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The Study about Gender Role Perception and Gender Role Expectation of the Preliminay Teachers

Abstract

As women's social activities and multiple roles increase,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bout gender role perception are growing. It is worth identifying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because the influence of teachers is very large in education and they will teach the youth who also make a family in the futur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95 students who belong to college of education or completing a course of teac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preliminary teachers in the gender role perception, specially in 'expected lyrics contribution ratio', 'career barrier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ual income status of parents', 'attitude about dual income status of parents', 'multiple role planning' and 'employment stereotypes of career barriers'. Second, women showed higher expectations of gender role including every lower measure. Third, the researchers tested the influence factors of gender role expectations. Finally, conclusions, implications and limita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성역할인식, 성역할기대, 예비교사, 다중역할, 성별, gender role perception, gender role expectation, preliminary teacher, multiple roles, gender

Reference

1.

고경리 (1991). 성역할 사회화 교육에 관한 연구- 학생, 교사들의 가치관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영희 (2005). 교사의 성역할정체감 유형과 양성성 증진을 위한 의식향상 교육프로그램효과에 관한 예비연구.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untining Education, 8(1), 1-22.

3.

김유정, 윤지현 (2005). 초등 예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과 양성평등의식에 대한 연구. 인문사회교육연구, 8, 95-109.

4.

김정자 (1990). 주부가 지각한 남편의 가정내 역할수행과 주부의 스트레스와의 관계 연구:취업주부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현숙 (2012). 기혼직장여성의 인지적 유연성과사회적 지지가 일-가족 다중역할갈등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박유정 (2000). 대학생의 성고정 관념과 성역할정체감 및 자기의식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박종서 (2013). 가족 내 가사분담과 성역할 인식에서 나타나는 양성평등실태. 보건복지포럼, 199, 28-38.

8.

서광희, 조병은 (1993). 농촌부부의 배우자역할평가와 결혼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1(1), 97-120.

9.

안진아 (2008). 역할모델 및 다중역할계획에 대한태도와 진로포부의 관계-여대생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양병화 (1998).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학지사.

11.

양순옥, 정금희 (2002). 남녀 대학생의 성 이미지와 성 역할 인식의 차이. 여성건강간호학회지, 8(2), 289-300.

12.

이윤미 (1995). 배우자에 대한 가정 내 역할기대, 수행평가의 차이가 부부스트레스에 미치는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이재옥 (1999). 유아 교사의 성역할 인식과 양성평등교육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교사교육, 16(2), 217-237

14.

임은주, 이성숙 (2004). 양성평등교육을 위한실과 교수․학습이 성역할 태도에 미치는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7(4), 61-74.

15.

전세경, 김은정 (2009). 양성평등교육을 위한초등교사 양성프로그램 개발 기초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3), 1-25.

16.

전세경, 어성연 (2015). 예비초등교사들이 인식한 가정에서의 성역할에 대한 연구-남녀인식의 차이 검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8(3), 77-93.

17.

정미라 (2008).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과 양성평등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54, 1-21.

18.

정순둘, 배은경, 최혜지 (2012). 세대별 부양의식 및 성역할인식 유형. 한국가족복지학, 17(2), 5-23.

19.

정진희 (1990). 도시저소득층 취업주부의 가정내역할에 관한 연구-역할인지, 역할수행, 역할평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정혜숙 (2001). 지식기반사회로의 진입을 위한과제-양성평등교육. 서울교육, 43(3), 12-16.

21.

차성란 (1997). 남녀 대학생들의 가사노동분담의식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학생생활연구, 6, 1-18.

22.

최외선 (2003). 결혼과 가족. 서울: 정림사

23.

최윤정 (2010). 대졸 기혼 직장 여성의 일-가족다중역할 갈등 완화 과정: 개인 특성과 환경적 지지와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통계청 (2015). 2015 일⋅가정 양립지표. 공공누리.

25.

한인영, 홍성희 (2011). 여성의 성역할인식이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성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4), 477-498.

26.

허순희, 정진경 (1987). 아동의 성역할 태도변화: 교사의 교수태도 및 내용이 미치는영향. 사회심리학연구, 3(2), 263-279.

27.

황은자 (1987). 성교육 담당교사의 성역할 고정관념적 태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Anderson, M. L. (1983). Thinking about women. N.Y.: Macmillan Pub. Co. Inc.

29.

Angrist, S. (1969). The study of sex roles. Journal of Social Issues, 25, 212-235.

30.

Bahr, B. G., Chappell, C. B., & Leigh, G. K. (1983). Age at Marriage, Role Enactment, Role Consensus &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5, 795-803.

31.

Block, J. H. (1973). Conception of sex role: some cross-cultural and longitudinal perspectives. American Psychologist, 28, 512-526.

32.

Brogan, D., & Kutner, N. G (1976). Measuring sex-role orientation: a normative approach.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8(1), 31-39.

33.

Deaus, K., & Major, B. (1977). Sex related patterns in the unit of percept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 297-300.

34.

Secord, P. F., & Backman, C. W. (1964). Social Psychology. New York: McGraw Hill Co., p457.

35.

Slinker, B. K., & Glantz, S. A. (1985). Multiple regression for physciological data analysis: the problem of multicollinearity.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249, R1-R12.

36.

Tong, R. (1998). Feminist thought: a more comprehensive introduction. Boulder, Colo.: Westview Press.

37.

Weizman, L., & Fitzerald, L. (1996). Th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scales to assess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3), 269-284.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