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 남녀의 성 의사소통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들이 성생활의 질과 사랑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성별, 연령 및 결혼기간과 성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성생활의 질과 사랑 요소의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20대에서 40대 사이의 기혼 남녀 29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성적 자기노출, 긍정적․개방적 성태도, 성적 자기주장성, 성 주체성, 원하지 않는 성관계에 대한 합의, 성생활 만족도, 성행동, 성적 친밀감, 사랑요소를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성 의사소통의 유형을 밝히기 위한 군집분석 결과, 성 의사소통은 상호교류적 유형, 방관자적 유형, 자기중심적 유형, 수동적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네 가지 유형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성생활의 질 및 사랑을 나타낸 유형은 상호교류적 유형이었고, 가장 낮은 수준의 성생활의 질 및 사랑을 나타낸 유형은 방관자적 유형이었다. 그리고 자기중심적 유형과 수동적 유형은 긍정적․개방적 성태도, 원하지 않는 성관계에 대한 합의, 성 주체성 요인에서 서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성별, 연령 및 결혼기간에 따라서 각 성 의사소통 유형의 성생활의 질 및 사랑 요소가 달라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끝으로 성 의사소통 유형에 대한 탐색이 가져다주는 임상적 의의와 본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lassify married people's sexual communication style,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each sexual communication style on quality of sex life and components of love,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quality of sex life and components of love according to sexual communication styl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arriage and sex life-related characteristics of subjects. Data used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with questionnaire from 295 married men and women aged from 20s to 40s of Seoul, Kyong-ki, and In-cheon, Korea.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e Measure of Sexual Self-Disclosure, Derogatis Sexual Function Inventory(DSFI), Sexual Attitude Scale, Sexual Assertiveness Scale, Dyadic Sexual Regulation Scale, Likelihood of Consenting to Unwanted Sex, Jewish General Hospital(JGH) Sexual Self-Monitoring Form, Sexual Intimacy Scale, and The Sternberg Triangular Love Scale. The statistical methods adopted for data analysis were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and two-way ANOVA.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exual communication style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reciprocal style, speculative style, self-centered style, passive style. Reciprocal style represented the highest levels of quality of sex life and love among four sexual communication styles. On the other hand, Speculative style represented the lowest levels of quality of sex life and love among four sexual communication sty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entered style and passive style according to the levels of Sexual Attitude, Consenting to Unwanted Sex, and Sexual Regulation. Quality of sex life and love has significant differences on sex, age, and period of marriage. Finally,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고정애 (2004). 기혼여성의 성 만족 및 일반적 의사소통과 성관련 의사소통이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영기, 한성열, 한 민 (2011).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부부 성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7(2), 199-218.
김영애 (2004). 가족치료(핵심개념과 실제적용). 서울: 시그마프레스.
김요완 (2007). 이혼소송 중인 부부의 부부관계 와해과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김용자, 이혜경 (1995). 성교육이 여고생의 성지식과 성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1), 35-53.
남영주 (2003). 삼, 사십대 기혼 남녀의 성 의미 유형과 결혼 만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남영주, 옥선화, 김지애 (2006). 삼, 사십대 기혼 남녀의 성적 의사소통과 결혼의 질. 대한가정학회지, 44(2), 113-126.
문홍세 (1989). 사랑, 성의 정신역동. 한국임상성학회지, 1(1), 23-30.
박경, 이희숙, 김선경, 고정애, 유춘자, 김혜경, 허정은 (2008). 性심리와 性건강. 서울: 시그마프레스.
박소희 (2007). 기혼여성의 여가활용특성과 정서표현성, 부부공감, 친밀감 및 여가공유의사의 관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박영숙, 김윤미 (1997). 임부의 성생활에 관한 조사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3(1), 41-57.
서선영 (2001). 결혼 초기 부부관계에서의 남편과 아내가 지각하는 사랑과 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성한기, 손영화 (2007). 기혼 여성의 성가치관이 결혼 만족, 혼외관계 의도 및 이혼 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2), 175-196.
