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718
Grit, enthusiasm and perseverance for achieving important life goal, predict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outcomes. Although prior work on grit has indicated that grit leads to adaptive outcomes, we know relatively little about the longitudinal effects of grit. To address this gap in the literature, we examined whether changes in grit predicted changes in anxiety and school adjustment levels during adolescence. We assessed high school students’ (N=377) leavels of grit, anxiety, and school adjustment twice(six months apart). The results confirmed that an increase in grit predicted a rank-order decrease in anxiety, which in turn predicted a rank-order increase in school adjust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mproving grit may enhance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aptation abilities.
곽재은 (2012).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성취압력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사회부과적완벽주의와 학업스트레스의 매개영향.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교육부 (2014). 2014년 교육부 업무보고. 보도자료 (’14. 02. 13.). 세종: 교육부
교육부 (2018). 2018년 교육기본통계. 세종: 교육부.
권대훈 (2018). 성장 마인드셋, 미래시간조망, 그릿과 지연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9(3), 725-744.
김교헌 (2004). 한국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0, 55-68.
김효선, 이동귀, 배병훈 (2012).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영향: 적응적 방어기제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3(6), 2641-2656.
노영석 (2016). 일반계 고등학생의 그릿(grit)과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공주, 함은혜 (2016). 고등학생의 투지, 흥미, 과제집착력, 자기조절능력 및 과학학업성취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3), 445-455.
문재우 (2011). 중ㆍ고등학교 운동선수가 인지하는 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12(2), 43-67.
박미영 (2015). 고등학생의 학교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민하 (2017).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자아정체성과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영희 (2005). 아동의 사회불안 및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은민 (2010). 청소년의 교사애착, 또래애착, 모애착과 자존감 및 우울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3(3), 75-88.
박응임, 김상희, 김지신, 백종화, 이주연, 박민선 (2017). 정신건강론. 고양: 파워북.
백주현 (2017).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신체화증상과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우경 (2018). 성장 마인드셋, 회복탄력성과 일반계 남자 고등학생의 학교적응 간의 관계:그릿의 매개효과.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여울, 구민주, 박다은 (2018). 보육교사의 그릿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9(2), 15-26.
신용선 (2014).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대처전략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심재준 (2017). 학생이 인지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학교특성의 조절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지은, 추상엽, 임성문 (2011).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평가장면의 회피전략 간 관계:중학생과 고등학생의 비교. 청소년학연구, 18(3), 179-213.
우유라, 노충래 (2014).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및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6(2), 203-227.
이슬비, 배은희, 손영우, 이수란 (2016). 부정적피드백의 완충제, 투지(Grit): 부정적 피드백에 대한 정서 반응에 투지가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0(3), 25-45.
이승주, 박주영 (2018).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6(2), 269-276.
이수란, 손영우 (2013). 무엇이 뛰어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0(3), 349-366.
이수란 (2015). 투지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 자존감의 수반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옥주 (2002). 불안 및 동기에 따른 정보처리학습기술의 피드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유미, 정주리 (2015).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과의 관계. 교육연구, 38, 57-75.
이정림, 권대훈 (2016). 통제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청소년학연구, 23(11), 245-264.
이지언, 정익중, 백종림 (2014). 학교적응의 예측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아동학회지, 35(2), 1-23.
이지혜 (2017). 성취목표지향성, 시험불안, 학업적 지연행동, 스트레스 대처방식, 메타인지전략 간의 관계.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이해경, 김수연, 김혜원 (2013). 남녀 특성화고등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우울/불안이학교생활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5(4), 129-156.
임효진 (2018). 그릿, 내-외재가치, 수업참여, 인지조절과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27(3), 235-256.
Sheri N. Slick, Chang Seek Lee. (2014). Korea유학생의 grit 수준과 잠재적 중도탈락 및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12(8), 61-66.
장나리, 곽금주, 김연수 (2018). 아동기 통제기질이 청소년기 학업적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9), 329-335.
정명숙 (2015). 영적 안녕과 자아존중감이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4), 55-70.
정지영, 서연숙, 최정훈, 김성희, 이민숙, 홍성화, ... 박다은 (2019). 대학병원 간호사의그릿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몰입의 매개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9(2), 181-190.
정현, 장성배, 탁진국 (2018). 그릿(Grit)과 직무개선(Job Crafting)의 관계에서 긍정정서의매개효과. 인적자원개발연구, 21(1), 31-51.
정희선, 조민아 (2014). 부모-자녀 의사소통과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정서조절전략의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1(12), 153-182.
진종임, 김남초 (2017). 간호대학생의 투지(Grit), 학업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3(2), 175-183.
최미경 (2013).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및 불안과 학교적응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4(4), 65-81.
최미경 (2016).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남고생의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투지(grit)의 매개효과. 청소년학 연구, 23(3), 75-102.
최지은, 신용주 (200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가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2), 199-210.
