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인지적 무의식에 대한 고찰
김수정(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성옥련(중앙대학교 심리학과) pp.1-15
초록보기
초록

이 논문은 비의식적인 정신구조와 과정에 대한 연구에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는 인지 심리학에서의 이론과 연구동향의 일부를 토론하고 있다. 인지 심리학에서의 현 연구는 비의식적인 정신구조와 과정이 개인의 경험, 사고, 그리고 행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지적한다. ACT와 PDP 모델은 고전적인 정보처리 이론보다 인지적 무의식에 대한 더 광범위한 견해를 제공한다. 자동화 과정, 식역하 자각, 내재된 기억, 그리고 최면상태에 대한 연구등을 통해 사상들이 의식적으로 지각될 수 없거나 기억될 수 없다해도 정신적 기능에 양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지 적되 고 있다. 지각적-인지적 그리고 운동적 기술은 경험을 통해 자동화되어 무의식적이 된다. 이런 연구등의 결과로 인해 인지적 무의식의 영역을 구성하는 비의식적 정신구조와 과정에 대해 작정 적으로 분류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인지적 무의식은 그 자체로는 전의식적이거나 잠재의식적일 수도 있는 지식구조에 작용하는 무의식적인 정신적 과정으로 구분되어 진다.

Abstract

This article discusses some strands of theory and research in cognitive psychology that offer new insights into the workings of nonconscious mental structures and processes. Contemporary research in cognitive psychology reveals the impact of nonconscious mental structures and processes on the individual's conscious experience, thought, and action. ACT model and PDP framework afford a much wider scope for the cognitive unconscious than did the classic statements. Research on automatic processes, subliminal perception, implicit memory, and hypnosis indicates that events can affect mental functions even though they cannot be consciously perceived or remembered. Perceptual-cognitive and motoric skills are automatized thorugh experience, and thus rendered unconscious. The results of these researchs leads to a provisional taxonomy of nonconscious mental structures and processes constituting the domain of the cognitive unconscious. It suggest a tripartite division of the cognitive unconscious into unconscious mental processes operating on knowledge structures that may themselves be preconscious or subconscious.

자기효율성의 특성에 관한 관련연구의 개관
장휘숙(충남대학교 심리학과) pp.16-28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최근에 와서 심리학의 여러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 자기 효율성(self-efficacy)을 정의하고 자기 효율성의 형성과정 및 동기, 자아존중감 그리고 통제의 소재와 같은 관련변인들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동시에 자기효율성에 관해 이루어진 최근 연구를 개관하였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발달적 측면에서, 자기효율성이 어떤 의미를 가지며 어떤 연구가 바람직한가를 모색해보는 것이었다. 개인적 효율성을 변화시키면 심리적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Bandura의 주장을 받아들인다면, 자기효율성은 개인의 발달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밖에 없다. 이와같은 개관연구는 자기효율성에 관한 발달심리학적 후속연구를 자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cent investigations of the self-efficacy. At the same time, the definition of the self-efficacy and the relationship of the self-efficacy with other variables, such as motivation, self-esteem and the locus of control was explored. Moreover, this study is valuable to consider the concept of the self-efficacy at the aspect of the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which kinds of study is required in the future efficacy study. Bandura suggested a hat if personal efficacy is changed by mediation, inevitably personal psychological aspect will be changed. Therefore, the self-efficacy will play a role in the course of child's development. The review study like this, will be expected to stimulate the follow-up study of efficacy.

청소년의 심리적 특징 및 우울과 비행간의 관계
곽금주(오산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 ; 문은영(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29-43
초록보기
초록

