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Mental Well-Being Among Young Adults: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alling and Job-Seeking Stress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grit on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well-being indicators that form “mental well-being”) and examined whether career calling and job-seeking stress mediate these relationships. The participants were 339 currently unemployed young adults(mean age=22.6, SD=2.7). Grit directly predicted young adults’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In addition, career calling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grit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except that of grit and emotional well-being. Job-seeking stress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grit and the three types of well-being. These results showed that not only does young adults’ grit promote various states of well-being by strengthening career calling but also by alleviating job-seeking stress. We further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grit for young adults who face various uncertainties and instabilities and its role in career development and the maintenance of well-being.

keywords

Reference

1.

강명희, 윤성혜, 김도희, 류다현 (2016).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미치는 그릿,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전공흥미 간의 관계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5(4), 109-129.

2.

강문선, 양수진 (2019). 대학생의 부모애착과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조화․강박열정과 그릿(Grit)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2(2), 79-101.

3.

고영남 (2014). 남녀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부모애착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한국교육학연구(구 안암교육학연구), 20(3), 97-120.

4.

고영희, 박윤희 (2018). 대학 고학년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6(1), 73-83.

5.

교육부 (2017). 2017년 대학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 발표 . 세종: 교육부.

6.

권대훈 (2018). 고등학교 교사의 긍정정서 및부정정서, 그릿(grit), 스트레스, 삶의 만족간의 관계. 교원교육, 34(3), 209-228.

7.

권대훈 (2018). 성장 마인드셋, 미래시간조망, 그릿과 지연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9(3), 725-744.

8.

김미영 (2017).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4(6), 29-51.

9.

김석일, 양성지 (2018). 체육전공 대학생들의진로결정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및 진로준비행동.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1, 295-307.

10.

김성경 (2003).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0(2), 215-237.

11.

김수영 (2016).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서울: 학지사.

12.

김영빈, 함은혜, 김태선 (2018). 성인여성학습자의 진로장벽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8), 803-822.

13.

김유민 (2018).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그릿(Grit)과 기본심리욕구 만족도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정은, 이수란, 양수진 (2018). 한국형 그릿(Grit) 특성에 대한 고찰: 높은 그릿집단의다차원적 유형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4(2), 131-151.

15.

김정호 (2000).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용하는동기 및 인지. 학교생활연구소, 16, 1-26.

16.

김종운, 지연옥 (2016).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2), 1313-1334.

17.

김주엽 (2004).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연세경영연구, 41(1), 171-186.

18.

노경미 (2018). 사회적 기업 종사원의 소명의식과 직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중심으로. 경영컨설팅연구, 18(2), 27-36.

19.

류영주, 양수진 (2017). 내재적․친사회적 동기와 삶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Grit)과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발달, 30(4), 93-115.

20.

류현숙, 김지영 (2019). 간호대학생이 지각한부모의 양육태도와 그릿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2), 261-269.

21.

박미경, 김은하 (2016). 대학생의 진로소명이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몰입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7(1), 207-225.

22.

박수현, 이형룡 (2018). 호텔 직원의 직업소명의식과 심리적 주인의식, 직무열의 및 직무성과의 구조적 영향관계. 호텔경영학연구, 27(4), 103-122.

23.

박인주 (2018).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미래지향목표의매개효과. 관광경영연구, 83, 435-445.

24.

박진홍, 서현아, 김수진 (2018).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여가만족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7(3), 105-126.

25.

백은주, 조규판 (2017).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대처전략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449-469.

26.

서희연, 안희준, 이혜주 (2018). 소명의식과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자료집, 8, 430-430.

27.

신명용 (2018). 뇌교육 기반 인성프로그램이그릿에 미치는 영향-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뇌교육연구, 21, 7-37.

28.

신여울, 구민주, 박다은 (2018). 보육교사의 그릿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9(2), 15-26.

29.

신지민, 이은경, 양난미 (2015). 대학생의 진로소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54(1), 169-194.

30.

심예린, 유성경 (2012). 한국판 소명 척도(CVQ-K)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24(4), 847-872.

31.

심지은, 안하연, 김지혜 (2011).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인간이해, 32(1), 103-118.

32.

윤명숙, 이효선 (2012). 대학생의 우울, 취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문제음주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9(3), 109-137.

33.

윤성혜, 유지원, 유영란 (2017).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동기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직업교육학회, 36(3), 47-66.

34.

윤영란 (2007). 대학생의 진로의식에 관한 분석 연구. 교육문화연구, 13(1), 123-168.

35.

