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wives' Life Stress and Coping Style of Middle-Aged Wome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wives' life stress and coping style of middle-aged women. In this study, prediction variable was housewives' life stress, moderator variable was social support, and outcome variable was coping style. The subject were 297 women (aged 40-59) from Seoul, Gyeonggi province. The data was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ose variables among housewives' life stress, social support & coping style, and Multiple group analysis were done in order to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ose variables among housewives' life stress, social support & coping styl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t was proved that social support exerted as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wives' life stress and coping style of middle-aged women. That is, those in high social support(emotional, evaluative, informational and material support), high housewives' life stress group showed high positive coping style. And those in low social support(emotional, informational and material support), high housewives' life stress group showed high negative coping style. Therefore, in order to help housewives' life stress of middle-aged women, various counseling strategies are required in terms of improving their social supports.

keywords
middle-aged, stress, social support, coping style, moderating effect, 중년기,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 조절효과

Reference

1.

고은숙 (1992). 취업주부의 스트레스, 내외통제성 및 관련 변인 고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경희 (1985). 한국도시주부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경신⋅김오남 (1997). 편모가족의 가족 지원, 대처와 스트레스. 대한가정학회지. 35, 211-228.

4.

김경아⋅이정우 (1990). 기혼여성이 지각한 가정생활상의 스트레스 수준 및 관련변인 고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8, 101-117.

5.

김명자 (1988).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서울시 남성과 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김미례 (2006).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자아 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미현⋅류점숙⋅신효식 (1993). 주부의 가정생활상의 Stress와 심리적 손상에 관한 연구. 대한 가정학회지, 31, 112-126.

8.

김미희 (1994). 중년여성의 강인성,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삼진 (1999). 성인여성의 생활무용참가와 사회연결망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정선⋅신경림 (2004). 성인여성의 우울과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4(2), 352-361.

11.

김정옥⋅박순희 (1990). 가족 스트레스 관리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8, 127-145.

12.

김정호 (2000).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동기 및 인지. 덕성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6, 1(26).

13.

박지민 (2000).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및 감성지능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박혜경 (2000). 전업주부와 취업주부의 정서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신체병리의 차이 비교.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윤상희 (1995). 맞벌이 부부의 스트레스 인지와 대처방식, 디스트레스.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소은 (1990).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아동 및 청소년의 대처방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 숙 (1986). 정신질환자, 비정신질환자의 사회적 지지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이숙자 (2005).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적극적 대처방식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

이승영 (1996). 도시 주부의 생활 스트레스와 대처유형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이주희⋅이은희 (2000). 맞벌이 부부의 직장, 가정의 역할갈등과 우울과의 관계에 대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건강, 5(2), 287-303.

22.

전겸구 (1998). 주부들이 경험하는 생활 스트레스와 대처 연구. 재활과학 연구, 14(1), 39-59. 대구대학교.

23.

전겸구⋅김교헌 (1993). 주부생활스트레스와 대처척도의 개발연구 Ⅰ,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12, 197-217.

24.

전겸구⋅김교헌 (2003). 한국 주부의 생활 스트레스와 대처 양상.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1), 1-39.

25.

전영자⋅김세진 (1999).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3, 157-178,

26.

최애선 (2002).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황성훈⋅유의정⋅한오수 (1998). IMF에 관련된 경제적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161-172.

28.

Billings, A. G., & Moose, R. H. (1981). The role of coping responses and social resources in attenuating the stress of life event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4, 139-157.

29.

Broadhead, W. E., Kaplan, B. H., James, S. A., Wagner, E. H., Schoenbach, V. J., Grimson, R., Heyden, S., Tibblin, G., & Gehlbach, S. H. (1983). The epidemiologic evidence for a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health.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17, 521-537.

30.

Brown, G. W., Andrew, B., Harris, T., Adler. Z., & Bridger, L. (1986).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Psychological Medicine, 16, 813-831.

31.

Cessel, J. (1996). The contribution of the social environment to host resistance. Am. J. Epidemiology, 104(2), 107-123.

32.

Cho, E. H., Chun, J. H., & Lee, S. W. (2000). A Model for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The Gerontological Disease, 4(3), 148-163.

33.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 300-314.

34.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of buffer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99-125.

35.

Cohen, S., & Wills, T. A. (1985).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357.

36.

Compas, B. E., Malcarne, V. L., & Fondacaro, K. M. (1988). Coping with stressful events in older childrenand young adolescen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 405-411.

37.

Cutrona, C. E. (1984). Social support among elderly in two community programs. Journal of Gerontoloical Nursing, 21(2), 31-38.

38.

DeLongis, A., Folkman, S., & Lazarus, R. S. (1988). The impact of daily stress on health and mood: Psychological and social resources as mediato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486-495.

39.

Folkman, S., & Lazarus, R. S. (1980). An analysis of coping in a middle aged community sampl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5, 229-244.

40.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ssachuesetts: Addison-Wesley, P27.

41.

Kessler, R. C., Turner, J. B., & House, J. S. (1988). Effects of unemployment on health in a community survey: main modifying, and mediating effects. Journal ot Social Issues, 44(4), 69-85.

42.

Korea Women's Associations United(KWAU) (2001). For Womens Health, KWAU.

43.

Laura, M., Glynn M., Nicholas, C., & William, G. (1999). Gender, Social Support, and Cardiovascular Responses to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61(2), 234-242.

44.

Lazarus, R.,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45.

Pearlin, L. I., & Schooler, C. (1978). The Structure of Cop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3), 2-21.

46.

Sarasan, B. R., Pierce, G. R., & Sarason, I. G. (1990). Social Support: An international view, New York: Willy.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