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 study on the P.O.P response for the buying trends of General Supermarket

Th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 Th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P)1738-3110; (E)2093-7717
2010, v.8 no.1, pp.35-42
https://doi.org/https://doi.org/10.15722/jds.8.1.201003.35
Kim, Tae-Sung
Kim, Pan-Ji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is study is for find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actions on POP per consumer purchase trends and major factor for making final purchasing decisions after being exposed to POP from large supermarke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fter the research. First, consumers displayed higher reaction scores on End-Cap in general among POP advertisements. The factors for making final purchase decision are in the order of function > price > brand for household electrical goods, price > design > function for sundry goods and design > price > function for clothing (including bedding).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ased on age on impulsive purchase showed that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tendency. Unplanned purchase trend also showed higher when young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are discrepancies in the theory related with existing POP advertisements, that is, the theory that impulsive purchasers have higher POP responses.

keywords
구매시점광고, 구매의사결정, 종합슈퍼마켓

Reference

1.

김문화 (2002), “소비자 특성별 POP 광고 반응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4-85.

2.

김세영 (2005), “종합슈퍼마켓마켓 서비스 실패와 복구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3.

김일산 (2002), “우리나라 대형종합슈퍼마켓의 마케팅믹스 전략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43.

4.

김희규 (2006), “POP기능을 겸한 즉석편의식품 패키지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4.

5.

배달수 (2007), 유통관련법규, 비즈프레스, 6.

6.

유통학정의위원회 (2006), “소매 업태 용어 통일화에 대한 소고”, 한국유통과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4-8.

7.

송명호 (2003), “구매시점 광고에 대한 소비자와 판매원의 인식비교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9.

8.

양효식 (2005), “소매점 판매촉진과 점포혼잡도, 충동구매 및 소비자 반응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8-20.

9.

윤세이 (2006), “종합슈퍼마켓 SI를 위한 시각요소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10.

이성식 (2006), “소매점사인에 대한 태도와 소매점 고객태도의 인과구조적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4-78.

11.

최윤경 (2004), “상호작용성을 활용한 POP 광고의 유형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6.

12.

황민영 (2005), “저관여도 제품의 POP광고 표현전략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13.

황인성 (2001), “수퍼마켓 구매시점광고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8-79.

14.

Bettman, James R., Mary Frances Luce, and Payne, John W. (1998), “Condtructive Consumer Choice Process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5, 181-217.

15.

Cobb, Cathy J. and Hoyer, W. D. (1986). “Planned versus impulse purchase behavior”, Journal of Retaling, 62, Winter, 384-409.

16.

Dhar, Ravi and Wertenbroch, Klaus (2000), "Consumer Choice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Good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7, 60-71.

17.

Rook, D. W. and Hoch, S. J. (1995). "Normative influences on impulsive buying behavior". Jouranl of Consumer Research, 22 (December), 305-313.

Th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