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Development of Traditional Marketplaces in the New Distribution Market - With Emphasis on Daejeon Metropolitan City -

Th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 Th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P)1738-3110; (E)2093-7717
2008, v.6 no.1, pp.25-46
https://doi.org/https://doi.org/10.15722/jds.6.1.200806.25
Choi, Ho-Gyu
Yun, Jeong-Keu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latest flow in Korea's distribution market is characterized by the deterioration of small/medium distribution market due to the rapid growth of multinational discount stores. As various multinational discount stores have merged with Korean discount stores (Homever acquired Carrefour and E-Mart acquired Wal-Mart), these discount stores have enlarged in size and dominated the market. On the contrary, small/medium distributors with relatively weak infrastructures are losing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Traditional marketplaces in local areas, in particular, are facing a serious crisis as they are neglected in the depressed local markets and have been beaten by the increasing discount stores and the diversifying distribu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lternative plans to revitalize traditional marketplaces that are endangered by the unbalanced development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This study analyzed the distribution performances and problems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used the analysis to point out the problems specific to traditional marketplaces and propose a way to revitalize them. I hope that this study can help discount stores and small/medium distributors find balance in the market, and give traditional marketplaces the competitiveness to pursue sustainable growth.

keywords
유통환경, 대형점, 중소유통업체, 재래시장, 마케팅 전략

Reference

1.

강명주, 임채길(2007), “부산지역 재래시장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유통연구, 제10권 제3호, p.80.

2.

김양희(2005), “한국 동대문시장의 발전과 새로운 한일의류”, 아시아경제연구소.

3.

김양희, 신용남(2000), “재래시장에서 패션 네트워크로”, 삼성경제연구소.

4.

김웅진, 배일현(2008), “재래시장 소비자의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고객충성도,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통연구, 제11권 제1호, p.157.

5.

대한상공회의소(2005), ‘통계로 보는 유통개방 10년“.

6.

대한상공회의소(1998), “전국 도․소매업 총람”, 대한상공회의소, pp.1-21.

7.

박봉두‧노정구(2007), “소비자가 지각하는 재래시장 경쟁우위요인,” 한국유통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유통학회, p.282.

8.

신창호․문경일(2003),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유통연구회, pp.97-118.

9.

시장경영지원센터(2006), “재래시장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pp.25-32.

10.

시장경영지원센터(2006), “2006년 기준 재래시장 실태조사보고서”, pp.18-19.

11.

시장경영지원센터(2006), “대형마트 출점이 지역중소유통업에 미치는 영향”, pp.55-72.

12.

안용찬(2006),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과 기대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20.

13.

월간디스카운트 머천다이저(2004), “리테일 매거진”, 대형마트 현황자료, pp.38-39.

14.

이동수(2005), “국내 유통산업의 구조변화와 경제적 성과”, 동서경제연구, pp.22-32.

15.

이충로(2003), “우리나라 재래시장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서남대학교, pp.56-60.

16.

임영록, 박진희(2007), "대형할인점의 효율성 분석을 위한 DEA모형 적용에 관한 연구", 유통정보학회지, 제10권 제2호, 유통정보학회, p.105.

17.

임종섭(2007), “대형마트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통 연구, 한국유통정보학회, 제10권 제4호, p.170.

18.

정미자(2000), “재래시장의 재개발・재건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중소기업청(2006), “재래시장 활성화 종합계획(시장특성별 육성전략)“.

20.

한국슈퍼체인연합회(2004), 유통연감.

21.

황선미,“재래시장 활성화 방안의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20.

22.

정종식‧김영민(2007), “의정부시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유통연구, 제10권, 제3호. p.113.

23.

Bell, David R., Teck-Hua Ho and Christopher S. Tang(1998), "Determining Where to Shop: Fixed and Variable Costs of Shopping"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pp.35-369.

24.

Bellenger, Danny N. and George Moschis (1981), "A Socialization Model of Retail Paronag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Andrew Mitchell, editor), Proceedings of the Association of Consumer Research, Ann Arbor, Michigan: Association of Consumer Research Vol.9, pp.373-378.

25.

Engel, J. F,R.D. Blackwell & P.W Miniard(1996), "Consurmer Behavior, 5th ed, (iIIinois: The Dryden Press), pp.521.

Th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