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소수자 정체성을 가진 직장 여성의 맥락적 제약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 잠재프로파일 분석

The Role of Contextual Constraints on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Working Women with Minority Identity: Latent Profile Analysis

초록

본 연구는 일-가정을 병행하며 소수자 정체성을 가진 직장 여성의 맥락적 제약들의 양상에 따른 유형을 살펴보고, 이들 유형이 가지는 특성과 이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직장 여성 중 초등학생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으며 여성 이외의 소수자 정체성을 보고한 51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경제적 지위, 경제적 제약, 직장내 성차별, COVID-19로 인한 부정적 영향, 소외화 경험을 맥락적 제약으로 하여 이들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여 5개의 프로파일 유형을 확인하고 ‘낮은 수준의 제약 집단’, ‘경제적 제약 중심 집단’, ‘소외화 제약 중심 집단’, ‘중간 수준의 제약 집단’, ‘높은 수준의 제약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여성과학기술인 정체성을 보고한 여성들은 낮은 수준의 제약 집단과 소외화제약 중심 집단에 더 분포하였으며, 한부모 정체성을 보고한 여성들은 높은 수준의 제약 집단에, 외국인/이주민 정체성을 보고한 여성은 중간 수준의 제약 집단에 더 많이 분포하였다. 또한 정규직 보다 비정규직 혹은 자영업에 종사하는 여성들이 높은 수준의 제약 집단에 속하는 비율이 높았다.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에 있어서는 높은 수준의 제약 집단이 가장 큰 적응적 어려움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소수자 정체성을 가진 직장 여성들의 맥락적 제약의 상호교차성을 확인하였다는 함의가 있다.

keywords
직장 여성, 일-가정 병행, 맥락적 제약, 진로발달, 심리사회적 적응, 잠재프로파일 분석, Working women, work-family balance, contextual barriers, career development, psychosocial adjustment, latent profile analysis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different types of contextual constraints faced by working women with a minority identity and work-family responsibilities, and explored the differences in their characteristics and resulting psychosocial adjustment. An online survey was completed by 512 working women who cared for a at least one young chid and identified with a minority identity other than woman. A latent profile analysis on socioeconomic status, economic constraints, workplace sexism, negative effects of COVID-19, and marginalized experiences as contextual constraints resulted in five profile types: low-level constraint, economic-constraint focused, marginalization-constraint focused, moderate-level constraint, and high-level constraint groups. Those who identified as women in science and technology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low-level and marginalization-constraint focused groups, women who identified as single parents in the high-level constraint group, and women who identified as foreigners/migrants in the moderate-level constraint group. In addition, women employed in temporary or self-employed positions than in full-time jobs were more represented in the high-level constraint group. In terms of psychosocial adjustment, the high-level constraint group reported the greatest adjustment difficulties. The findings supported the intersectionality of contextual constraints among working women with minority identities.

keywords
직장 여성, 일-가정 병행, 맥락적 제약, 진로발달, 심리사회적 적응, 잠재프로파일 분석, Working women, work-family balance, contextual barriers, career development, psychosocial adjustment, latent profile analysi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