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메뉴

The Effect of Mother’s Depressive Symptoms and Parenting Efficacy on Preschoolers’ Affective Empathy: Multi-Group Analysis by Mother’s Employment Statu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mediation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affective empathy of preschoolers and to analysis the differences of structural relationship by mother’s employment status. It was confirmed as a final model. 432 mothers of preschoolers were participated to examine of this relationshi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depressive symptoms were found to be complete mediated by the parenting efficacy in the preschoolers affective empathy. Second, as a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mother's employment status, the partial moderating effect was proved that the depressive symptoms had a influence on the parenting efficacy in non-working m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may have an indirect effect on the affective empathy of preschoolers and positively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preschoolers through mediation of parenting efficacy. In addition, the effect of non-working mothers' depressive symptoms on parenting efficacy is greater, suggesting that active housekeeping intervention should be sought.

keywords
어머니의 우울증상, 양육효능감, 유아의 정서적 공감, 다중집단분석,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parenting efficacy, preschooler’s affective empathy, multi-group analysis

Reference

1.

고희갑, 심숙영, 임선아 (2015). 유아용 공감척도 (EQ-YC) 타당화 예비연구. 아동교육, 24(1), 59-80.

2.

권기남 (2017). 유아의 정서적·인지적 공감 및 또래 유능성이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8(1), 217-231.

3.

김경은 (2011). 어머니의 우울, 양육효능감,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정서능력 간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8(4), 1-17.

4.

김말경, 박혜원 (2008). 모의 양육행동 및 양육스트레스와 K-BSID-2 수행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9(1), 243-255.

5.

김미숙, 문혁준 (2005).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과 양육 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3(8), 25-35.

6.

김미연 (2012).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감과 어머니 효능감과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영미, 김정미 (2017).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영아발달 간의 관계 연구: 상호작용행동과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유아교육연구, 37(2), 169-187.

8.

김춘경, 조민규 (2017).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종단적 관계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06, 33-56.

9.

김현옥 (201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육아지원서비스의 조절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89, 171-195.

10.

김혜원 (1997).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심리적안녕감, 사회구조적 변인, 성역할 태도, 역할의 질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11(2), 111-127.

11.

문현영, 한유진 (2016).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증진을 위한 성인놀이치료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놀이치료 연구, 20(1), 47-67.

12.

박 민 (2012).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 정신병리와 심리재활에의 함의. 재활심리연구, 19(3), 387-405.

13.

박정희, 유영주 (2000). 도시가족의 건강성 및주부의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전업주부와 취업주부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2), 155-174.

14.

박희진, 문혁준 (2013). 영아를 둔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애착, 우울, 사회적 지지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20, 81-98.

15.

백종화, 박성연 (2002). 어머니의 인터넷 이용 실태 및 인터넷 이용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2), 135-145.

16.

백지희 (2011). 유아기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 경험을 위한 목표, 피드백, 동기: 양육플로우경험의 매개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17.

성준모 (2010). 소득수준별 가구 경제요인이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고찰. 한국사회복지학, 62(1), 109-132.

18.

손금분 (2011).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이 모자간의 애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송미경, 이은경, 신효정 (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10(3), 1627-1643.

20.

신희석 (2002). 생의 의미가 중년 주부의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7(1), 29-45.

21.

안지영 (2000).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오미숙, 유연옥 (2014). 어머니의 모 애착, 유아 애착과 유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의 관계. 과학논집, 40, 93-107.

23.

이경하, 서소정 (2012). 영아의 기질, 어머니의양육지식과 영아발달 간의 관계 연구: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3), 53-77.

24.

이수영, 조옥귀 (2000). 공동연구: 취업주부와전업주부의 성역할 정체감과 우울수준의비교. 인문논총, 13(단일호), 45-65.

25.

이연희 (2017). 정서 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정서전염과 공감에 미치는 미시체계 구조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이인경, 이완정 (2014). 어머니의 취업유무와 우울감이 영아를 위한 양육행동에 미치는영향. 아동과 권리, 18(4), 669-687.

27.

이정혜 (2004). 아동의 공격성 유발요인에 대한 대상관계이론적 관점. 상담학연구, 5(4), 1155-1168.

28.

이재경 (2006). 저출산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평.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젠더리뷰 여름호.

29.

이주연 (2010). 영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관한 연구. 한국부모놀이치료학회지, 1, 43-61.

30.

이지연, 곽금주 (2010). 5 세 아동의 정서조절과 공감의 예언변인들: 종단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1), 85-102.

31.

정지연 (2008).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자기 지각 및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정혜인 (2003).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조금숙, 조증열 (2004).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심리적 안녕감: 성역할태도, 스트레스 및 결혼만족도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여성, 9(1), 27-41

34.