사춘기 남녀 청소년의 비행을 설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기청소년의 특징인 성적인 성숙, 신체상, 자아중심성, 사회적 적응력, 우울 변인이 반사회적 행동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점증하였다. 중학교 1, 2학년에 해당하는 남자 청소년(평균 연령 13. 50세) 383명과 여자 청소년(평균 연령 13. 46세) 408명에게 성적 성숙 척도, 신체상 척도, 자아중심성 척도, 그리고 사회적 적응력(우월한 적응능력, 충동통제력, 대처능력)척도, 우울 척도와 반사회적 행동을 측정하는 문항에 응답하게 하였다. 그 결과 여학생은 더욱 많은 우울증상을 보고하였고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비행을 더욱 많이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다회귀분석을 한 결과, 남학생의 비행은 우울, 성적인 성숙, 충동통제력, 연령, 자아중심성의 주효과가 있었다. 반면 여학생의 비행은 우울, 충동통제력, 연령에 의해 주로 설명되었다. 이와 같이 남녀의 비행과 연관된 심리적인 특성은 서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남녀 모두 우울, 충동통제력 파 연령이 비행에 영향을 주었으며 우울이 비행에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부차적인 관심으로 우울에 관련된 변인들을 살펴본 결과 남자청소년의 경우에는 대처능력, 충동통제력과 우월한 적응능력 미인이 설명력이 컸으며, 여자 청소 년은 대처능력, 신체상 그리고 자아중심성 변인의 주효과가 있었다. 청소년초기에 두드러지는 비행과 우울양상이 남녀 청소년에게 달리 나타나며 그 관련변인에 차이가 있는 본 연구 결과를 여러 측면에서 해석하고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pubertal timing, body image, egocentrism, social adaptation, depression and antisocial behavior in early adolescence. The subjects were 383 boys (mean age : 13.50) and girls (mean age : 13.46) in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They were administered with the following six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 pubertal timing, body image, imaginary audience, social adaptation (mastery and copying, impulse control, superior adjustment), depression and antisocial behavior. Results indicated that boys scored higher on antisocial behavior and girls scored higher on depression. In boys, depression, pubertal timing, impulse control, age, egocentrism were related to the antisocial behavior. In girls, depression, impulse control, age were correlated with the antisocial behavior. In both genders, depression was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antisocial behavior. The correlated variables of depression and antisocial behavior were different in each other sexe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and its implication and following study were suggested.

정적강화와 Fading 기법이 유아의 글자학습에 미치는 효과
김미영(중앙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홍준표(중앙대학교 가정관리학과) pp.44-5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정적강화와 읽기자료의 제시방법이 취학전 유아의 글자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구체적 연구문제는, 첫째, 정적강화는 유아의 글자학습에 효과적일 것인가? 둘째, 그림과 글자를 함께 제시하는 방법, 글자만 제시하는 방법, 그림과 글자의 비율을 체계적으로 조절하여 제시하는 fading 방법은 유아의 글자학습에 있어서 서로 다른 효과를 나타낼 것인가? 셋째, 이상의 여러 가지 제시방법들은 정적강화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가 나타날 것인가 등이었다. 연구의 대상은 사전검사를 통하여 한글을 읽을 수 없는 것으로 평가된 취학전 유아들로서 남녀 각 10명씩 모두 20명이었다. 이들은 반복측정에 의한 2×4 요인설계에 따라 우선 두 실험집단(강화와 비강화)에 각각 10명(남녀 각 5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그리고 정해진 순서에 따라 네 가지 자료제시 방법(r1, r2, r3. r4)에 피험자들을 노출시키면서 반응을 반복 측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첫째, 유아의 글자학습에 있어서 정적강화 조건간에는 유의한 주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료의 제시조건들 간에는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그림-글자, 글자-소리, fading 등 3개의 제시조건들은 각각 통제조건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그림-글자와 글자-소리 간에, 또 그림-글자와 fading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글자학습에 있어서 강화요인과 제시방법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의 글자학습에 있어서 그림-글자와 fading 두 방법은 정적강화 여부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글자-소리 조건은 정적 강화 여부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효과 분석의 결과는 부분적으로 수정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reinforcement and fading procedure on letter learning of young preschool children. In order to pursue the purpose, three null hypotheses Mere established as follows : firstl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tter learning of young children between the reinforcement conditions ; secondl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tter learning of young children between the presentation conditions of reading materials ; finally, there is no significant interaction in letter learning of young children between the reinforcement conditions and presentation conditions of reading materials. A 2 × 4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second factor was employed. The 20 preschool subjects, identified as non-read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wo levels of reinforcement conditions. Then, the reading responses of each subject in each group were repeatedly observed under the four different presentation conditions of reading materials. The four conditions were operationalized as flash-card reading programs that involved picture-letter cards, letter-sound cards, fading cards, and a control condition. And, these materials were computerized and presented individually to each subject through the 14" black and white monitor.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at :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tter learning of young children between the positive reinforcement and no-reinforcement conditions :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tter learning between control condition and each of the three presentation conditions, between the picture-letter and letter-sound, and picture-letter and fading conditions, but not between letter-sound and fading procedure ; (3)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wo factors. Consequently, the main effects may be interpreted with partial modification : positive reinforcement was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in the letter-sound condition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o-reinforcement condition between the picture-letter and control conditions ;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itive reinforcement condition between the letter-sound and fading conditions, but not between the picture-letter and fading conditions.

