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The Moderating Effect of Decente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Anger : An Application of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decentering as a moder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anger by applying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A total of 291 married couples ranged from age 20s and 60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completed a questionnaire packet including variables related to martial conflict, anger, and decenter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direct effect of the decentering on anger for both wife and husband but no parter effect. In addition, the decentering played as a moderator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anger for both husband and wife. For the partner effect, only wife’s decentering moder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marital conflict and wife’s anger.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th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marital conflict, anger, decentering,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부부갈등, 분노, 탈중심화,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

Reference

1.

곽민하, 전혜성 (2016). 부부갈등과 부부적응의관계에서 탈중심화 및 용서의 조절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4(3), 339-359.

2.

권정혜, 이종선 (2002). 부부의 대인관계, 의사소통 방식, 결혼만족도가 부부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313-330.

3.

권효석, 이장한 (2010). 인지적 탈융합 처치를통한 불안민감성 감소.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9(3), 745-760.

4.

권정혜, 채규만 (2000). 부부 적응 프로그램의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2), 207-218.

5.

권호인, 이소영, 권정혜 (2012). 부부 속박감과복종 및 분노조절 방식이 화병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4), 579-595.

6.

김갑숙 (1991). 부부갈등이 부부폭력과 자녀학대에 미치는 영향 (국내박사학위논문).

7.

김귀녀 (2002). 부부용서 프로그램이 분노 및 갈등 해결 방식과 배우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8.

김민녀, 채규만 (2006). 가족생활주기에 따른기혼자의 결혼만족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655-671.

9.

김병후. (2003). 우리 부부, 정말 괜찮은 걸까?. 서울: 중앙 M&B.

10.

김빛나, 임영진, 권석만 (2010). 탈중심화가 내부초점적 반응양식과 우울증상에 미치는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2), 573-596.

11.

김수환 (2017).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국내석사학위논문).

12.

김시연, 서영석 (2008). 부적응 도식과 일상적스트레스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243-1267.

13.

김연수, 조성호 (2014). 자기자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공상의 자각과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검증. 발달지원연구, 3(2), 93-108.

14.

김종우 (2005). 화병의 이해와 관리. 스트레스硏究, 13(2), 43-47.

15.

김준기 (2007). 남편과 아내 사이. 서울: 메가트렌드.

16.

김준범 (2010). 탈중심화 척도 개발 (국내석사학위논문).

17.

도현심, 김민정, 김상원, 최미경, 김재희 (2011). 부부갈등과 어머니의 분노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2(5), 85-101.

18.

문주연, 이민규 (2017). 탈중심화와 경험 회피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임상, 36(2), 177-191.

19.

박영옥, 한상순 (1987). 가족생활주기에 따른부부갈등에 관한 조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5(1), 33-49.

20.

박영화, 고재홍 (2005). 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 방식,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65-83.

21.

박진희, 박지선 (2017). 부부갈등과 청소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0(2), 1-18.

22.

배병렬 (2014).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23.

서영옥 (2011). 부부갈등과 심리적 부적응과의 관계에서 감사의 조절 효과 (국내석사학위논문).

24.

양영숙, 김봉환 (2009). 부부갈등과 심리적 부적응과의 관계에서 공감과 용서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0(2), 683-699.

25.

여성가족부 (2013). 100세 사회의 가족정책 추진방향 연구결과 발표.

26.

염승훈 (2008). 분노수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ACT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8(1), 336-337

27.

유진아, 현명호, 이시정 (2013). 인지적 탈융합기법이 분노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3), 683-698.

28.

윤애란, 이인수 (2013). 부부갈등과 결혼적응과의 관계에서 지혜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4(3), 1739-1754.

29.

윤학미, 오수성 (2016). 탈중심화와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서 자기초점적주의 성향의 매개효과. 한국심리치료학회지, 8(1), 59-80.

30.

이경희 (1998).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 따른 부부관계 유형 (국내박사학위논문).

31.

이관직 (2007). (성경과) 분노심리. 서울: 대서.

32.

이상은 (2010). 분노수용프로그램 개발 및 초등학생의 분노표현과 심리적 경직성에 미치는 효과: 수용-전념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33.

이윤로, 유시순 (2004). 노인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1(1), 1-21.

34.

이은진 (2017). 배우자 부모와의 갈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APIM 모델 적용 (국내석사학위논문).

35.

이화자, 김순옥 (2010). 가족상담 : 경험적 부부집단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 -Satir성장모델과 비폭력대화(NVC)모델의 통합. 상담학연구, 11(2), 831-854.

36.

임정하, 윤정진 (2010). 부부갈등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인간개발연구, 17(1), 263-284.

37.

임지영 (2011). 기혼 여성의 부부간 공평성 인지및 남편의 정서적 지지와 결혼 만족도 (국내석사학위논문).

38.

전겸구, 김교헌 (1997). 분노, 적대감 및 스트레스가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79-95.

39.

정화숙 (2013). 중년기 기혼남녀의 마음챙김, 부부 스트레스 및 부부 친밀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3(1), 395-396.

40.

조용래 (2011). 자기 자비, 생활 스트레스 및탈중심화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3), 767-787.

