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전통시장 관련법 개정 방안에 대한 고찰 : 성남 모란시장을 중심으로

Consideration of the Traditional Market-Related Law Revision Plan: Focus on Moranjang in Seongnam

Th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JDS) / Th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P)1738-3110; (E)2093-7717
2011, v.9 no.2, pp.37-47
https://doi.org/https://doi.org/10.15722/jds.9.2.201106.37
임진 (Conventional Market in Seongnam)
김영기 (Research Team for Commercial Districts Development, Agency for Traditional Market Administration)
이민권 (Business Headquarters, Agency for Traditional Market Administration)
김유오 (Commercial Districts Activation Headquarters, Agency for Traditional Market Administration)
윤명길 (College of Health Industry, Eulji University)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우리나라의 유통산업분야에는 아직도 법적·제도적 보완시책이 부족하며, 특히 전통시장을 비롯한 중소 영세상인들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육성·지원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전통시장을 지원하기 위해 2004년도에 제정된 전통시장 특별법의 지원대상과 범위는 종전에는 단위시장으로 국한하였으나, 이후 시장 및 상점가, 시장활성화구역, 더 나아가 상권활성화구역을 지정하여 지원할 수 있도록 확대시켜왔다. 그러나 전통시장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기준이 되는 특별법이 전통시장의 개념을 다소 획일적으로 규정함으로 인해 무등록시장에 대한 법률적 개념의 미비함과 같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 무등록시장이란 특별법에서 정한 계량화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함에 따라 실제 시장기능 수행여부와 무관하게 법률적인 전통시장에 포함되지 않는 시장을 일컫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특별법 규정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찾고자 논의를 전개한다. 사례는 모란민속5일장을 중심으로 한다. 본 연구는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즉, 경험적인 측면에서 현실에 직접적으로 접목할 수 있는 논의를 하고자 한다. 따라서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논의 중에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무등록시장을 중심으로 논의하는 한편, 연구방법론 측면에서 볼 때 규범적 연구방법론을 견지한다. 유통학 분야에 있어 기존의 연구가 대개는 경험적 분석기법을 많이 활용하지만, 본 연구의 특성상 법적 제도적인 관점으로 접근할 때 가장 효율적인 논의가 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바로 접목이 가능한 규범적 연구방법론을 택하여 본 연구를 전개하고자 한다.

keywords
전통시장, 무등록시장, 모란시장,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유통산업발전법

Abstract

Our distribution industry still lacks legal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ry frameworks. Therefore, we urgently need systematic supporting schemes for targeting small merchants, including those in traditional markets. In 2004, the scope of and target for traditional markets took shape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for Nurturing the Traditional Markets'. Though restricted to a single market, it expanded the target and scope to include markets and stores, market improvement districts, and business improvement districts. However, the Special Act for Nurturing the Traditional Markets, the criter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and support for the traditional market, applies a uniform standard. Accordingly, the Special Act for Nurturing the Traditional Markets has revealed problems, such as the deficit of legitimate ideas about unregistered markets.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blems with the Special Act for Nurturing the Traditional Markets. We take the Moranjang case as an example. This study offers the problems new insight. We discuss the problems in terms of their empirical reality. We focus on unregistered markets, which are not protected by law. Most previous studies have applied empirical methods, but this study also provides legal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s on the prospect for efficient outcomes by applying the normative study methods applicable in the field.

keywords
전통시장, 무등록시장, 모란시장,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유통산업발전법

참고문헌

1.

강명주, 임채길(2007), “부산지역 재래시장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유통경영학회지, 제10권 제3호, 73-109.

2.

권오철, 김진성, 김판준, 김판진, 김홍섭, 남궁석, 박영근, 박철주, 박 형진, 윤명길, 이장환, 황화철, 김유오(2007), “소매업태 용어 통일화에 대한 소고” 유통과학연구, 제5권 제2호, 5-16.

3.

김상철(2004), “재래시장의 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유통과 학연구, 제2권 제2호, 17-32.

4.

김영기(2010), “전통시장 및 인접구역의 생계형 노점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유통연구, 제15권 제5호, 155-172.

5.

김웅진, 배일현(2008), “재래시장 소비자의 지각된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 고객충성도,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통경 영학회지, 제11권 제1호, 151-174.

6.

김유오, 이민권, 윤명길(2005), “선진국 중소소매업 정책에 관한 연 구(Ⅰ)” 유통과학연구, 제4권 제1호, 77-100.

7.

김유오, 지해명, 윤명길(2009),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상품권 유 통방안에 관한 소고: 전통시장 상품권 중심으로” 유통과 학연구, 제7권 제4호, 37-46.

8.

김판진, 김경조, 남궁석, 윤명길(2009), “재래시장 시설현대화에 따 른 소비자 인식도에 관한 연구” 유통과학연구, 제7권 제1 호, 55-70.

9.

박주영(2009), “재래시장의 상품구성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한 분석과 재래시장 정책에 대한 시사점” 중소기업연구, 제31권 제2호, 137-155.

10.

서근하, 윤성욱, 서창수(2009), “한국 재래시장 상인의 창업가정신 과 상품화 전략이 시장 이미지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과 재래시장 정책에 대한 시사점” 유통과학연구, 제7권 제3호, 71-100.

11.

오동욱, 오완근(2007), “재래시장의 서비스 품질과 소비자 만족과 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29권 제1호, 117-134.

12.

윤명길(2011), “전통시장 육성 법적·제도적 보완 필요” 세계일보, 3월 13일자.

13.

윤명길, 김유오(2010), 유통학원론, 서울: 도서출판 두남.

14.

이재하(2007), “재래시장 활성화 정책의 평가와 대안 모색 : 경상 북도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0권 제3호, 304-318.

15.

이종인, 노성훈, 신해식, 정윤필(2009), “춘천 재래시장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재래시장과 대형마트 이용고객의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식품유통연구, 제26권 제3호, 51-74.

16.

임용택, 전석모(2010), “전통시장의 유형별 특성화 활성화 방안” 지역발전연구, 제10권 제1호, 165-189.

17.

정용우, 김판진(2010), “국내 중소기업의 정부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유통과학연구, 제8권 제2호, 33-43.

18.

진현정, 정아영(2009), “재래시장의 흥정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식품유통연구, 제26권 제4호, 101-122.

19.

최승재, 최영만(2009),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 여성교양학회지, 제18권, 131-151.

20.

Youn, Myoung-kil, Kim, Yoo-oh, Lee, Min-kweon & NamKung, sok (2006), “Domestic Restrictions on the Opening of Retail Stores”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4(1), 121-160.

Th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J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