이가영, 최태월, 이용선 (2015).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기업경영리뷰, 6(2), 197-209.

36.

이미선 (2017).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GRI 연구논총, 19(3), 159-182.

37.

이미희, 김광수, 김태선 (2017). 초등교사의 소명의식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초등교육, 28(4), 215-229.

38.

이선영 (2018). 직장인의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열정적 끈기(그릿)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이수란, 손영우 (2013). 무엇이 뛰어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0(3), 349-366.

40.

이정림, 권대훈 (2016). 통제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청소년학연구, 23(11), 245-264.

41.

이정은, 유지영 (2018). 정신적 웰빙이 노인의자살위험에 미치는 영향-K-MHC-SF의 하위요인을 중심으로. 지역사회학, 19(1), 195-219.

42.

이형순, 이재창 (2018). 취업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4), 553-562.

43.

이혜원, 탁정화, 이미란 (2017).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군집유형에 따른 성격 5요인과자기효능감의 차이. 유아교육연구, 37(3), 249-268.

44.

임세헌 (2013). 학생들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삶의 만족감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학년에 따른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1(12), 193-199.

45.

임영진, 고영건, 신희천, 조용래 (2012). 정신적웰빙 척도(MHC-SF)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369-386.

46.

임효진 (2017). 그릿(Grit)의 요인구조 및 초등학생과 대학생 집단에서 나타나는 잠재평균의 차이. 교육학연구, 55(3), 87-113.

47.

임효진 (2018). 그릿, 내-외재가치, 수업참여, 인지조절과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27(3), 235-256.

48.

장휘숙 (2009). 성인초기의 발달과업과 행복의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2(1), 19-36.

49.

전겸구, 김교헌, 이준석 (2000).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2), 316-335.

50.

전해옥 (2014).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성인애착, 자기표현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7). 312-323.

51.

정우희, 김혜원 (2017). 진로소명이 대학생들의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4(2), 445-472.

52.

정은선, 김정수, 하정희 (2017). 대학생의 낙관성, 비관성, 소명의식과 일의 의미 및 삶의 의미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 청소년학연구, 24(4), 27-49.

53.

정은선, 하정희, 김정수 (2015). 소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낙관성, 일희망, 부모양육태도의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6(1), 205-214.

54.

정현, 장성배, 탁진국 (2018). 그릿(Grit)과 직무개선(Job Crafting)의 관계에서 긍정정서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개발연구, 21(1), 31-51.

55.

조경서, 최지혜 (2019).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의 정서적 안녕감 척도 개발 및 요인구조 확인. 특수교육연구, 26(1), 69-86.

56.

조혜정 (2013).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연구, 24(1), 157-184.

57.

최진오 (2017).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취업스트레스와 우울증상의 다중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5(2), 65-73.

58.

최효선, 양수진 (2018). 고등학생의 여가활동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1(2), 105-123.

59.

통계청. 고용보조지표(청년층, 15~29세). 경제활동 인구조사. Retrieved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DA7300AS&conn_path=I2에서 2019.07.01 자료 얻음.

60.

하유진, 최예은, 은혜영, 손영우 (2014). 한국판다차원적 소명척도(MCM-K)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7(1), 191-220.

6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신입사원의 소명의식과 직장 적응. KRIVET Issue Brief, 69.

62.

한금상, 서경현 (2015).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 자아탄력성의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1), 235-251.

63.

한주원 (2018). 전문대학 비서학전공 대학생의그릿(Grit)과 회복탄력성이 진로적응성에미치는 영향. 비서․사무경영연구, 27(4), 5-27.

64.

함성수, 고현석, 장성화 (2018). 사관생도의 소명의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3), 695-713.

65.

황명주 (2018). The effect of job search stress of college students on suicide ideation: Mediating effect of adjustment to college.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8, 73-100.

66.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38-246.

67.

Bollen, K. A., & Stine, R. (1990). Direct and indirect effects: Classical and bootstrap estimates of variability. Sociological Methodology, 115-140.

68.

Borghans, L., Duckworth, A. L., Heckman, J. J., & Ter Weel, B. (2008). The economics and psychology of personality traits. Journal of Human Resources, 43(4), 972-1059.

69.

Browne, M. W., Cudeck, R., Bollen, K. A., & Long, J. S.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age Focus Editions, 154, 136-136.

70.

Cantor, N., & Sanderson, C. A. (2003). Life task participation and well-being: The importance of taking part in daily life. In D. Kahneman, E. Diener, & N. Schwarz (Eds.), Well-being:Foundations of hedonic psychology (pp. 230-243). NY: Russell Sage Foundation.