한국과 캐나다 대학생의 공감적 이해도 비교 : 예비 연구
김성일(강릉대학교 교직과) pp.58-94
초록보기
초록

타인의 정서적 경험에 대한 대리 적 반응으로서의 공감은 부모 자녀관계, 사회적 이해, 친사회적 행동, 상담과정과 같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공감에 관한 많은 연구는 주로 미국에서 수행되었기 때문에 문화적 영향이 충분히 확인되지 못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캐나다와 같은 대조적인 문화권에서 대학생의 공감의 차이를 비교하려는 것이었다. 33문항으로 구성된 Mehrabian과 Epstein의 정의적 공감검사와 8문항으로 된 부모행동검사(간편형)의 결과가 우편조사를 통하여 60명의 한국 대학생과 32명의 캐나다 대학생에게서 수집되었다. 공감점수는 캐나다 학생이 한국 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 여자의 공감점수가 남자보다 더 높았다. 이와 같은 성차는 캐나다 학생에게서 더 현저하게 드러났다. 부모행동의 두 차원인 통제와 지지도 캐나다 학생이 한국 학생보다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통제는 한국 남학생에게서만 공감과 의의있는 상관(.42-.54)을 보였고, 캐나다 여학생의 공간은 아버지의 지지 차원에서만 의의있는 상관(.45)을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상이한 부모의 양육방식과 문화적 영향에 기인되는 것으로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henomena of empathy occupies an unusual place in contemporary psychological writings. It is considered to be a critical determinant of social interactions, ranging from the behavioral interchange between parent and child, the development of social understanding, positive social behavior such as altruism and helping, to the intimacy and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in the dyadic relationship between therapist and client. Since most of studies on empathy were based on the American people, the effect of cultural variables was not fully investigated. Thus, it was postulated that an intercultural study comparing empathy for people from two radically different child-rearing environments would better highlight the possible effects of this variable. The responses to the Emotional Empathy Test and the Parent Behavior Questionnaire of 60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compared to those from 32 Canadian university students. Canadian students were more empathic than Korean students, and females more empathic than males from both groups. Support and control for parents of Canadian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Korean students. For the effect of parent behavior on empathy, significant correlations of parental control were appeared to be .42 to .54 for Korean male students only, and that of paternal support appeared to be .45 for Canadian female students only. These differences were discussed as attributed to different patterns of discipline and culture.

청소년기 자아중심성과 가족유형 및 가족 의사소통과의 관계
김인경(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96-119
초록보기
초록

청소년기 자아중심성과 가족관계의 관련성을 조사하고자 13세에서 23세 남자 청소년 57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기 자아중심성 척도와 가족관계 척도 그리고 부모-자녀 의사소통 척도에 응답하도록했다. 그 결과, 상상속의 청중 경향이 청소년 중기 이후 증가했으며 개인적 우화에서는 연령차이가 없었다. 고교생을 둔 가정의 경우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 모두에서 취약하였고 고교생의 경우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은 적어지고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증가하는 발달적 변화를 보였다. 가족체계의 응집성 차원에서 밀착 가정과, 적응성 차원에 있어서 혼란 가정의 청소년들에게서 상상속의 청중과 개인적 우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응집성과 적응성 차원 각각이 균형을 이루는 가정의 청소년들은 전반적인 청소년기 자아중심 성 경향성이 다소 낮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였다. 부모와 역 기능적 의사소통을 많이 하는 청소년들은 상상속의 청중 경향이 높았다. 이런 결과들은 가정 관계와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대인 관계 기술과 지식 습득에 유용한 역할을 하며, 청소년기 자아중심성과도 관련됨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he family system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with the adolescence egocentrism. Five hundreds and seventy Korean boys from the age of 13 to 23 answered the Adolescence Egocentrism Scale, the FACES III and the FAGI. The results revealed that imaginary audience of the middle and the late adolesc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early,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previous Korean studies. The analyses of functional family system showed that the families with 16 or 17 year-old boys provided environments lacking i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nd also fathers of which used less open and more problemed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of family system with the adolescence egocentrism, it was found that boys with the enmeshed level of family cohesion and the chaotic level of family adaptability were higher than those the lower level in adolescence egocentrism. The lower DFC score was, the less adolescence egocentrism was. In addition, the problemed communication with parent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adolescence egocentrism. These results suggest that family system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s important in aquiring the skills and knowledge of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might be related with the adolescence egocentrism.

