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718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rosoci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s, academic achievement and externalizing problems based on implicit theory. Self-regulation is the primary mechanism that explains the link between implicit theory, achievement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Participants included 260 adolescents and their teachers. The adolescents were surveyed on achievement goals and externalizing problems, and the teachers reported on adolescents’ prosocia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revealed that a mastery approach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externalizing problems, prosociality fully mediated both relationships. Performance avoidance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externalizing problems, prosociality partially mediated both relationships. A performance approach positively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bu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either prosociality nor externalizing problems. Further implications for youth counseling and educational practice are discussed.
곽수란 (2003). 효과적인 학교의 학생관련 과정변인 간의 인과관계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3(1), 1-21.
김남경 (2002). Carol S. Dweck의 지능에 대한 암묵적 이론. 교육방법연구, 14(1), 1-18.
김수연, 조한익 (2013). 사범계열 대학생들의 성취 목표지향성, 기본욕구만족, 학업 성취도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0(2), 307-328.
김영숙, 조한익 (2014).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 조절학습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학연구, 52(3), 147-174.
김현정 (2001), 부모의 훈육방식과 아동기 문제 행동에서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6(2), 81-95.
남영옥, 김정남 (2010). 청소년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2(2), 123-141.
동윤정, 전미애, 김영희 (2012). 성취압력과 입시부담감이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9(2), 101-119.
류영숙 (1995). 자아개념, 학습목표지향성, 귀인 성향간의 관계분석 및 이들 변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성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박성혜, 윤종희 (2013). 초중등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3), 147-169.
박영신, 김의철, 한기혜, 김경자 (2011). 청소년과 부모가 지각한 실패관련 의식분석. 한국교육학회, 49(1), 1-33.
박정한, 박미화 (1987). 남자중학교 학생의 학교사고 발생률과 사고원인에 관한 코호트 연구. 예방의학회지, 20(2), 331-340.
반건호, 신민섭, 조수철, 홍강의 (2001). 청소년 ADHD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2(2), 218-224.
송인섭, 박성윤 (2000). 목표지향성, 자기조절 학습, 학업성취와의 관계 연구. 교육심리연구, 14(2), 29-64.
송주연 (2012). 성취목표와 학업성취의 상관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심리연구, 26(1), 225-250.
신현균 (2002). 청소년의 학업 부담감, 부정적 정서, 감정표현불능증 및 지각된 부모양 육행동과 신체화증상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1), 171-187.
양하련, 이은주 (2014). 청소년의 사회적 성취 목표와 또래관계 질의 관계: 친사회성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중등교육연구, 62(1), 235-260.
오선영, 서용원 (2014). 갈등에 대한 마인드셋.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7(2), 389-418.
오정희, 선혜연 (2013).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관련 변인 연구: 성별 및 학교급,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4(3), 1981-1994.
이용준, 박경자 (2005). 탄력적인 아동의 보호 요인 연구: 아동의 성과 지능, 어머니 양육행동 및 사회경제적 지위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6(1), 329-345.
이주화, 김아영 (2005).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척도개발. 교육심리연구, 19(1), 311-325.
이해경, 김혜원 (2011). 남녀 중학생들의 문제 행동 경험 정도와 위험수준별 실태. 청소년복지연구, 13(1), 163-188.
최병연 (1998).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학습 전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분석. 교육문제연구, 28(1), 165-180.
최인재, 김지경, 임희진, 김현철 (2011).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총괄보고서.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최준영 (2008). 고등학생 보충·야간자율학습과 학업스트레스, 주관적 만족감, 가출 및 자살충동 간의 관계. 사회연구, 16.
최준환, 박춘성, 연경남, 민영경, 이은아, 정원선, ..., & 임청묵 (2009). 인성교육의 문제점 및 창의 · 인성교육의 이론적 고찰. 창의력교육연구, 9, 89-112.
한순미 (2003). 중다목표관점에서의 성취목표와 자기조절 학습전략 사용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7(3), 291-312.
현주, 차정은, 김태은 (2006). 학교급별 성취목 표지향성이 자기효능감과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0(2), 443-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