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analysis of Korean verbal endings in 5-6year 'Korean-English' simultaneous bilingual childre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occurrence, error, error causation) of Korean verbal endings between the ten 5-6year 'Korean-English' simultaneous bilinguals children and ten Korean monolingual children. Mostly,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occurrence, error, error causation of verbal endings. 1) Bilingual children showed not significantly a lower frequency based on the occurrence rates of verbal endings per utterance. But Bilingual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a lower occurrence rates in verbal ending`s variety per utterance(p<.05). 2) Bilingual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a higher error rates(p<.05). 3) In terms of error causation, bilingual children appear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phonological, semantic causes and monolingual children in syntactic one. Therefore bilingual children's verbal ending proficiency are not just a sum of two monolingual children one.

keywords
Submission Date
2009-01-15
Revised Date
2009-02-13
Accepted Date
2009-02-14

Reference

1.

김성수, 이상경(2008). 자발적 발화 표본 수집 방식으로서의 대화, 자유놀이 및 이야기비교.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3(1), 44-62.

2.

김영태(1994). 구어진단검사. 대구: 한국언어치료학회.

3.

김영태(2004). 아동 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서울:학지사.

4.

김영태, 장혜성, 임선숙, 백현정(1995). 그림 어휘력검사.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5.

김영태, 홍경훈(2001). 이야기회상과제에서 나타난 아동들의 조사 사용분석: 발달적 오류형태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1(2), 111-131.

6.

김혜경(2007). 영어 한국어 음운조직에 대한 발음오류 연구.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홍규, 강범모(2000). 한국어 형태소 및 어휘사용 빈도 분석. 서울: 국립 국어원.

8.

남기심, 고영근(1998). 「 표준 국어 문법론 」. 서울: 탑 출판사.

9.

박신영(2003). 이야기회상과제를 통한 영어-한국어 이중언어사용아동의 조사와 어말어미사용분석.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배소영(2006). 한국어 발달특성과 학령전기 문법형태소. 한국어학, 31, 31-45.

11.

서정수(1996). 현대국어문법론.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원.

12.

서희선(1998). 2-5세 정상 아동의 연결어미발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윤영숙(2007).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미오류분석- 연결어미와 종결어미를 중심으로. 코기토 61, 31-57.

14.

이귀옥, 이혜련(2008).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아동의 한국어 발달: 복문발달을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29(5), 1-12.

15.

이귀옥, 전효정, 박혜원(2003). 3-5세 아동의 이중 언어 경험과 인지능력 및 언어발달에 관한 연구: 인지적 복잡성에 따른 분석과 통제 이론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4(6), 1-14.

16.

이수복, 심현섭, 신문자(2007). 취학 전 이중언어아동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2(2), 296-314.

17.

이인화(2007). 한국어-영어 이중언어경험 아동의 보통명사 정의하기 능력비교.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18.

이하원, 최경숙(2008). 혼자놀이에서 5-6세 ‘한국어-영어’ 동시습득 이중언어아동의 한국어 조사 습득분석. 한국아동학회, 29(6), 147-16.1

19.

임동선(2001).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사용아동의 품사별 오류유형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임동훈(2007). 조사와 연결어미. 2007년도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3-18.

21.

조명한(1982). 한국아동의 언어획득 연구: 책략모형.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2.

한유미, 김혜선, 권희경, 양연숙, 박수진(2007). 영유아 언어교육의 이해-이론과 실제. 학지사.

23.

황혜신, 황혜정(2000). 이중언어(한국어-영어)를 하는 아동의 언어능력발달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1(4), 69-79.

24.

Bedmore, L. (2004). Morphosyntactic development. I B Goldstein (Ed). Bilingual language development and disorders in Spanish-English Speakers.. Baltimore: Paul H. Brooks, 163-185.

25.

Bhadia, T., & Richie, W. (1999). The bilingual child: Some issues and perspective. In W. c., Richie & T. K. Bhatia(Eds.). Handbook of child language acqusition(pp. 569-643). San Diego: Academic Press.

26.

Brown, R. (1973). A first language: the early stag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7.

Champman, R. S. (1981). Exploring children`s communicative intents. In J. Miller(Ed). Assessing Language Production in Children (pp.308-327).,Baltimore: University Park Press.

28.

Colins, B. (2006). A parent`s and teacher`s guide to bilingualism: Nexus.

29.

Dunn, L., & Dunn, L. (1981).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vised.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30.

Galambos. S. J., & Golden-Meadows. S. (1990). The effects of learning two language on level of metalinguistic awareness. Cognition, 34, 1-56.

31.

Gathercole, V. C. M. (2002). Monolingual and bilingual acquisition: Learning different treatments of that trace phenomena in English and Spanish. In D. K. Oller(Ed.), Language and literacy in bilingual children (pp. 272-290). Clevedon, UK.: Multilingual matters.

32.

Goldstein, B. A. (2006). Clinical Implications of Research on Language Development and Disorders in Bilingual Children. Topics in Language disorders. 26(4), 305-321.

33.

Guitar, B. (1998). Stuttering: An integrated approach to its nature and treatment.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4.

Kadi-Hanafi, K., & Howell, P. (1992). Syntactic analysis of the spontaneous speech of normally fluent and stuttering children.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17, 151-170.

35.

McLaughlin, B. (1995). Fostering second language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Principles and practices [electronic version]. Retrieved March, 01, 2003 from http://www.ncela.gwu.edu/miscpubs/ncrcdsll/epr 13. htm.

36.

Padilla, A., & Lindholm, K. (1984). Child bilingualism: The same old issues revisited. In J. Martinez, & R. Mendoza(Eds.), Chicano psychology(pp. 369-408). Orlando, FL; Academic Press.

37.

Pinker, S. (1984). Language learnability and language development. Cambridge MA: MIT Pres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