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718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fine the attitude of mature aging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ure aging attitude, successful aging, and psychosocial maturation. For these purposes, we conducted two different studies with 719 and 350 adults over 60 years of ag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with higher mature aging attitudes reported better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less disease, more social activity, and better psychosocial well-being. Second, there were no age or gender differences shown in mature aging attitudes and psychosocial maturation; however, ego identity differed according to education, health status, and economic status. Furthermore, participants with higher mature-aging attitudes reported higher wisdom, ego integrity, and gero-transcendence than those with lower mature-aging attitude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mature aging concept in the well-aging model for Korean elderly.
강인 (2003). 성공적 노화의 지각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0(2) 95-116.
김경식, 이은주 (2010).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참가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4), 424-432.
김경연, 정여진 (2006). 건강 및 경제수준에 따른 집단별 성공적 노화의 요소 탐색. 노인복지연구, 34, 31-54.
김경호, 김지훈 (2008). 삶의 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유배우자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3(2), 87-106).
김경호, 김지훈 (2009). 한국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요인의 구조분석. 한국노년학, 29(1), 71-87.
김미령 (2008).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 28(1), 33-48.
김미혜, 신경림, 강미선, 강인 (2004). 한국노인의 성공적인 노후에 대한 경험. 한국노년학, 24(2), 79-95.
김미혜, 신경림 (2005).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5(2), 35-55.
김현정, 이정은, 한성민 (2010). 세대 간 지원교환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47, 265-288.
김희주, 주경희 (2008). ‘한국적 성공적 노화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1, 125-158.
남기민, 최화강 (2009). 취업노인의 생산적 활동요인과 성공적 노화간의 관계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45, 347-371.
문남숙, 남기민 (2008). 노인의 죽음준비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 -우울 및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8(4), 1227-1248.
박경란, 이영숙 (2002).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한국노년학, 22(3), 53-66.
박종한, 권용철 (1989). 노인용 한국판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의 표준화 연구 : - 제1편 : MMSE-K의 개발 -. 신경정신의학, 28(1), 125-135.
박종한, 김한곤 (2009).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학, 12, 95-111.
서수균, 정영숙, 안정신, 박민아 (2012). 성숙한 사람의 특징. 대동철학, 59, 267-287.
성혜영, 조희선 (2005). Rowe와 Kahn의 구성요소를 활용한 성공적 노화 모델. 한국노년학, 26(1), 105-123.
신영희, 이혜정 (2009). 일 도시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 관련 요인. 한국노년학, 29(4), 1327-1340.
신학진, 전상남 (2009).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화요인과 주관적 건강의 영향. 노인복지연구, 46, 29-51.
안정신, 강인, 김윤정 (2009). 한국 중노년 성인들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4), 225-245.
안정신, 정영숙, 정여진, 서수균 & Cooney (2011). 성공적 노화 연구의 비판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4(3), 35-54.
안정신, 정영숙, 정여진, 서수균 & Cooney (2012). 성숙한 노화척도개발을 위한 예비문항선정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1), 129-149.
원장원, 노용균, 선우덕, 이영수 (2002).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대한노인병학회지, 6(4), 98-106.
이수림, 조성호 (2007). 나이듦과 지혜: 성공적 노화의 통합적 개념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3(3), 65-87.
이수림, 조성호 (2012). 한국판 지혜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8(1), 1-26.
이종영 (2005). 노인의 여가활동 참가가 성공적 노화를 위한 사회 심리적 인지메커니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4(3), 167-183.
윤현숙, 유희정 (2006).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 5-31.
윤현숙, 유희정 (2007). 성공적 노화여부에 따른 중요 생애사건 비교분석. 한국노년학, 27(4), 797-827.
윤현숙, 유희정, 이주일, 김동현, 김영범, 박군석, 유경, 장숙랑 (2008). 인생의 보람과 후회: 성공적 노화여부에 따른 비교. 정신보건과 사회산업, 13(3), 65-87.
정순둘 (2007).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인식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27(4), 829-845.
정여진, 안정신 (2010).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가족관계 변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2), 535-550.
정영숙 (2011). 한국 여성노인의 잘 나이들기: 성숙한 노화의 개념 탐색.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3, 5-56.
정영숙, 조설애, 안정신, 정여진(2012). 한국 노인의 삶의 의미 원천으로서 가족관계와 자기초월가치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5(1), 19-41.
조긍호 (2006). 이상적 인간형론의 동서비교. 지식산업사.
최혜경 (2008). 한국 노인들의 기대에 따른 성공적인 노화: 개념 형성과 중재방안의 탐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3), 145-168.
최혜경, 백지은, 서선영 (2005). 노인들의 인식을 통한 한국적인 성공적 노화의 개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1-10.
하정연, 오윤자 (2003).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선택, 적정화, 보상책략 관련 변인 연구 -중산층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131-144.
홍주연 (2000). 성격과 자아통합감이 노인 회상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홍현방, 최혜경 (2003). 성공적인 노화 정의를 위한 문헌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145-154.
Ardelt, M. (2003). Development and empirical assessment of a three dimensional wisdom scale. Research on aging, 25, 275-324.
Ardelt, M. (2005). How wise people cope with crises and obstacles in life. Revision, 28(1), 7-19.
Baltes. P. B., & Baltes, M. M. (1990).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the 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In Baltes. P. B., & Baltes, M. M. (Eds.). Successful Aging: Perspectives from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34.
Baltes, P. B. & Smith, J. (1990). Towards a psychology of wisdom and its ontogenesis. In R. J. Sternberg (Ed.), Wisdom: Its nature, origins, and development (pp.87-1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Erikson, E. H.(1963). Childhood and society, 2nd ed., New York: Norton.
Erikson. E. H. (1998). The life cycle completed: extended version with new chapters on the ninth stage of development. In Erikson, Erik H. (Ed.).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Mroczek, D. K,. & Kolarz, C. L. (1998). The effect of age o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happi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 1333-1349.
Rowe, J. W., & Kahn, R, I. (1998). Successful aging. New York: Pantheon Books.
Takahashi, M. (2000). Toward a culturally inclusive understanding of wisdom: Historical roots in the East and West.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51(3), 217-230.
Tornstam, L. (1989). Gero-transcendence; a reformulation of the disengagement theory.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1(1), 55–63.
Tornstam, L. (1992). The quo vadis of gerontology; on the gerontological research paradigm. The Gerontologist, 32(3), 318–326.
Tornstam, L. (1996). Gerotranscendence; a theory about maturing in old age. Journal of Aging and Identity, 1, 37–50.
Whitbourne, S. K. (2008). Adult Development & Aging. Wiley.
Wink, P., & Helson, R. (1997). Practical and transcendent wisdom: Their nature and some longitudinal findings.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4(1),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