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acquisition process of 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relations in the Hangul phonics of Vietnamese adults who are use Korean as a second language

Abstract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level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the acquisition process of 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relations in Hangul phonics as used by Vietnamese adults who speak Korean as a second language.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and grapheme substitution/addition tasks were administered to 20 Vietnamese women who had been married to Korean men in Ulsan for 1 to 6 years. Analyses revealed that these Vietnamese-Korean bilinguals showed a 75% correct rate of syllable awareness regardless of the place of the syllable and a 68% correct rate of phoneme awareness, regardless of the placement of phoneme. However, phonemic awareness for syllables in different places was vari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The performance with regard to the first phoneme awareness was lower than that for the middle or final phoneme awareness in the subjects who had lived less than 5 years in Korea. Finally, the performance rate for the grapheme substitution/addition task was 77% to 82%; the performance for the final grapheme was likewise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or middle grapheme.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Hangul phonics and the acquisition process of Hangul 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relations.

keywords
Submission Date
2012-10-15
Revised Date
2012-11-25
Accepted Date
2012-11-26

Reference

1.

강수연 (2010). 영어와 한국어의 음절하위구조와 전이현상: 음운인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권선미 (1997). 해외 귀국 아동의 초등학교 적응에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선옥, 공숙자, 조희숙 (2004). 음운처리과정이 4세와 5세 유아의 읽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 37-56.

4.

김윤진 (2011). 외국인을 위한 한글 자모 교재 개발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현자, 조증렬 (2001). 학령 전 아동에서 음운인식,시지각 및 한글읽기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발달, 14, 15-28.

6.

법무부 (2009), 여성결혼이민자 정착지원을 위한 가이드북.

7.

법무부 (2011). 출입국관리국, 출입국관리통계연보.

8.

이광오 (1995). 자모대체 수행에 나타난 글자의 내부구조와 음절과의 관계. 한국 심리학회지:실험 및 인지, 7(1), 57-69.

9.

이경희 (2012). 청각시간처리 능력이 음운처리와 초기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이숙희 (2007). 균형적 유아 읽기프로그램의 개발및 적용효과.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이익섭 (1992). 국어표기법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2.

이유라 (2008).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변동단어의 읽기 발음훈련 효과.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중진 (2012). 몽골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교육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임수진 (2008) 해외 단기거주 귀국아동들의 영어학습실태 및 영어 능력분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윤혜경 (1997). 아동의 한글 읽기발달에 관한 연구:자소-음소 대응규칙의 터득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윤혜경, 권오식, 이도헌, 김선아, 김연수(1999). 국어학습장애의 기본문제:‘해호화’ 인가 ‘이해’인가? 인간발달연구, 6(2), 86-102.

17.

윤혜경, 권오식 (1998). 영어가 모국어인 성인의 인공철자로서의 한글의 자소 -음소 대응규칙의터득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11(2), 74-87.

18.

윤혜경, 박혜원 (2005a). 중국 조선족 아동의 한글자소- 음소 대응능력의 발달과 글자읽기와의관계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6(4), 145-155..

19.

윤혜경, 박혜원, 나은영 (2005b). 조선족 아동과 한족 아동의 음운인식능력과 모국어 읽기에 관한연구. 이중언어학회지, 29. 225-246.

20.

윤혜경, 박혜원 (2005c). 조선족과 한족 대학생의중국어, 한국어의 음절구조 지각에 대한 연구.음성과학, 12(2), 43-56.

21.

윤혜경, 박혜원, 권오식 (2008), 학습자의 모국어(L1) 음절구조가 L2로서의 한국어문자체계인한글 터득과정에 미치는 영향, 제 22차 전국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이중언어학회.

22.

장유경, 김숙현 (2003). 유아의 한글읽기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6, 87-101.

23.

조증렬, 김현자 (2004). 학동기 아동의 음운인식 능력과 한글읽기 및 영어읽기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8, 25-43.

24.

쩌우티투튀 (2011).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론적대조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통계청 (2009). 2008년 혼인통계결과 보도자료.

26.

한찬숙 (2003). 한국 아동의 음운인식과 영어 단어해독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홍성인, 전세일, 배소영, 이익환 (2004). 한국 아동의 음운인식 발달. 언어청각장애연구, 49-63.

28.

Calfee, R. C., Chapman, R. S., & Venzeky, R. L.(1972). How a children needs to think to learnto read. In L. W. Gregg (Eds.), Cognition inlearning and memory. New York: Wiley.

29.

Fox, B., & Routh, D. K. (1984). Phonemic analysis and snthesis as word-attack skill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 1059-1064.

30.

Goswami, U., & Bryant, P.(1990). Phonological skills and learning to read. Hillsdale, NJ: Erlbaum.

31.

Liberman, I. Y., Shankweiler, D., Fischer, F. W.,& Carter, B. (1974). Explicit syllable andphoneme segmentation in the young child.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18, 201-212.

32.

Treiman, R., & Baron, J. (1981). Segmental analysis ability: Development and relation to reading ability. In G. E. MacKinnon & T. G. Waller (Eds.), Reading research: Advances in theory and practice, Vol.3. New York Acdemic Press.

33.

Wagner, R. K., Torgeson, J. K., & Rashotte, C.(1994). Development of reading-related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Newevidence of directional causality from a latentvariable longitudinal study. DevelopmentalPsychology, 30(1), 73-87.

34.

Yoon, H. K, Bolger, D., Kwon, O. S., & Perfetti, C. A.(2002). Subsyllabic Unit in Reading:A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English. In L Verhoeven, C, Elbro & P, Reitma (Eds.), Precursors of Functional Literacy.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Amsterdam/philadelphia.

35.

Yoon, H. K, Bolger, D., Kwon, O. S., & Perfetti, C. A.(1999). The effect of language and script on the reading. Preceeding presented at the 2nd European Graduate School on Literacy Acquisition: Precursors of Functional Literacy, The University of Nijmegen, Netherland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