손영미 (2005). 상호구성적 성지수 척도 개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심미정 (1999). 중년여성의 성만족도와 관련요인 조사. 한국모자보건학회지, 3(2), 233- 243.
양미선 (2009). 자기불일치, 이상형과 실제 파트너의 일치 정도 및 관계의 질이 이성관계 집착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우명순 (2008).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에 관한 연구: 자아정체감, 부부의사소통, 양성평등의식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유영주 (2000). 현대 결혼과 가족. 서울: 신광출판사.
윤가현 (1993). 성심리학. 서울: 성원사.
이경옥 (2003). 기혼여성의 성과 결혼만족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경옥, 김영희 (2003). 기혼여성의 성과 결혼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41(7), 39-58.
이경희 (1995). 부부간 친밀감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4), 235-249.
이윤미 (2008). 성태도와 성행동이 기혼여성의 오르가슴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인숙, 문정순 (2000). 기혼여성들의 성지식, 성태도, 성생활 만족.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4(2), 396-414.
이정은, 이영호 (2000). 개인특성, 스트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3), 531-548.
이홍식, 김진학, 유계준, 이호영 (1987). 기혼남녀의 성기능장애 빈도. 대한의사협회지, 30(9), 1017-1023.
이희숙 (2008). 성인애착과 결혼만족 간의 관계: 보살핌, 성적 친밀감의 매개 효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장순복 (1989). 자궁절제술 부인의 성생활 만족에 관한 요인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장순복, 이선경, 김영란 (2003). 여고생의 성적 자기주장 프로그램 참여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3(5), 659-667.
최명현 (2005). 여대생의 성적 자기주장 관련 요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Brenton, M. (1972). Sex talk. (이민섭 역.) NY: Stein and Day.
Byers, E. S., & Demmons, S. (1999) Sexual satisfaction and sexual self-disclosure within dating relationships. The Journal of Sex Research, 36(2), 399-410.
Catania, J. A., McDermott, L. J., & Wood, J. A. (1984). Assessment of locus of control: Situational specificity in the sexual context. The Journal of Sex Research, 20(3), 310-324.
Catania, J. A. (1992). Dyadic self regulation scale. In C. M. Davis(Eds.), Handbook of sexuality- related measures. Thousand Oaks: Sage.
Cupach, W. R., & Comstock, J. (1990). Satisfaction with sexual communication in marriage: Links to sexual satisfaction and dyadic adjustment.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7(2), 179-186.
Davis, D., Shaver, P. R., Widaman, K. F., Vernon, M. L., Follette, W. C., & Beitz, K. (2006). “I can't get no satisfaction”: Insecure attachment, inhibited sexual communication, and sexual dissatisfaction. Personal Relationships, 13(4), 465-483.
Derogatis, L. R., & Melisaratos, N. (1979). The DSFI: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sexual functioning. Journal of Sex and Marital Theraphy. 5(3), 244-281.
Dunn, K. M., Croft, P. R., & Hackett, G. I. (2000). Satisfaction in the sex life of a general population sample. Journal of Sex and Marital Therapy, 26(2), 141-151.
Ferroni, P., & Taffe, J. (1997) Women's emotional well-being: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ng sexual needs. Sexual and Marital Therapy, 12(2), 127-138.
Giddens, A. (1996). 현대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황정미, 배은경 역). 서울: 새물결.
Greenberg, J. S., Bruess, C. E., & Conklin, S. C. (2007). Exploring the dimensions of human sexuality. Sudbury, MA: Jones & Bartlett Publishers.
Hetherington, S. E., & Soeken, K. I. (1990). Measuring changes in intimacy and sexuality: A self-administered scale. Journal of Sex Education & Therapy, 16(3), 155-163.
Hudson, W. W., & Murphy, G. J. (1990). Sexual attitude scale. FL: Walmyr Publishing Co.