위계적인 유목 포함관계를 부분-전체 관계로 잘못 이해하는 아동의 오류
김혜리(충북대 학교 심리 학과) ; 조경자(충북대 학교 심리 학과) pp.120-13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위계적 관계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만을 제시하였을 경우5세, 9세 및 성인들이 위계적인 포함관계를 군집의 부분-전체 관계로 잘못 해석하는 경 향이 있는지를 알아 보았다. 친숙하거나 친숙하지 않은 대상들의 위계적 포함관계를 무의미 단어를 사용하여 가르쳤다. 즉 2개의 하위법주의 명 칭과 상위범주의 명칭을 가르쳤다. 그 후 각 대상을 지적하면서 상위범주의 명 칭이 또는 하위범주의 명칭이 그 대상을 지칭하는 것인지 질문하였다. 연구 결과 세 연령 집단 모두 하위 수준 보다는 상위 수준에서 오류를 훨씬 많이 범했으며, 오류의 대부분은 위계적인 유목 포함관계를 군집의 부분-전체 관계로 이해하는 오류였다. 또, 5세, 9세 아동의 경우 성인보다 오류가 더 많았디. 그러나 하위 수준에서는 오류에 있어서 집단간에 큰 차가 없었다. 이 결과는 아동들이 유목 포함관계보다는 군집의 부분-전체 관계를 더 선호하는 인지적 편향성이 있다는 사실을 시사해 준다.

