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유자녀 직장여성의 다중역할로 인한 긍정적, 부정적 효과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cale for Measuring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Multiple Roles on Employed Mother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자녀 직장여성의 다중역할로 인한 긍정적 · 부정적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준거 타당도 분석과 검사-재검사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다중역할로 인한 긍정적 효과는 총 28문항으로 5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척도가 제작되었다. 각 요인명과 문항구성을 살펴보면, 요인 1은 '일-가족 이점(7문항)', 요인 2는 '다중역할 효능감(8문항)', 요인 3은 '가족-일 이점(6문항)', 요인 4는 '경제적 이점(4문항)', 요인 5는 '가정스트레스 분리(3문항)'이었다. 다중역할로 인한 부정적 효과는 총 30문항, 5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척도가 완성되었다. 5개 요인들의 요인명과 문항구성을 살펴보면, 요인 1은 '소진 및 과부하(7문항)', 요인 2는 '가족-일 갈등(9문항)', 요인 3은 '일-가족 물리적 갈등(7문항)', 요인 4는 '전업주부와의 교류 갈등(4문항)', 요인 5는 '일-가족 심리적 갈등(3문항)'이었다. 끝으로 타당도 분석과 검사-재검사 신뢰도 분석을 통해 척도의 타당성과 시간적 안정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척도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유자녀 직장여성, 다중역할 긍정 효과, 다중역할 부정 효과,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 for measuring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multiple roles on employed mothers. This scale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examination of existing scales and the responses of open-ended questionnaires. The optimal structure of the scale was examin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scale for measuring positive effects of multiple roles consisted of factor 1 of Work-to-Family Gains(7 items), factor 2 of Multiple-Role Self-Efficacy(8 items), factor 3 of Family-to-Work Gains(6 items), factor 4 of Financial Gains(4 items), and factor 5 of Separation from Family Stress(3 items). The scale for measuring negative effects consisted of factor 1 of Burnout and Overload(7 items), factor 2 of Family-to-Work Conflict(9 items), factor 3 of Work-to-Family Physical Conflict(7 items), factor 4 of Discomfort in Relationships with Homemakers(4 items), and factor 5 of Work-to-Family Psychological Conflict(3 item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hierarchial 2-level factor model of these scales, respectivel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s were verified through validity analysis and test-retest reliability analysi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and recommendable topic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employed mothers, positive effects of multiple roles, negative effects of multiple rol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투고일Submission Date
2014-07-28
수정일Revised Date
2015-01-26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15-03-03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