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P-ISSN1738-3110
  • E-ISSN2093-7717
  • SCOPUS, ESCI

Vol.10 No.6

Jung-Wan Lee(Boston University) ; Barry Unger(Boston University) pp.7-15 https://doi.org/10.15722/jds.10.6.201206.7
초록보기
Abstract

The paper deals with the impac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on carbon emissions and economic growth in South Korea. The quarterly time series data from the first quarter of 1970 to the third quarter of 2010 (163 observations) are collected and retrieved from the Bank of Korea database. The paper examines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s using cointegration techniques and Granger causality with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s. In directional causality test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shows high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economic growth and marginal effect on carbon emissions. Carbon emissions and economic growth exhibit an invers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at is, carbon emissions have an inverse relation to economic growth and economic growth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carbon emissions in South Korea. We also note possible implications regarding growth policies and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green”technology sectors for economies in the range represented by Korea’s 1970 - 2010 data

초록보기
Abstract

도농 복합형태인 인구 30만인 순천시에 종합슈퍼와 백화점 등대규모점포 4개가 운영 중인 것은 대규모점포의 과잉공급이라는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순천시는 전남 동부권의 교통요지로서 광양시, 여수시, 보성군 및 구례군 등 인근 지역에서 1 시간이내에 점포방문이 가능하다. 4개 점포는 도시와 농촌 지역의 거주자도 고객층으로 간주하여 차별화된 점포이미지 구축 전략을수립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점포이미지 변수를 13개로 세분하여 각 점포의 이미지를 비교하였다. 점포이미지는 진열 상품의 다양성 및 품질, 점포 접근성, 매장 분위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이미지는 고객들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각자에게 인지되고, 점포를 선택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점포이미지 변수를 대분류 5개 소분류 13개로 분류하였다. SPSS Ver. 19를 이용한 요인분석에서는 5개로 대분류된 점포이미지가 3개의요인으로 구분되어 추출되었다. 5개 대분류에서 편의성, 분위기및 서비스 이미지로 분류된 이미지들이 첫 번째 공통요인으로 추출되었고 이를 본 연구에서는 부대서비스 요인으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5개 분류에서 편의성 이미지로 분류되었던 접근성과 상품관련 이미지로 분류되었던 상품다양성과 가격 이미지는 같은공통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이는 점포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이 대도시인가 또는 지방 중소도시인가, 설문 조사에 응한 집단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13개 이미지 변수에 대해서 점포간 및 응답자간 점포이미지 비교에서는 접근성, 가격, 브랜드이미지 및 조명/음향 이미지에서 점포별 및 응답자 집단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측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도농복합형태의 지방 중소도시 거주자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점포가소재하고 있는 지역의 교통체증 정도, 응답자 집단의 생활수준 등에 따라 고객이 느끼는 점포이미지는 차이를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대규모점포를 이용하는 고객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방 도시에는 비교적 규모가 큰 전통시장이 열리고 있으며, 대규모점포와 전통시장은 상품의 종류, 가격 등에서 경쟁을 하고 있다. 대규모점포를 이용하는 고객과 전통시장을 방문하는 고객이 느끼는 점포이미지는 다를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대도시 소재 점포와 지방 중소도시 소재 점포와의 동시 조사로 점포이미지에 대한 상대적 비교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동일 지역에서 대규모점포이용 고객과 준대규모점포 또는 전통시장 이용 고객층에 대한 상대적 비교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초록보기
Abstract

M&A 과정, 특히 인수 후 통합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내부 조직의 통합에 중점을 두어 왔는데, 본 연구는 백화점 간의 인수합병 과정에서 브랜드 네임 및 회원 제도의 통합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양사의 브랜드와 고객의 통합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며,그 과정에서 무엇이 중요한지를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유통학문의 연구방법론 중 규범적 연구방법론이나경험적 분석기법에 적용되는 사례연구의 접근법을 적용하여, 인수합병을 통해 두 회사의 브랜드 네임과 회원 제도를 통합한 기업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수합병 과정의 브랜드와고객 측면의 통합을 위해서는 양사의 브랜드 및 고객 관리 현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주요 통합 영역을 설정하여 고객과 기업의 양쪽 측면에서 의사결정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 통합의 목표를 단기적인 사업 효율성 추구가 아니라 장기적인 브랜드 파워와구체적인 시너지 등으로 추구해야 한다는 것, 브랜드의 통합과 회원 제도의 통합은 사업 전략과 마케팅 프로그램 등의 변화를 유발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후속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있었다. 본 연구는 단일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서술식 사례 연구라는 한계가 있어, 향후에는 복수 기업들의 비교분석적 연구나 브랜드 및고객 통합 관련 이론들을 체계적인 분석의 틀로 이용하는 연구등이 필요할 것이다.

CHO, JOONSANG ; Kim Bo young pp.39-53 https://doi.org/10.15722/jds.10.6.201206.39
초록보기
Abstract

It is widely known that knowledge management plays a facilitating role that contributes to upgrad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KMS), especially, support the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including the sharing, creating, and using of knowledge within a company, and maximize the value of knowledge resources within an organization. Despite this widely held belief, there are few studies that describe how companies actually develop,share, and practice their knowledge. Companies in the domestic small franchise sector, which are in the early stages in terms of knowledge management, need to improve their KMS to manage their franchisees effectively.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uses a qualitative approach to explore the actual process of knowledge management implementation. This article presents a case study of PB (Paris Baguette) company, which is the first to build a KMS in the franchise industry. The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following facts through the analysis of target companies. First, the chief executive’s support is a critical success factor and this support can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organization members. Second, it is important to build a process and culture that actively creates and leverages information i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ulture should be one where the creation, learning, and sharing of new knowledge is developed continuously. Third, a horizontal network organization is needed in order to make relationships within the organization more close-knit. Fourth, in order to connect the diverse processes such as knowledge acquisition, storage, and utiliz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information technology (IT) capabilities are essential. Indeed, IT can be a powerful tool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work and maximizing the spread and use of knowledge. However, during the construction of an intranet based KMS, research is required to ensure that the most efficient system is implemented. Finally, proper evaluation and compensation are important success factors. In order to develop knowledge workers, an appropriate program of promotion and compensation should be established. Also building members’ confidence in the benefits of knowledge management should be an ongoing activity. The company developed its original KMS to achieve a flexible and proactive organization, and a new KMS to improve organizational and personal capabilities . The PB case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nts perceptions and actual performance in managing knowledge; that knowledge management is not a matter of formality but a paradigm that assures the sharing of knowledge; and that IT boosts communication skills, thus creating a mutual relationship to enhance the flow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between people. Knowledge management for building organizational capabilities can be successful when considering its focus and ways to increase its acceptance. This study suggests guidelines for major factors that corporate executives of domestic franchises should consider to improve knowledge management and the higher operating activities that can be used.

Th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