조맹제, 김계희 (1993). 주요우울증환자 예비평가에서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의 진단적 타당성연구. 신경정신의학, 32(3), 381-399.

35.

조혜진 (2004).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가족특성, 보육경험 및 기질 변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천우영 (2016). 교사용 유아 공감능력 검사도구의 개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한선혜, 박승호 (2015). 자폐성 장애아동을 둔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자폐성장애연구, 15(1), 87-120.

38.

한민숙 (2001). 한국 보육서비스에 대한 기혼여성의 인식과 경제활동 활성화에 관한 연구:보육시설과 보육료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9.

현명호, 박지선 (2003). 어머니의 우울과 아동우울간의 관계. 사회과학연구, 16, 75-88.

40.

Ardelt, M., & Eccles, J. S. (2001). Effects of mothers' parental efficacy beliefs and promotive parenting strategies on inner-city youth. Journal of Family Issues, 22(8), 944-972.

41.

Auyeung, B., Wheelwright, S., Allison, C., Atkinson, M., Samarawickrema, N., & Baron-Cohen, S. (2009). The children’s empathy quotient and systemizing quotient:Sex differences in typical development and in autism spectrum condition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9(11), 1509-1521.

42.

Berk, L. (2009). 생애발달[Development through the lifespan]. (이현진, 김혜리, 이옥경, 박영신, 정윤경, 김민희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전은 2006년 에 출판)

43.

Cornish, A. M., McMahon, C. A., Ungerer, J. A., Barnett, B., Kowalenko, N., & Tennant, C. (2005). Postnatal depression and infant cognitive and motor development in the second postnatal year: The impact of depression chronicity and infant gender.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8(4), 407-417.

44.

Cummings, E. M., Davies, P. T., & Campbell, S. B. (2001). Understanding the impact of marital conflict on children. Brown University Child and Adolescent Behavior Letter, 17(5), 1-4.

45.

Davion, G. C., Johnson, S. L., Kring, A. N., & Neale, J. M. (2010). 이상심리학 (이봉건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전은 2010년에출판).

46.

Decety, J., Norman, G. J., Berntson, G. G., & Cacioppo, J. T. (2012). A neurobehavioral evolutionary perspective on the mechanisms underlying empathy. Progress in Neurobiology, 98(1), 38-48.

47.

Dodge, K. A. (1990).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in children of depressed mothers. Developmental Psychology, 26(1), 3-6.

48.

Greenhaus, J. H., & Powell, G. N. (2006).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1(1), 72-92.

49.

Goodman, S. H., & Tully, E. (2006). Depression in women who are mothers. Women and depression: A handbook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241-280.

50.

Holditch-Davis, D., White-Traut, R. C., Levy, J. A., O'Shea, T. M., Geraldo, V., & David, R. J. (2014). Maternally administered interventions for preterm infants in the NICU:Effects on maternal psychological distress and mother-infant relationship.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37(4), 695-710.

51.

Johnston, C., & Mash, E. J. (1989).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2), 167-175.

52.

Jolliffe, D., & Farrington, D. P. (200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Basic Empathy Scale. Journal of Adolescence, 29(4), 589-611.

53.

Keyes, C. L., & Goodman, S. H. (2006). Depression in women who are mothers. In Goodman, S. H., & Tully, E., Women and depression: A handbook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Eds., pp. 241-280).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4.

Kline, R. B. (2010).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Y:Guilford Press.

55.

Leung, D. W., & Slep, A. M. S. (2006). Predicting inept discipline: The role of parental depressive symptoms, anger, and attribu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4(3), 524-534.

56.

Lovett, B. J., & Sheffield, R. A. (2007). Affective empathy deficits in aggressive children and adolescents: A critical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7(1), 1-13.

57.

Meunier, J. C., & Roskam, I. (2009). Self-efficacy beliefs amongst parents of young children: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8(5), 495-511.

58.

Miller, N. B., Cowan, P. A., Cowan, C. P., Hetherington, E. M., & Clingempeel, W. G.(1993). Externalizing in preschoolers and early adolescents: A cross-study replication of a family model. Developmental Psychology, 29(1), 3-18.

59.

Misri, S., Kendrick, K., Oberlander, T. F., Norris, S., Tomfohr, L., Zhang, H., & Grunau, R. E.(2010). Antenatal depression and anxiety affect postpartum parenting stress: a longitudinal, prospective study. The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55(4), 222-228.

60.

O’Neil, J., Wilson, M. N., Shaw, D. S., & Dishion, T. J.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fficacy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diverse sample of low income mother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8(6), 643.

61.

Radloff, L. S. (199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62.

Shechtman, Z. (2002).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in aggressive boy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Advancement of Counselling, 24(4), 211-222.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