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소년원의 성별에 따른 재입원 요인 연구 : 성격, 관계, 소년원 내 징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ender differences among re-detained juvenile focusing on personality traits, relationships, institutional misconduct in a juvenile detention center

초록

본 연구는 소년원생이 재입원에 미치는 경로를 이해하고, 재입원 예방을 위한 개입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성별에 따라 대인관계, 성격, 소년원 내 징계가 재입원에 미치는 영향을 경로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소년원에서 생활하고 있는 140명(남자 청소년 : 70명, 여자 청소년 : 70명)을 대상으로 PAI-A, 사회적 배제(또래관계 배제 경험), 아동기 피학대 경험, 범죄 및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최초입원과 재입원 소년원생은 성별에 따라 성격특성이 구분되었다. 남자 소년원생의 경우 외현화(초조성과 자기중심성)요인으로 구분되었고. 여자 소년원생의 경우 내현화와 외현화가 혼합된 유형으로(활동수준, 정신병적 경험, 부정적 관계) 재입원을 예측하는 성격특성이 구분되었다. 둘째, 대인관계가 성별에 따른 성격특성과 소년원 내 징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남자 소년원생의 대인관계는 성격특성과 소년원 내 징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여자 소년원생의 경우 대인관계가 성격특성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 여 소년원생의 모형적합도는 준수하였고, 성격특성과 소년원 내 징계가 소년원 재입원에 유의한 경로로 확인 되었다. 그러나 관계적 요인은 여자 소년원생만 유의한 경로를 나타냈다. 특히 또래관계 배제 경험은 성격특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소년원 재입원에 간접 영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소년원 재입원에 있어 성별에 따라 상이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성격특성과 소년원 내 징계는 재입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각 성별에 따라 소년원 내 필요한 처우 제공의 시사점과 회복적 정의를 통한 소년원생의 긍정적 사회복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keywords
소년원, 소년범, 성별, 2요인, 징계, 재범, 재입원

Abstract

Aiming at understanding the paths that lead juveniles re-detained and exploring intervention plans for preventing the re-detained, this study verifies the gender-specific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ersonality, and institutional misconduct in a juvenile detention center on re-detain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To conduct the study, information of PAI-A, ostracism experiences, childhood abuse experiences, crimes and demographic statistics of 140 people(male adolescents: 70, female adolescents: 70) living in juveniles Academic was collected. To summarize the main findings, first, personality traits were classified by gender for juveniles in their first detainment and re-detained. In the case of male juveniles, the personality traits that predict re-detained were classified as externalizing(irritability and egocentricity) factors while the female juveniles' cases were classified as a mixture of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ing(activity level, psychotic experiences, negative relationships).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personality traits and institutional misconduct in a juvenile detention center by gend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male juveniles did not affect personality traits and institutional misconduct in a juvenile detention center, however, in case of female juvenil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sonality traits.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path analysis, the model suitability of male and female juveniles in detention centers was satisfactory, and it was confirmed that personality traits and institutional misconduct in a juvenile detention center were a significant pathway for re-detained to juvenile centers. However, as for the relational factor, only female juveniles showed a significant path. In particular, ostracism experienc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sonality traits and indirect effect on re-detained to juvenile centers.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enders in the case of re-detained to juvenile centers. And in particular, it showed that personality traits and institutional misconduct in a juvenile detention center are closely related factors to re-detained.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emphasize the implications of providing necessary gender-specific treatment in juvenile centers and the importances of positive rehabilitation to the society for juveniles through restorative definition.

keywords
juvenile center, juvenile offenders, gender, two factor model, institutional misconduct, second offender, re-detain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