71.

Datu, J. A. D., King, R. B., Valdez, J. P. M., & Eala, M. S. M. (2018). Grit is associated with lower depression via meaning in life among Filipino high school students. Youth & Society. https://doi.org/10.1177/0044118X18760402.

72.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73.

Dik, B. J., & Duffy, R. D. (2009). Calling and vocation at work: Definitions and prospects for research and practice.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7(3), 424-450.

74.

Dik, B. J., Eldridge, B. M., & Steger, M. F. (August, 2008). Development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 Paper presented to the 117th Annual Convention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Boston, MA.

75.

Dobrow, S. R. (2013). Dynamics of calling: A longitudinal study of musician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4(4), 431-452.

76.

Duckworth, A. L. (2016). Grit: The power of passion and perseverance. New York, NY: Scribner.

77.

Duckworth, A. L., Peterson, C., Matthews, M. D., & Kelly, D. R.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1101.

78.

Duffy, R. D., Allan, B. A., & Bott, E. M. (2012)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vestigating mediators and moderator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3(3), 469-479.

79.

Duffy, R. D., & Dik, B. J. (2013). Research on calling: What have we learned and where are we going?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3(3), 428-436.

80.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W. W. Norton.

81.

Eskreis-Winkler, L., Shulman, E, P., Beal, S. A., & Duckworth, A. L.. (2014). The grit effect:Predicting retention in the military, the workplace, school and marriage. Frontiers in Psychology, 5, 36. Retrieved from doi: 10.3389/fpsyg.2014.00036

82.

Fleeson, W., Furr, R. M., Jayawickreme, E., Meindl, P., & Helzer, E. G. (2014). Character: The prospects for a personality based perspective on morality. Social and Personality Compass, 8(4), 178-191.

83.

Havighurst, R. J. (1948).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New York: McKay.

84.

Hillygus, D. S., Holbein, J. B., & Snell, S. (2016). The nitty gritty: The unexplored role of grit and perseverance in voter turnout. Retrieved from http://ssrn.com/abstract=2675326

85.

Holbein, J., Hillygus, D., Lenard, M., Gibson-Davis, C., & Hill, D. (2018). The development of students’ engagement in school, community and democracy. British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1-19.

86.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87.

Jin, B., & Kim, J. (2017). Grit, basic needs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Individual Differences, 38(1), 29-35.

88.

Joshanloo, M., Rastegar, P., & Bakhshi, A. (2012). The Big Five personality domains as predictors of social wellbeing in Irani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29(5), 639-660.

89.

Keyes, C. L. M. (1998). Social well-be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1(2), 121-140.

90.

Keyes, C. L., Wissing, M., Potgieter, J. P., Temane, M., Kruger, A., & Van Rooy, S. (2008). Evaluation of the mental health continuum-short form(MHC–SF) in setswana speaking South Africans. Clinical Psychology &Psychotherapy, 15(3), 181-192.

91.

Kline, R. 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Guilford publications.

92.

Robertson-Kraft, C., & Duckworth, A. (2014). True grit: Trait-level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predicts effectiveness and retention among novice teachers. Teachers College Record, 116(3), 1-27.

93.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1), 18-29.

94.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95.

Salles, A., Cohen, G. L., & Mueller, C. M.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resident well-being. The American Journal of Surgery, 207(2), 251-254.

96.

Savickas, M. L. (2002). Career construction: A developmental theory of vocational behavior. In D. Brown & Associate (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4th ed., pp. 149-205). San Francisco, CA: Jossey-Bass.

97.

Schulenberg, J. E., Bryant, A. L., & O’Malley, P. M. (2004). Taking hold of some kind of life:How developmental tasks relate to trajectories of well-being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6, 1119-1140.

98.

Singh, K., & Jha, S. D. (2008).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nd grit as predictors of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Indian Academy of Applied Psychology, 34(2), 40-45.

99.

Torrey, C. L., & Duffy, R. D. (2012). Calling and well-being among adults: Differential relations by employment statu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0(4), 415-425.

100.

Vainio, M. M., & Daukantaite, D. (2016). Grit and different aspects of well-being: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via sense of coherence and authenticity.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7(5), 2119-2147.

101.

Von Culin, K. R., Tsukayama, E., & Duckworth, A. L. (2014). Unpacking grit: Motivational correlates of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9(4), 306-312.

102.

Wang, J., & Wang, X. (2012).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lications using Mplus. Chichester, UK: John Wiley & Son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