Abstract

The present experiment tested whether 5- and 9-year-old children and adults have a cognitive bias to misinterpret the class-inclusion relations as the part-whole relations of collections when only minimal information about a hierarchical relation was given. Novel and familiar class-inclusion relations were taught using drawings of novel and familiar objects that were referred to by nonsense syllables. In all three age groups of subjects, the errors occurred almost exclusively on the upper level of hierarchy and most of the errors were to misinterpret class-inclusion relations as the part-whole relations of collections. In addition, 5- and 9-year-old children made more errors than adults on the upper level of hierarchy but not on the lower level.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children and even the college students have a bias to misinterpret class-inclusion relations as the part-whole relations of collections, even though the latter have the bias in a much lesser degree.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과 지각향성에 관한 일 연구
단현국(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과) pp.131-14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의 성격유형특성이 교사의 지각향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공ㆍ사립 유치원에 재직중인 26-31세의 여교사 141명이었다. 성격유형특성은 성격유형검사(MBTI)에 의해 측정되었고, 지각향성은 지각향성검사에 의해 평가되었다. 그 결과, 유치원 교사는 E, N, F, J를 선호하고 있었으며, 대체로 긍정적인 지각향성을 보이고 있고, 성격특성과 지각향성과의 관계는 기능별 특성에서는 ST, SK, NT가 기질별 특성에서는 SJ, NT가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types and perception orientation of kingergarten teachers. Subjects were 141 kindergarten teachers, within the age range 26-31. years, who employed by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 in Seoul. Teachers' psychological types were measured by 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perception orientation was evaluated by perception orientation scale. The results were Kindergarten teachers displayed a preponderance E, N, F, J characteristics of MBTI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positive perception orientation(58.2%) In general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types and positive perception orientation, kindergarten teachers in particular, who were categorized as ST, SF, and NT on the functional psychological types, and both SJs and NTs in terms of temperament also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과제유형과 조작형태에 따른 유아의 서열조작 발달양상
송명자(동아대학교 교육학과) ; 김지영(동아대학교 교육학과) pp.147-16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도형과제와 사태과제에서의 서열조작 수행수준을 비교하며, 과제유형에 따른 조작수준이 구성조작과 삽입조작의 조작 형태 및 전순조작과 후순조작의 조작방향에 따라 어떻게 달리 나타나는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한 문제는 과제의 정보처리 부하량, 서열조작의 준거, 조작법칙 생성단서, 일상의 경험을 통한 친숙성 등의 요인이 유아의 서열조작 발달에 미 치는 연구대상은 4, 5, 6세 아동 168명이었으며, 각 연령집단에 속하는 56명의 아동은 전순구성, 전순삽입, 후순구성, 후순삽입의 네 조건에 무선으로 배정되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도형과제 10세트, 현상과제 10세트였으며, 각 세트는 크기, 길이, 사건이나 활동이 일어나는 시간적 순서에 따라 서열이 가능한 5개의 그림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통하여 과제의 정보처리부하량을 낮춤으로서 아동은 5, 6세경에 서열조작이 획득되며, 지각적 배열을 준거로 하는 도형과제 서열조작이 시간적 순서를 준거로 하는 사태과제의 서열조작보다 빨리 발달하며, 서열법칙 생성이 보다 어려운 사태과제에 있어서 법칙 단서가 제시되는 삽입조작 이 구성조작보다 수행이 높으며, 도형과제와 사태과제 모두 전순조작이 후순조작보다 빨리 발달하나 서열조작이 완성되는 6세경에 두 조작간의 수행이 일치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s ability to seriate figures and events in different operational conditions such as composition versus insertion and forward versus backward directions. The influences of information processing load of the task, criterion of serration, cue for the formation of seriation rule, and task familiarity were major variables to be examine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8 preschool children of 4, 5, and 6 years of age. 56 children in each age group were randomly assigned to forward composition, forward insertion, backward composition and backward insertion experimental groups. The task used in this study were 10 sets of figures and 10 sets of events. Each Set was composed of 5 pictures that are to be seriated in terms of length, size, and temporal success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revealed from this study. First, around the ages of 5 and 6 preschool children acquire the ability of seriation in both figures and events, given tasks with approprate information processing load. Second, at the lower age levels seriation of figures develop earlier than seriation of events. Third, in event task in which the formation of seriation rule is more difficult than that in figure task, the performance level of insertion is higher than that of composition seriation. Fourth, forward seriation develops earlier than backward seriation in both figure and event tasks at lower age levels. However, at the age of 6 at which the seriation is completed the performance difference between the two directions of seriation disappears.

아동의 유추추론 발달
신혜은(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 최경숙(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pp.162-18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1,3,5학년의 아동의 유추추론 수행과 유추추론과정이 연령과 난이도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유추추론 수행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연령과 난이도의 상호작용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어린 연령은 난이도에 따라 수행의 변화가 큰데 반해, 연령이 증가할 수록 난이도에 따른 수행의 변화가 적었다. 유추추론 과정에 대한 결과도 유추추론수행과 마찬가지로 연령과 난이도의 주효과가 유의하였고 상호작용효과는 난이도가 높은경우에만 유의하였다. 특히 회귀분식결과 세가지 요소과정 즉 추리과정, 지도화과정, 적용파정 중 난이노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은 지도화과정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ge and difficulty-related differences in children's analogical reasoning performance and reasoning processes. For this purpose, 3(age)×4(difficult-level) factorial design with a repeated measure in difficult level was us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44 children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re were 48 subjects(24 males and 24 females) in each of three age group: first, third, fifth grade. The task of this study was the picture which consisted of four sets of two types of analogies. The task was presented to a subject individually. The dependent measures were analogical reasoning performance score, inference process score, mapping process score, and application process score.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in terms of two way MANOVA with one factor repeated measurement, Scheff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main effects of age and difficult-level. That is, the analogical reasoning performance and each component process increased with age, while the performance and the processes decreased with difficult-level. (2)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ge and difficult-level in analogical reasoning performance, in inference process, and also in mapping process. However, in application process, there wasn't an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age and difficult-level. (3)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nalogical reasoning performance and each of three component processes were significant. Also, in terms of coefficients, application- and inference process predicted analogical reasoning performance well regardless of difficult level, while the predictor based on mapping process increased with difficult-level. Thus the mapping process seem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difficult task.

