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nflict of Mother-in-laws of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the Rural Area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nflict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subjects were 7 mother-in-laws who have foreign daughter-in-law in agricultural region.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Colaizzi, 1978). The result proposed 8 categories(failed expectation, anxiety of running away of daughter-in-law, economic problems, serving master, suffering in silence, social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difficulties of mediator, and pitiful my life) and 17 themes for the conflict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Among them, anxiety of running away of daughter-in-law and social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by korean society revealed mother-in-laws are experiencing important factors. Also, they feel high anxiety and tend to experience psychological withdrawal and burden. Because of thes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y are apt to be exposed problems of serious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and suicide thought. Finally,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the intervention about mental health for mother-in-laws of multicultural families.

keywords
multicultural family, korean mother-in-law, conflict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rural areas, qualitative research., 다문화 가정, 한국인 시어머니, 고부갈등, 농촌지역, 질적 연구, multicultural family, korean mother-in-law, conflict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rural areas, qualitative research.

Reference

1.

공은숙 (2009). 다문화가족의 고부갈등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인 시어머니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연구. 18, 123-134.

2.

곽영길, 오세연 (2010). 지방의 다문화가정을 위한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24(1), 217-238.

3.

김미자 (2011). 다문화가족 시어머니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백석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김윤정 (2002). 회상을 통한 우리나라 여자노인들의 일생과 자아통합감. 한국노인복지연구. 21, 207-231.

5.

김은숙 (2010). 횡성군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민자의 생활실태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태연 (1995). 고부갈등과 이에 대한 대처방식이 며느리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

연기군 건강가정지원센터 (2008). 다문화가족 지원을 위한 사회적 방안 모색 토론회.

8.

유가효 (1976). 한국 도시가족의 고부갈등의 실태와 전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유명기 (1997). 외국인 노동자와 한국문화. 노동연구. 13, 69-98.

10.

윤명숙, 이해경 (2010). 농촌지역 시어머니의 외국인 며느리 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농촌사회. 20(2), 191-232.

11.

윤 황 (2009).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도시-농촌간 차이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이해경 (2009). 외국 며느리를 둔 농촌시어머니의 수용경험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정순둘, 이현주 (2010). 외국인며느리를 둔 시어머니의 적응과정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8, 5-36.

14.

조한숙 (2009). 농촌노인과 외국인며느리의 고부관계만족도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최규련 (1995). 가족체계의 기능성,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과 부부의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대한가정의학회지. 33(6), 99-113.

16.

통계청 (2010). 인구동향조사. http://kosis.kr/ abroad/abroad_01List에서 2012, 4, 7 인출.

17.

통계청 (2010). 2010년 혼인․이혼통계. http:// kosis.kr/abroad/abroad_01List에서 2012, 4, 7 인출.

18.

한건수 (2006). 농촌 지역 결혼 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회지. 36(1), 195-243.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