하민정 (2015). 상담실 내담 학생들의 학교부적응 변화과정에 대한 질적연구: 근거이론 접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한국 청소년 지표 조사 V-2010 한국 청소년 건강․안전(보호) 지표 활용 분석 보고서.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홍명숙, 이수영 (2017). 청소년의 또래관계와교사와의 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경영연구, 4(1), 183-211.
황매향, 하혜숙, 김명섭 (2017). 초등학생의 그릿(Grit)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 초등상담연구, 16(3), 301-319.
Baig, W. A., Al-Zahrani, E. M., Al-Jubran, K. M., Chaudhry, T., & Qadri, A. A. (2018). Evaluation of test anxiety levels among preparatory year students of PSMCHS during computer-based versus paper-and-pen examin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Research and Health Sciences, 7(1), 48-52.
Beck, A. T., Emery, G., & Greenberg, R. L. (1985). Anxiety disorders and phobias: A cognitive perspective. New York, NY: Basic Books.
Beck, A. T., Epstein, N., Brown, G., & Steer, R. A. (1988). An inventory for measuring clinical anxiety: Psychometric properti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6), 893-897.
Blackwell, L. S., Trzesniewski, K. H., & Dweck, C. S. (2007).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predict achievement across an adolescent transition: A longitudinal study and an intervention. Child Development, 78(1), 246-263.
Çelik, I., & Sarıçam, H. (2016). Grit and test anxiety in Turkish children and adolescents. ERPA International Congresses on Education, 2-4.
Credé, M., Tynan, M. C., & Harms, P. D. (2017). Much ado about grit: A meta-analytic synthesis of the grit litera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13(3), 492-511.
Duckworth, A. (2016). Grit: The power of passion and perseverance. New York, NY: Simon &Schuster.
Duckworth, A. L., Peterson, C., Matthews, M. D., & Kelly, D. R.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1101.
Duckworth, A. L., & Quinn, P. D.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 (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1(2), 166-174.
Duckworth, A. L., Quinn, P. D., & Seligman, M. E. (2009). Positive predictors of teacher effectivenes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4(6), 540-547.
Egger, H. L., Costello, J. E., & Angold, A. (2003). School refusal and psychiatric disorders: A community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42(7), 797-807.
Elliott, J., & Place, M. (2012). Children in difficulty: A guide to understanding and helping. London: Routledge.
Eskreis-Winkler, L., Duckworth, A. L., Shulman, E. P., & Beal, S. (2014). The grit effect:Predicting retention in the military, the workplace, school and marriage. Frontiers in Psychology, 5, Article 36.
Finning, K., Ukoumunne, O. C., Ford, T., Danielson‐Waters, E., Shaw, L., Romero De Jager, I., ..., & Moore, D. A. (2019). The association between anxiety and poor attendance at school–A systematic review.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24(3), 205-216.
Fleeson, W. (2007). Studying personality processes:Explaining change in between-persons longitudinal and within-person multilevel models. In R. W. Robins, R. C. Fraley, & R. F. Krueger (Eds.).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in personality psychology (pp.523–542). New York, NY:Guilford.
Halat, S., & Özbay, M. (2018). The examination of listening anxiety level of the students who learn Turkish as a foreign language. Univers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6(1), 1-10.
Jiang, W., Xiao, Z., Liu, Y., Guo, K., Jiang, J., & Du, X. (2019).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A longitudinal study.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71, 13-22.
Kessler R. C., & Greenberg D. F. (1981). Linear panel analysis: Models of quantitative change. NY:Academic Press.
Kline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2nd ed.). NY: Guilford.
Kwon SM. (1992). Differential roles of dysfunctional attitude and automatic thoughts in depression:An integrated cognitive model of depression (Doctorial Dissertation). Queensland University, Queensland.
O’Keefe, P. A., Dweck, C. S., & Walton, G. M. (2018). Implicit theories of interest: Finding your passion or developing it?. Psychological Science, 29(10), 1653-1664.
Oriol, X., Miranda, R., Oyanedel, J. C., & Torres, J. (2017). The role of self-control and grit in domains of school success in students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Frontiers in Psychology, 8, Article 1716.
Park, D., Tsukayama, E., Goodwin, G. P., Patrick, S., & Duckworth, A. L. (2017). A tripartite taxonomy of character: Evidence for 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intellectual competencies in childre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48, 16-27.
Park, D., Yu, A., Baelen, R. N., Tsukayama, E., & Duckworth, A. L. (2018). Fostering grit:Perceived school goal-structure predicts growth in grit and grade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55, 120-128.
Petersen, A. C., Compas, B. E., & Brooks-Gunn, J. (1992). Depression in adolescence: Current knowledg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programs and policy. Washington, DC: Carnegie Council on Adolescent Development.
Robertson-Kraft, C., & Duckworth, A. L. (2014). True grit: Trait-level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predicts effectiveness and retention among novice teachers. Teachers College Record, 116(3),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