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a multi-dimensional hypothetical model on important variables of the intension of plastic surgery among female high shool students. The survey included 357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rom Metropolitan area. Results of testing the model showed that internalization of the sociocultural standards of ideal apperance, body surveillance, body shame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personal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s and the intension of plastic surgery. The internalization of the sociocultural standards of ideal apperance ful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s and the body surveillance. And the internalization of the sociocultural standards of ideal apperance directly influenced on intension of plastic surgery or indirectly affected on intension of plastic surgery through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Implication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구자연, 하은혜 (2010). 한국판 청소년용 대상화된 신체의식 척도(K-OBC-Y)의 타당화 연구. 놀이치료연구, 13(3), 141-158.
김시연, 백근영, 서영석 (2010). 대인 성적대상화 경험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기준의 내면화가 섭식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 무용 전공 여대생과 일반 여대생 비교. 한국 심리학회지: 여성, 15(4), 613-634.
김완석, 조옥경 (2009). 미용성형 의도, 신체이미지와 신체가치관의 관계: 여성요가인과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0(4), 611-632.
동아일보 (2006). 여고생 방학 중 성형수술 붐.
디지털 타임즈 (2011). 성형중독 탈출, 전문의 역할 크다.
문정신 (2003). 공적 자기의식 및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의 내재화와 신체상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백근영 (2011). 여성 직장인의 성적 대상화 경험과 일몰입의 관계: 내면화와 신체감시의 매개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손은정 (2007). 공적 자기의식, 사회문화적 가치의 내면화 및 신체상에 대한 태도가 성형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1), 63-81.
손은정 (2008). 신체 놀림에 대한 지각, 신체 비교, 신체에 대한 감시, 신체에 대한 왜곡이 성형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2), 121-136.
손은정 (2011). 성인기 여성의 생애주기에 따른 신체상 및 신체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3), 357-377.
손은정 (2012). 성인기 여성의 성형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생애주기별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1), 149-173.
안나영 (2007).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태도와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형진 (2008).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이 시청자의 성형수술 행위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계획행동 이론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8(4), 480-513.
윤미선 (2008). 여고생의 대상화 경험, 신체 자존감, 수치심이 성형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미숙 (2008).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지각적·태도적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7(2), 97-110.
임인숙 (2004). 다이어트의 사회문화적 환경: 여대생의 외모차별 경험과 대중매체의 몸 이미지 수용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8(2), 165-187.
장선철, 송미현 (2004).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및 학교 적응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1(3), 115-133.
정형식, 이승희, 김영실 (2005).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과 동료압력이 성형행동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관리연구, 10(1), 165-184.
조영미 (2005). 아동 및 청소년기의 신체상.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희경 (2009).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영향과 여자 청소년의 이상섭식행동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수정 (2006). 10대 여성의 외모관리문화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윤정 (2005). 미디어에 의한 여성들의 신체불만족 현상에 관한 연구: TV와 잡지 소비로 인한 신체불만족 현상과 다이어트, 성형수술에 대한 동의 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세희 (2000). 구조방적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의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Bollen, K. A. & Long, J. S.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pp.136-162). Beverly Hills, CA: Sage.
Cusumano, D. L., & Thompson, J. K. (1997). Body image and shape ideals in magazines: Exposure, awareness, and internalization. Sex Roles, 37(9-10), 701-721.
Cusumano, D. L., & Thompson, J. K. (2001). Media influence and body image in 8-. 11-year-old boys and girls: A preliminary report on the multidimensional media influence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29(1), 37-44.
Fredrickson, B. L., & Rogerts, T. (1997). Objectification theory: Toward understanding women's lived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risk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1(2), 173-206.
Fredrickson, B. L., Roberts, T-A., Noll, S., O’Barr, J. F. & Hendler, L. (2011). Bringing the body back: A retrospective on the development of objectification theory.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5(9), 689-696.
Harrison, K. S. (2003). Televeision viewer's ideal body proportions: The case of the curvaceously thin woman. Sex Roles, 48(5), 255-264.
Harrison, K. S., & Fredrickson, B. L. (2003). Women's sports media, self-objectification, mental health in black and white adolescent females. Journal of Communication, 53(2). 216-232.
Kozee, H. B. Tylka, T. L. Augustus-Horvath, C. L., & Denchik, A. (2007).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interpersonal sexual objectification scale.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1(2), 176-189.
Mitchell, K. S., & Mazzeo, S. E. (2009). Evaluation of a structual model of objectification theory and eating disorder symptomatology among European American and African American undergraduate wome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3(4), 384-395.
McKinley, N. M., & Hyde, J. S. (1996). The O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0(2), 181-215.
McKinley, N. M., & Randa, L. R. (2005). Adult attachment and body satisfaction: An exploration of general and specific relationship differences. Body Image: An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2(3), 209-218.
Moradi, B., Dirks, D., & Matteson, A. (2005). Roles of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s and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in eating disorder symptomatology: An examination and extension of objectification the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3), 420-428.
Roberts, T., & Gettman, J. Y. (2004). Mere exposure: gender differences in the negative effects of priming a state of self-objectification. Sex Roles, 51(1-2), 1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