으나 논문이라기 보다 내부 연구자료로 홍보물에 가깝다. 이철승ㆍ이한희(1998)는 물류정보화 방안을 분석한다. 이상과 같이 기존의 연구자료가 적기 때문에 본 연구는 문헌자료에 의존하기 보다 업계 상황을 직접 분석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대표적인 인터넷 쇼핑몰과 전문 택배업체를 선택하여, 수차에 걸친 직접 방문과 전화 인터뷰를 통해 자료수집을 하였다. 조사는 1999년 1월부터 3월 사이에 이루어졌다. 본고는 2장에서 국내의 전반적인 물류 및 택배현황과 물류정보화 진행상황을 분석한다. 3장에서는 먼저 택배시스템을 유형별로 구분하고 이를 인터넷 쇼핑몰의 유형과 연계시킨다. 4장은 택배시스템의 문제점을 기업의 내외부적인 측면에서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5장은 결론을 대신하여 전자상거래, 즉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하는 업체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서술했다. 본고는 업계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한 사례연구로 출발했지만 이론적인 측면을 동시에 담고 있다. 윤명길ㆍ설성수(1999)에서 시도한 인터넷 쇼핑몰의 유형을 다시 정리했고, 이를 택배시스템의 유형과 연계시켰다. 전자상거래에 있어서의 상류와 물류의 연계를 시도한 것이다.

keywords

Th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