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compared the influence of depressed mood and parenting guilt and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behaviors between North Korean Women Refugees(219) and South Korean Women(100). ANCOVA showed that North Korean Women Refugees had higher depressed mood, parenting guilt, parenting stress,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than South Korean Women. Depressed mood, parenting guilt,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s of North Korean Women Refugees differed on their settlement period. The group settled in community from one to three years showed more depressed mood and parenting guilt than the group educated in Hanawon(Settlement Support Center for North Korean Refugees), and the group of settlement period from three to five years had the lowest scores on parenting stress among refugees. Hanawon group had the lowest scores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In North Korean Women Refugees, depressed mood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arenting guilt and parenting stress, but with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too. In South Korean Women, depressed moo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enting guilt, parenting stres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redictability of depressed mood, parenting guilt, and parenting stress with parenting behaviors were 2.3%~36.6% in North Korean Women Refugees, and 2.0%~19.0% in South Korean Women. These predictive variables more affect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than negative behaviors in North Korean Women Refugees, and on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than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in South Korean Women. Based on these result,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North Korean Refugees Women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ere described.
권혜경 (2002).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성격형성.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경희 (1996).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어머니의 권위, 통제와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4(3), 19-26.
김미숙 (2005).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효능감이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미정, 정계숙 (2007). 유아기 자녀를 둔 새터민 부모의 양육 이야기. 아동학회지, 28(1), 71-88.
김영희, 장래수 (2004). 부모의 완벽주의, 우울, 양육행동과 아동의 부적응 행동. 놀이치료연구, 8(1), 117-139.
김종남, 최윤경, 채정민 (2008). CES-D와 로샤검사를 통해 본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2), 41-61.
김현미 (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희경, 신현균 (2010). 지역사회 정착 전후 북한이탈주민의 성 및 연령별 심리 증상.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4), 659-676.
김희경, 오수성 (2010). 탈북 여성의 MMPI-2 프로파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1), 1-20.
노대균 (2001). 탈북자의 개인차 요인이 적응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노현정 (2003). 취업모와 비취업모간의 양육죄책감과 양육행동의 차이.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미석, 이종남 (1999). 탈북 가족의 남한 사회 적응시 겪는 어려움과 그에 따른 대처 방안. 통일논총, 17, 3-74.
박성연, 전춘애, 한세영 (1996). 아동의 어머니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4), 203-215.
박응임 (1995). 영아-어머니간 애착유형과 그 관련변인. 아동학회지, 16(1), 113-132.
박주희 (2000). 아동의 또래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아동학회지, 22(4), 1-15.
백영숙 (2007). 어머니의 자녀양육스트레스와 양육죄책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신민호 (1996). 유아모의 전공 및 직업 유무와 양육태도의 관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안지영, 박성연 (2002).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1), 53-68.
엄태완 (2004). 북한이탈주민의 무망감에 의한 우울증 완충 효과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순형, 이기춘, 이기영, 이은영, 김대년, 박영숙, 최연실 (1999). 북한의 아동 양육실태 및 관련 변수. 아동학회지, 20(4), 43-59.
장인숙 (2001). 자녀양육에 대한 죄책감, 격리불안 및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취업모와 비취업모를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장혜경, 김영란 (2001). 북한이탈주민 가족의 가족안정성 및 사회적응과 여성의 역할. 한국여성개발원.
전겸구, 이민규 (1992). 한국판 CES-D 개발 연구 1.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437-445.
정문자, 신숙재 (1998).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19(1), 27-42.
조맹제, 김계희 (1993). 주요우울증환자 예비평가에서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32(3), 381-399.
조영아 (2012). 남한에서 자녀와 재결합한 북한이탈여성의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1), 197-222.
조영아, 김연희, 유시은 (2009). 남한 내 7년 이상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329-348.
조영아, 전우택 (2005). 탈북 여성들의 남한 사회 적응 문제: 결혼 경험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1), 17-35.
조영아, 전우택, 유정자, 엄진섭 (2005).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예측 요인: 3년 추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467-484.
최대헌, 이인수, 김현아 (2007). 새터민 아동 청소년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아동교육, 16(2), 277-291.
통일부 (2012). 북한이탈주민 입국 현황. 통일부 홈페이지.
한인영 (2001).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성향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1(6), 78-94.
홍은주 (2003). 북한이탈부모의 자녀양육 변화와 문제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황혜정 (1997). 아동의 정서, 행동 문제와 부모의 수용. 한국교육심리학회, 11(3). 331-350.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PSI): Manual Pediatric.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Biglan, A., Hops, H., Sherman, L., Friedman, L. S., Arthur, J., & Osteen, V. (1985). Problem- solving interactions of depressed woman and their husbands. Behavior Therapy, 16(5), 431-451.
Conard, M., & Hammen, C. (1989). Role of maternal depression in perceptions of child maladjust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7(5), 663-667.
Cox, A. D., Puckering, C., Pound, A., & Mills, M. (1987). The impact of maternal depression in young childre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8(6), 917-928.
Crinic, K. A., & Booth, C. L. (1991). Mothers' and fathers' perceptions of daily hassles of parenting across early childho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4), 1042-1050.
Downey, G., & Coyne, J. C. (1990). Children of depressed parents: An integrativ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08(1), 50-76.
Fendrich, M., Warner, V., & Weissman, M. M. (1990). Family risk factors parental depression and psychopathology in offspring. Developmental Psychology, 26(1), 40-50.
Field, T., Healy, B., Goldstein, S., & Guthertz, M. (1990). Behavior-state matching and synchrony in mother-infant interactions of nondepressed vs. depressed dyads. Developmental Psychology, 26(1), 7-14.
Furnham, A., & Bochner, S. (1986). Culture shock, Psychological reaction to unfamiliar environment. New York: Methuen.
Gordon, D., Burge, D., Hammen, C., Adrian, C., Jaenicke, C., & Hirroto, D. (1989). Observations of interactions of depressed women with their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46(1), 50-55.
Hinton, W. L., Tiet, Q., Tran, C. G., & Chesney, M. (1997). Predictors of depression among refugees from Vietnam: A longitudinal study of new arrivals.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85(1), 39-45.
Lempers, J. D., Clark-Lempers, D. C., & Simons, R. L. (1989). Economic hardship, parenting, and distress in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60(1), 25-39.
Luster, T., & Okagaki, L. (1993). Multiple influences on parenting: Ecological and life-course perspectives. In T. Luster & L. Okagaki (Eds.), Paren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pp. 227-250). Hillsdale, NJ: Erlba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