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conflict of adult children and coping styles on mid to late adulthood women' dep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35 depressive patients and 40 normal persons.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pressive patients experienced more emotional and value conflict of adult children. Also these used more primary coping strategy and less secondary coping strategy. Seco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emotional and value conflict of adult children and positive reappraisal coping strategy explained 73% variance of depression in women. Third, in depression group, two conflict of adult children, positive reappraisal coping strategy, effort and skill investment strategy explained 72% variance of depression. In normal group. only lowering aspiration secondary copying strategy was significant factor, explained 10% variance of depression. Finally,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강청순 (2003). 중년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침례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0). 여성우울증, 남성보다 2배 많아.
곽지현 (2003). 통제전략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초년․중년․노년성인의 비교.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하, 손정락 (2011). 수용전념 집단 치료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 207-223.
김상희, 최정훈 (1990). 이차적 통제의 적응적 의미.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 108-119.
김은정, 오경자, 하은혜 (1999a). 기혼 여성의 우울증상에 대한 취약성: 스트레스 경험 및 대처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4(1), 1-14.
김은정, 오경자, 하은혜 (1999b). 기혼여성의 우울증상과 심리 사회적 특성.: 3개월간 추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8(2), 15-26.
김희경 (2004). 기혼여성의 우울증상과 도움추구 태도에 관한 통합모형 검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5). 신경정신의학 2판. 서울. 중앙문화사.
박수남 (1990). 아동의 통제 소재에 따른 지각된 유능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정자 (1999). 자활보호대상자의 중년기 위기감에 대한 연구. 부산대학교 일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정희 (1999). 주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가족관계 병인: 청소년 자녀가 있는 도시 중산층 전업 주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가정학과. 박사학위논문.
변외진, 김춘경 (2006) 중년 여성의 우울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12), 155-165.
신효식. 이신숙, 이윤정 (1994). 노부모의 성인자녀와의 갈등 및 우울에 관한 연구. 가정과학연구. 4 41-56.
안정신 (2005). 중노년기 미국성인들의 심리적 복지감:전생애 발달 과정의 부모자녀관계와 생산감 발달의 영향. 한국노인사회, 23(2), 245-266.
안지연 (1998), 성공적 노화를 위한 선택, 적정화, 보상 책략과 대처행동양식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 청년집단과 중, 노년 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유성은, 권정혜 (1997). 완벽주의적 성향, 사회적지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이 중년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2), 67-84.
이경미, 최윤경, 강이헌, 이민수 (2004). 지역사회 기혼 여성의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가족내 관계 만족 변인 및 갈등대처 방식을 중심으로- 신경정신의학 43(2), 229-236.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98-113.
이윤정 (1994). 노부모의 성인자녀와의 갈등과 우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미경, 김주후 (2008) 노년기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적용 사례연구. 한국노년학, 28(3). 603-618.
조설애, 정영숙 (2006). 상황의 통제가능성에 따른 노인의 일차 통제와 이차통제 사용과 정서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4), 89-107.
최정혜 (1992). 노부모가 지각하는 성인자녀와의 결속도 및 갈등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교, 가정학과 박사학위청구논문.
한기연 (1993). 다차원적 완벽성-개념, 측정 및 부적응과의 관련성.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허정훈 (2000).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긍정적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혜영 (1995). 완벽주의 성향, 자기 효능감, 우울과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Antonucci, T. C., & Akiyama, H. (1997). Concern with others at midlife; Care, comfort or compromise? In M. E. Lachman & J. B. James (Eds.), Multiple paths of midlife development(pp.145-170).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Baltes, P. & Baltes, M. (1990). Successful aging: perspective from the behavioral sciences.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Bailis, D. S., Chipperfield, J. G., & Perry, R. P. (2005). Optimistic social comparisons of older adults low in primary control: A prospective analysis of hospitalization and mortality, Health Psychology, 24, 393-401.
Beck, A. T. (1976). Cognitive therapy & the emotional disorder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Brandstadter, J., & Renner, G. (1990). Tenacious goal pursuit and flexible goal adjustment: Explication and age-related analysis of assimilative and accommodative strategies of coping. Psychology and Aging, 5, 58-67.
Coyne, J. C., Aldwin, C., & Lazarus, R. S. (1981). Depression and coping in stressful episod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0, 439-447.
Crandall, V. C., Katkovskym, W., & Crandall, V. J. (1965). Children's beliefs in their own control of reinforcements in intellectual- academic situation. Child Development, 36, 91-109.
Daniel, K. & Guppy, A. (1997). Stressors, locus of control and social support as consequences of affective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2, 159-174.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Fisher, C. B., Reid, J. D., & Melender, M. (1989). Conflict in families and friendships of later life, Family Relation, 38, 83-89.
Folkman, S., & Lazarus, R. S., (1980). An analysis of coping in a middle-aged community sampl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1, 219-239.
Geiser, D. S. (1992). A comparison of acceptance- focused and control-focused psychological treatment in a chronic pain treatment center. Unpublished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vada, Reno.
Hewitt, P. L. & Fleet, G. L. (1991).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60, 456-470.
Heckhausen, J. & Schulz, R. (1995). Life-span theory of control. Psychological Review. vol. 102. No 2. 283-304.
Heckhausen, J., Schulz, R. & Wrosch, C. (1998). Developmental regulation in adulthood: Optimiz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control. Unpublished manuscript. Berlin:Max Planck Institute for Human Development and Education.
McQuillen, A. D., Licht. M. H., & Licht, B. G. (2003). Contributions of disease severity and perceptions of primary and secondary control to the prediction of psychosocial adjustment to parkinson's disease. Health Psychology, 22, 504- 512.
Peng, Y. & Lachman, M. E. (1993). Primary and secondary control: Age ad cultural differences. Poster presented at the 101st Annual Convention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ronto. Canada.
Pillemer, K., & Suitor, J. J. (1991). Will I ever escape my child's problems?: Effects of adult children's problems on elderly parent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 585-594.
Ryff, C. D. & Lee, Y. H., Essex, M. J., & Schmutte, P. S. (1994). My children and me: Midlife evaluations of grown children and of self. Psychology and Aging, 9(2), 195-205.
Ryff, C. D. & Seltzer, M. M. (1996). The parental experience in midlife.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Ryff, C. D, Schmutte, P S. & Lee, Y. H. (1996). How children turn out: Implications for parental self-education.
Smith, L. (1987). Meeting filial responsibility demands in middle age. Unpublished M. A. Theses, The Pennslyvania State University.
Tayler, S. E., Helgeson, V. S., Reed, G. M., & Skokan, L. A. (1991). Self-generated feelings of control and adjustment to physical illness. Journal of Social illness, 47, 91-109.
Thompson, S. C., Nanni, C., & Levine, A. (1994). Primary versus secondary and central versus consequence-related control in HIV-positive me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 540-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