41.

차근영 (2017). 중년기 부부의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국내석사학위논문).

42.

천혜정, 김양호 (2007). 기혼자와 이혼자의 결혼 및 이혼과정 차이. 한국가족복지학, 12(3), 5-23.

43.

최규련 (1993). 맞벌이부부의 결혼만족도와 우울증에 관한 연구 - 학동기자녀를 둔 맞벌이부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31(1), 61-84.

44.

최윤진, 채규만 (2012). 자살생각과 관련된 인지적 요인 : 내부초점적 반응양식의 매개효과와 탈중심화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인지행동치료, 12(3), 315-329.

45.

통계청 (2017). 2016년 혼인 이혼 통계.

46.

한숙자 (2007). 부부갈등과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인지행동적 접근. 韓榮論叢, 11(-), 261-282.

47.

Aiken, L. S. (1996). In West S. G., Reno R. R. (Eds.), Multiple regression :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lif.:Sage.

48.

Acitelli, L. K., &Antonucci, T. C. (1994). Gender differences in the link between marital support and satisfaction in older coup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4), 688.

49.

Averill, J. R. (1983). Studies on anger and aggression: Implications for theories of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38(11), 1145-1160.

50.

Beck, A. T. (2000). Prisoner of hate: The cognitive basis of anger, hostility, and violence. New York: Perennial.

51.

Berkowitz, L. (1993). Aggression: Its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New York, NY, England: Mcgraw-Hill Book Company.

52.

Bolger, N., DeLongis, A., Kessler, R. C., &Wethington, E. (1989). The contagion of stress across multiple rol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1(1), 175-183.

53.

Del Vecchio, T., &O'Leary, K. D. (2004). Effectiveness of anger treatments for specific anger problems: A meta-analytic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4(1), 15-34

54.

Eifert, G. H., &Forsyth, J. P. (2011). The application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to problem anger. COGNITIVE AND BEHAVIORAL PRACTICE, 18(2), 241-250.

55.

Ellis, A. E., &Tafrate, R. C. (1997). How to control your anger before it controls you. New York: Citadel Press.

56.

Floyd, F. J., &Markman, H. J. (1983). Observational biases in spouse observation:Toward a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marriag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1(3), 450-457.

57.

Fresco, D. M., Moore, M. T., van Dulmen, M. H., Segal, Z. V., Ma, S. H., Teasdale, J. D., &Williams, J. M. (2007). Initi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experiences questionnaire: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of decentering. Behavior Therapy, 38(3), 234-246.

58.

Gottman, J. M., &Krokoff, L. J. (1989). Marital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A longitudinal view.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7(1), 47-52.

59.

Julien, D., &Markman, H. J. (9111). Social support and social networks as determinants of individual and marital outcome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8(4), 549-568.

60.

Larson, R., &Richards, M. (1994). Divergent realities: The emotional lives of mothers, fathers and adolescents. New York: Basic Books.

61.

Miller, T. Q., Marksides, K. S., Chiriboga, D. A., & Ray, L. A., ,(1995). A test of the psychological vulnerability and health behavior modes of hostility : Results from an 11-year follow-up study of Mexican Americans. Psychosomatic Medicine, 57, 572-581.

62.

Navoco, R. W.(1994). Anger as a risk factor for violence among the mentally disordered. In J. Monahan &H. J. Ssteadman (Eds), Violence and mental disorder.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3.

Newton, T. L., &Kiecolt-Glaser, J. K., (1995). Hostility and erosion of marital quality during early marriage.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18, 601-619.

64.

Rubin, L. B. (1992). The approach-avoidance dance: Men, women, and intimacy. in M. S. Kimmel and M. A. Messner (Eds.). Men’s lives.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Incorporated.

65.

Safran, J. D., &Segal, Z. V. (1990). Interpersonal process in cognitive therapy. New York: Basic Books.

66.

Spielberger, C. D., Reheiser, E. C., &Sydeman, S. J. (1988).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n M. P., Janisse (Eds.). Health psychology: Individual differences and stress. New York: Springer Verge.

67.

Spielberger, C D., Krasner, S. S., &Solomon, E. P.,(1988).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n M. P., Janisse (Eds.). Health psychology: Individual differences and stress .New York: Springer Verge

68.

Stinnett, N., Walters, J., &Kaye, E. (1984). Relationships in marriage and the family (2nd ed.). New York: Macmillan.

69.

Tavris, Carol. (1989). Anger: The Misunderstood Emotion, Rev, ed. (Book Review). Library Journal, 114(14). 210

70.

Teasdale, J. D., Moore, R. G., Hayhurst, H., Pope, M., Williams, S., &Segal, Z. V. (2002). Metacognitive awareness and prevention of relapse in depression: Empirical evidenc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0(2), 275-287.

71.

Wallerstein, J. S., &Lewis, J. M. (2004). The unexpected legacy of divorce: Report of a 25-year study. Psychoanalytic Psychology, 21(3), 353-370.

72.

Willhite, R., &Eckstein, D. (2003). The angry, the angrier, and the angriest: Relationship implications. FAMILY JOURNAL -ALEXANDRIA VA-, 11(1), 76-83.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