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논문 상세

인상형성 준거에 근거한 20대 한국여성 얼굴사진 DB구축

DB constructing face pictures of Korean young women based on the structure of facial impressions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20대 여성들의 얼굴사진들에 대한 체계적인 DB를 구축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인상형성의 기준들을 탐색하고 그에 근거하여 실제 수많은 20대 여성들에 대한 얼굴구조가 어떻게 군집화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여 보았다. 실험참가자들에게 출신 지역이 다양한 20대 여성들 100명의 얼굴사진들을 주고 그에 대해 인상을 평정하게 한 결과, 날카로운/서구적인 대 맹한/동양적인 인상의 기준과 남성적인/강인한 대 여성적인/귀여운 인상의 기준이 비교적 주요한 변별준거로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인상을 형성함에 있어 동안성 지각과 지배성 지각이 주요한 인상형성의 기준이 될 수 있다는 이전 연구들의 결과들을 간접적으로 재검하여 준다. 최종적으로 20대 한국인 여성들의 얼굴 DB는 이들 두 준거를 토대로 체계화되었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develop a DB of facial pictures of Korean women of twenties. For this purpose, a structure of facial pictures was explored based on the differential criteria making impressions on Korean young women. Participants rated 100 facial pictures on 7 point Likert scales consisted of personality inferences. These pictures were selected from larger samples, collected from country-wide districts. Based on multidimensional scaling, two dimensions were very effective to discriminate facial impressions of Korean young women; sharp/westernized vs. dull/oriental and masculine/tough vs. feminine/cute. These results partly replicated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which showed perception of babyishness and dominance might be strong criteria for facial impressions. Finally, a DB of facial pictures of Korean young women was constructed on multi-dimensions.

keyword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