아동 기억 발달의 개별적 과정과 사회적 과정의 통합
유연옥(경북대학교 심리학과) pp.181-200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시의 기억발달 과정을 개별 과정(방략, 지식)과 사회 맥락(사회적 상호작용)의 상호보완적인 차원에서 이해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두 실험으로 구성되었으며, 120명의 4세 아동과 120명의 7세 아동이 참석하였고 두 유형 범주목록 사진을(Taxonomic items vs. Slot-filleritems)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 시험 1에서는 3가지 사회적 맥락 조건(Simple remembering, Sorting, Strategy)을 제시하였다. 실험 2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개인, 아동-아동 집단, 전문가-아동 집단으로 나누었다. 실험 1에서 7세 아동은 두 유형의 범주목록에서 4세 아동보다 높은 기억수행을 보였으나, 4세 아동은 Taxonomic 목록보다 Slot-filler 목록을 제시 받았을 때 높은 회상을, 군집화 정도, 그리고 짧은 반응잠시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Script를 토대로한 Slot-filler 범주가 어린 아동의 기억수행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입장을 강하게 지지해 주다. 또한 연령, 범주지식, 그리고 사회맥락간의 상호작용효과 측면에서 방략지시를 받은 아동들은 두 유형의 범주목록에서 모두 높은 기억수행을 보였다. 4세 아동은 Slot-fillter 과제에서 Sorting 지시를 받은 집단이 단순히 Remembering 지시를 받은 집단보다 높은 수행을 보였으나, Taxonomic 과제에서는 두 시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120명 중 23명의 7세 아동과 단지 1명의 4세 아동만이 조직화 방략을 사용하였다. 실험 2에서 4세와 7세 아동은 두 범주 유형의 과제에서 전문가-아동 상호작용집단이 다른 두 상호작용 집단보다 높은 수행을 보였으며 4세 아동은 아동-아동 집단이 상호작용집단이 다른 두 상호자용 집단보다 높은 수행을 보였으며 4세 아동은 아동-아동 집단이 개인 집단보다 높은 회상율을 보였다. 이 연구결과는 아동의 기억수행이 Slot-filler 범주지식의 영향을 받고, 4세 아동은 Slot-filler 위주구조를 기억 과정에서 유용하세 이용할 수 있고, 7세 아동은 보다 많은 Script와 Taxonomic 범주지식 구조를 형성해 가고 있음을 지지한다.

Abstract

The study of 120 4-year-old, 120 7-year-old children, investigated children's memory performance in relation to developmental changes knowledge structure, emergent strategy use, and social context. In 2 experiments, picture of items from two types of categories-slot-filler and taxonomic-were used. Experiment 1 contrasted three instruction conditions : Simple remembering, sorting pictures, and directions for strategy use. Experiment 2 provided three social interaction conditions : alone, with a peer, and an adult "expert." In Experiment 1 the younger children demonstrated better recall, clustering and shorter latencies for the slot-filler than the taxonomic list, while the 7-year-olds showed no such differences. Younger children performed better with sorting instruction than with simple remembering instruction on the slot-filler but not. the taxonomic list, again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slot-filler relations in item recovery. The results of Experiment 2 showed that all children benefitted from expert guidance on both types of lists. Younger children recalled more in the child-child condition than alone, suggesting the shared knowledge is a central feature of social interaction. Cultural attitudes toward learning may also influence performance.

가족구조와 부모불화가 청소년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명숙(한국청소년개발원) ; 김영미(Rochester University) pp.201-216
초록보기
초록

