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 of self-examination in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cation type and marital intimacy of middle-aged men and women. For this, analysis on moderating effect was conducted using data of 675 middle-aged men and women. As a result, different aspect was found from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xamination in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cation type and marital intimacy of middle-aged men and women. Specifically, as for middle-aged men, searching for others showed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s between trans-opposite sex type and cognitive intimacy; searching for others showed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s between discursive type and sexual intimacy; and, understanding of others showed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s between blaming type and sexual intimacy. Meantime, as for middle-aged women, searching for others showed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s between blaming type and cognitive intimacy; searching for others showed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s between discursive type and cognitive intimacy; and, self-understanding showed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s between discursive type and sexual intimacy.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to have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cation type, self-examination, and marital intimacy of middle-aged men and women and then, to have looked into an intervention strategy thereof.
고기숙 (2003). 중년기 남성의 심리적 위기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곽배희 (2001). 한국사회의 이혼실태 및 원인에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권정혜, 채규만 (1999).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학술 논문집.
김경희 (1998).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따른 부부관계유형.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경신, 박은주 (1996). 효과적인 부부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전남대학교 가정과학연구, 6, 111-122.
김대광 (2013). 기혼 남녀의 원가족 정서성과공감능력 및 배우자지지가 부부친밀감에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 학회지.
김득성, 김정옥, 송정아 (2000). 부부의사소통유형과 부부폭력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김명자 (1989).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관한 연구: 서울시 남성과 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명희 (2007). 중년기 기혼 남녀의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친밀감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김미라 (2001). 부부친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영기 (2011).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부부 성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17(2). 199-218.
김영애 (2004). 인간관계 및 부부 관계 개선을 위한 사티어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 서울: 김영애가족치료 연구소.
김영애 (2011). 통합적 사티어변형체계치료 이론과 실제. 서울: 김영애가족치료 연구소.
김요한 (2000).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성지식 수준의 성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임영 (2002). 남편과 아내의 가치관이 신혼기부부의 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김현진, 한종철 (2004). 대학생의 우울취약성과자의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2), 227-294.
김희진 (2005). 결혼초기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7 No.4, [2005])
류형택 (2006). 중년 남성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문재 (2008). 부부 친밀감 향상을 위한 가정 사역 방안 연구.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민지 (2005).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원가족 분화수준과 가족규칙 및 부부의사소통.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봉순, 김영희 (2010). 원가족 분화경험이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과 자녀에 대한 태도를 매개로. 대한가정학회지, Vol.48 No.9.
박주분 (2008). 중년기 남성의 자아정체감과 중년위기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혜경 (2010). 중년 남성이 지각한 자기의식과성역할 스트레스가 중년의 위기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송성자 (1985). 한국 부부간 의사소통 유형과 가족문제에 관한 연구. 숭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양진선 (2004). 부부친밀감과 자아존중감 및 원가족 건강성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은희 (2012). 기혼 남녀의 내외통제성과 일치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복지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태균 (2004). 중년 남성 위기 극복을 위한교회 교육적 과제.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2004년 추계학술대회, pp. 63-85.
우명순 (2008). 중년기 기혼 남녀의 부부친밀감에관한 연구-자아정체감, 부부의사소통, 양성평등의식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주희 (1993). 도시부부의 부부간 의사소통이 가정생활에서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가현 (1998). 성 문화와 심리. 서울: 학지사.
윤양희 (2010). 중년여성 자아존중감의 변인과 향상에 대한 연구.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희 (1995). 부부간 친밀감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4).
이경희 (1998).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따른 부부관계유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동숙 (2006). 중년기 부부성장 집단프로그램.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미영 (2009). 자기개방과 공감반응이 친밀감에미치는 영향: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이영희 (2011). 부모의 부부갈등과 원가족분화, 부부친밀감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2(1), 43-58.
이애리 (2013). 중년기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부부친밀감이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수 (2005). 기혼 남녀가 지각하는 부부친밀감의 차이에 관한 연구. 평택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혜진 (2004). 기혼여성의 우울증상과 결혼만족도: 내외통제성, 역기능적 태도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4(3), 577-590.
임재연 (2014). 중년기 성인의 부부친밀감과노화불안과의 관계에서 자녀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6(4), 1131-1149.
장동규 (2009). 중년기 위기와 융의 개성화 과정. 협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장선웅 (2008). 원가족 경험이 부부친밀감과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경숙 (2010). 한국 중년의 안녕감. 중앙대학교박사학위논문.
전길량 (1988). 자기개방과 부부적응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문자 (2003). 사티어 경험적 가족치료. 서울:학지사.
정성훈 (2013). 중년 남성의 심리적 위기감과 자기성찰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영혜 (2013). 자기성찰, 자기효능감, 학업성적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은미, 김명자 (1996).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부의 감정적 자기노출유형과 결혼만족도. 한국가정학회지, 14(1), 47-64.
정순례 (2014). 기독교 중년부부의 의사소통유형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성적친밀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성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현숙, 유계숙 (2001). 가족관계. 서울: 신정.
정혜숙 (2012). 부부의 애착과 부부친밀감 및갈등대처행동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황주연 (2011). 자기성찰 척도개발 및 자기관과자기성찰, 안녕감간의 경로모형 검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통계청 (2015). 2014 이혼 통계 결과.
Morton, T. L., & Douglas, M. A. (1981). Growth of relationships. In: S. Duck & R. Gilmour(Eds.). Personal Relationships, pp3-26, NY: Academic Press.
Murstein, B. I (1980). Maate selection in the 1970'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2, 777-792.
Noller, P., & M. A. Fitzpathrick (1990). Marital communication in the eighties, Joum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4) 832-843.
Hatfield, E. (1984). The danger of intimacy. In V. J. Derlega(Ed.). Communication, intimacy, and close relationship. pp. 207-221. New York:Academic Press.
Hixon J. G., & Swann, W. B (1993). When does introspection bear fruit self-reflection, self-insighr and interpersonal choices. Ja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 35-43.
Galvin, K. M., & Brommel, B. J. (1982). Family Communication, Cohension and Change. Illinois:Scott, Foreman and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