Hurlbert, D. F., & Whittaker, K. E. (1991). The role of masturbation in marital and sexual satisfaction. Journal of Sex Education and Therapy, 17(4), 272-282.
Impett, E. A., Peplau, L. A., & Gable, S. L. (2003). Sexual compliance: Gender, motivational, and relationship perspectives. Journal of Sex Research, 40(1), 87-100.
James, W. H. (1974). Marital Coital rates, spouse's ages, family size and social class. Journal of Sex Research, 10(3), 205-218.
Kurt, F., & Mahzad, H. (1998). Are love styles related to sexual styles? The Journal of Sex Research, 35(3), 265-271.
Libman, E., Spector, I., Binik, Y., Brender, W., & Fichten, C. (1983). Jewish general hospital (JGH) sexual self-monitoring form: Diary evaluation of sexual behavior and satisfaction. In C. M. Davis(Eds.), Handbook of sexuality- related measures. CA: Sage Publications.
MacNeil, S., & Byers, E. S. (1997). The relationships between sexual problems, communication and sexual satisfaction. The Canadian Journal of Human Sexuality, 6(4), 277-283.
Massey, R. F. (1999). The assessment of sexual intimacy: A validity study,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Tennessee. USA.
Merves-Okin, L., Amidon, E., & Bernt, F. (1991) Perceptions of intimacy in marriage: Study of married couples.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19(2), 110-118.
Muehlenhard, C. L. (1995, 1996). The complexities of sexual consent. Siecus Report, 24(2), 4-7.
O'Sullivan, L. F., & Allgeier, E. R. (1998). Feigning sexual desire: Consenting to unwanted sexual activity in heterosexual dating relationships. The Journal of Sex Research, 35(3), 234-243.
Oattes, M. K., & Offman, A. (2007). Global self-esteem and sexual self-esteem as predictors of sexual communication in intimate relationships. The Canadian Journal of Human Sexuality, 16(3/4), 89-100.
Olson, D. H. (1975). Intimacy and the aging family, Realities of aging. College of Home Economics, University of Minnesota.
Patricia, J. M., Kathryn, Q., Lisa, L. H., Laura, W., Diane, M. G., Pamela, R. G., & Gary,J. B. (1997). Sexual Assertiveness Scale for Women: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4), 790- 804.
Patton, D., & Waring, E. M. (1985). Sex and marital intimacy. Journal of Sex & Marital Therapy, 11(3), 176-184.
Ponzzetti, J. J. Jr., Zvonkovic, A. M., Cate, R. M., & Huston, T. L. (1992). Reasons for divorce: A comparison between former partners. Journal of Divorce and Remarriage, 17(3/4), 183-201.
Prager, K. J. (1995). The psychology of intimacy. New York and London: The Guilford Press.
Purnine, D. M., & Carey, M. P. (1997).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sexual adjustment: The roles of understanding and agree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5(6), 1017-1025.
Rabin, C. (1998). Gender and intimacy in the treatment of couples in the 1990s. Sexual and Marital Therapy, 13(2), 179-190.
Rosenfeld, S. M. (2004). Psychosocial correlates of sexual communication. Doctoral Dissertation.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Washington, DC. USA.
Schnarch, D. M. (1997). Passionate marriage: How couples behave in bed is a remarkably authentic expression of their emotional connection-or lack of it. Family Therapy Networker, 21(5), 42-49.
Snyder, D. K. (1979).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1(4), 813-823.
Sprecher, S., & Regan, P. C. (2000). Close relationships: A sourcebook. Thousand Oaks, London, New Delhi: Sage Publications.
Sternberg, R. J. (1986). A triangular theory of love. Psychological Review, 93(2), 119-135.
Vener, A. M., & Stewart, C. S. (1974). Adolescent sexual behavior in middle America revisited: 1970-1973.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6(4), 728-735.
Waring, E. M., Tillman, M. P., Frelick, L., Russell, L., & Weisz, G. (1980). Concepts of intimacy in the general population.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68(8), 471- 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