연구는 저소득계층 청소년의 정서적, 행동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내 사회환경적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서울 인근지역에 거주하면서 사회복지단체의 후원을 받는 저소득계층 가정출신의 9-19세 남여 청소년 247명을 대상으로 가정결손과 부모불화의 영향정도를 비교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양친부모가 자녀와 동거하는 가족은 '전통적 가정', 그 외의 가족형태는 모두 '비전통적 가정'으로 분류하여 가족구조양상에 따른 청소년의 부적응정도를 분석하고 청소년의 '부모불화 지각'정도에 관련한 부적응정도도 측정하였다. 부적응의 지표로는 정서적 측면에서 우울, 불안 정도를 측정하고 행동적 측면에서 비행행동의 빈도를 측정하였다. 이들간의 매개변인으로서 부모의 감독, 자녀의 학교성적 등을 포함하였다. 중다회귀 분석결과 청소년의 정서적, 행동적 부적응에 대해서 가족구조양상보다4? 무모불화 정도가 더 높은 예언력을 보였다. 즉, 가정의 구조적 결손 자체보다는 부모불화로 인한 적대적 가정분위기가 가정의 기능적 결손을 초래하여 청소년들의 우울과 불안, 비행행동에 더 강한 영향을 미친다. 가정결손의 영향이 약한 것은 저소득계층 가정에서 가정결손 이전에 상존해 있던 극심한 불안정요소(부모불화, 가정폭력, 과한 음주, 도박 등)가 가족해체로 인해 제거됨으로써 아동에게는 오히려 '부적 강화'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가족구조 및 부모불화 변인이 불안/우울에 대해서는 유의하게 예언하나, 비행행동에 대해서는 예언력이 낮은 이유는 정상청소년집단에서 비행행동의 발생빈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생긴 분포의 편향성과 관련된 것으로 추측된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which influence children's affective and behavioral adjustment from low-income families. The children are 247 boys and girls aged 9-19 years coming from social welfare famil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s major familial factors, the effects of family breakup and marital discord are compared. That is, the adverse influence of unconventional family vs, conflict-ridden family on their offspring's development is assessed. The unconventional family is one that at: least one of the parents does not live with their children. Maladjustment is indicated by the degree of depression, anxiety, and delinquent behaviors. Parental supervision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re measured as mediators. As a result, marital discord rather than family structure is a more effective predictor for children's maladjustment. Malevolent marital relationship associates more strongly with children's depression, anxiety, and delinquency than family breakup does. However, it is suggested from the unexpected weak association of family breakup in low-income families that family breakup in extremely low-class could work as a negative reinforces to family members because the existent adverse factors within family, such as marital conflict, family violence, drug abuse, alcoholism, et al., are got rid of with family breakup. In case of delinquency criterion, low predictability of discord and family breakup on delinquency is a presumed result supposed by the left-side skewedness of the distribution of delinquent behaviors.

기질과 환경 간의 " 조화로운 합치 " 모델 검증 연구 (1) : 조화로운 합치정도와 양육태도
최영희(수원대학교 가정관리학과) pp.217-226
초록보기
초록

기질과 환경 간의 조화로운 합치 모델은 기질특성이 환경의 요구나 기대와 조화를 이룰 때 긍정적 상호작용을 경험하며, 따라서 긍정적 발달을 이룬다는 가정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조화로운 합치 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도시와 농촌 지역 국민학교 5학년 생 240명과 그 어머니들을 조사하였다. 아동의 기 질은 Buss와 Plomin(1984)의 EAS를 번안하여 조사하였다. 아동의 기질은 아동과 어머니의 두 출처를 통해 조사하였다. 자녀의 기질에 대한 만족도와 양육태도는 어머니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가 자녀기실에 만족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애정이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조화로운 합치 모델을 지지하였다. 그러나 통제적 태도와 의존성조장 태도는 자녀기질 만족도 보다 자녀기질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가와 관계되었으므로 조화로운 합치 모델을 뒷받침하지 못하였다.

Abstract

The goodness of fit model of temperament and context relations implies when the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are matched the contextual demands or expectations, positive exchanges occur between a person and a significant others, and in consequence positive development might be followed. In order to test the goodness of fit model, this study investigated 240 fifth graders from urban and rural areas and their mothers. Children's temperament were assessed with EAS devised by Buss and Plomin(1984). Children's temperament were assessed through two sources,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e level of satisfaction at children's temperament and maternal attitude were estimated by the moth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oodness of fit model was supported in the affectionate attitude. Mothers satisfying at their children's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showed more affectionate attitude. As controlling attitude and promoting dependency attitude were explained by mothers' rating of children's temperament rather than by level of satisfaction, goodness of fit model was not support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