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선일석(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pp.5-19 https://doi.org/https://doi.org/10.15722/jds.6.2.20081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냉장, 냉동 창고의 기초 자료가 부족하여, 불완전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냉장 냉동 창고의 일반현황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내용은 냉장 냉동 창고의 일반적인 현황으로는 매출액, 자본금(출자금), 창고종류별 보유현황, 보관면적, 냉장냉동 시설용량 등과 설비현황으로는 랙의 유무, 건축물 구조 및 층고, 모유설비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역별 분포는 수도권과 부산지역이 전체의 86.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이들 지역이 평균보관면적 또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업체의 80%이상이 보세장치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냉장 냉동 창고의 면적 및 용량은 고른 분포를 보였다. 건축물 구조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가 대부분이었으며 설비의 경우 랙 설치 업체가 전체의 25%로 나타나 설치율이 낮았으며 랙의 설치여부와 자본금 및 매출액 규모와는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보유설비는 화물용 승강기, 정보시스템, 도크 순이었으며 하역장비로는 지게차가 평균 9.1대, 리치스태커는 평균 2.2대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조사가 국내 냉장 냉동 산업의 실태파악과 예측, 발전에 기초가 될 것으로 생각하며 향후 좀 더 세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present general state of basic data about refrigeration and freezing warehouses scold storages because basic data about refrigeration and freezing warehouses are insufficient and imperfect at the moment. Research contents include the present general state of cold storages such as sales amount, capital(money invested), storage possession state by type, keeping area, cold storage facility capacity, and facility state such as existence of rack, building structure and floor height, and possessed facility state.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86.7% of refrigeration and freezing warehouses are located in the capital region and Busan region in terms of regional distribution, and the average keeping area was found to be bigger in these two regions than that of other regions. In addition, the research shows that more than 80% of companies possess bonded warehouses and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the size and capacity of refrigeration and freezing warehouses. Regarding building structure, most of them were found to be reinforced concrete. However, only 25% of companies installed rack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existence of rack and the amount of capital and sales. Possessed facilities were found in the order of freight elevator, information system and dock. When it comes to cargo gear, companies were found to possess 9.1 units of forklift and 2.2 units of reach stacker in average.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lay a basis for investigating, predicting and developing the local cold storage industry, and more detailed studies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김도헌(경남대학교 대학원) ; 김상덕(경남대학교 경영학부) pp.21-39 https://doi.org/https://doi.org/10.15722/jds.6.2.200812.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e-SCM의 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하여 사례연구로써 공통점 및 사례대상 기업의 차이점을 설명한 논문이다. 먼저 기존 연구를 조사하여, e-SCM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써 e-SCM 조직 구성, 최고 경영진의 마인드 제고, 각 구성원간 정보 공유, 정확한 수요와 공급 계획 수립, 정보 기술의 활용, 조직의 크기, 기업간 협업의 7가지 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전자 업체로써 소니, 삼성전자와 제과 업체로써 해태제과를 선정하여 세 기업에 대하여 기 도출된 7가지 요인들에 대한 공통점을 추출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국가 간 또는 산업간 차이로 인한 e-SCM 운용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비교 분석하였다. 결론에서는 e-SCM의 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사례 연구를 통한 비교 분석으로 도출하고 제시하여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이끌어 냄으로써 이 연구의 의의를 도출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is a case study on determinants of e-SCM performances. It suggested effective factors related with e-SCM performances for common feature, and point of difference between case firms. So the paper investigated former literature. Then it derived determinants on e-SCM performances. The authors found that establishment of e-SCM project team, mind change of top management, sharing of information, establishment of exact demand and supply plan, the best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scale of organization, and collaboration of between firms are key success factors of e-SCM. Case company were three companies. The paper chose SONY, and Samsung Electronics among electronic companies, and HAITAI among confectionary companies. It analyze three companies about common feature, and point of difference, regarding seven effective factors as mentioned above.

김판진(초당대학교) ; 류충열(한국의약품도매협회) ; 남궁석(을지대학교) ; 전타식(동남보건대학) ; 윤명길(을지대학교) pp.41-60 https://doi.org/https://doi.org/10.15722/jds.6.2.200812.4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제약 산업의 현황과 유통시스템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제약 산업 유통시스템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그에 따른 개선점도 동시에 제시하였다. 연구는 국내 제약 산업의 유통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서 국내 제약 제조의 선도기업인 'J'기업의 10가지 유통시스템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그에 따른 유통시스템의 개선점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J'기업의 2008년 4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의 내부 보고서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또한 지속적인 담당자 면접을 통해 유통시스템의 문제를 밝혀냈다. 그 결과 의약공급 유통시스템의 문제점으로 첫째, 직접 판매 비즈니스의 부정적 효과를 가졌고 둘째, 생계유지형의 영세한 구조였다. 셋째, 도매유통이 넘쳐나고 불법적인 거래가 보편적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대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 첫째, 도매유통시스템의 역할과 기능을 더욱 강화해야 하며 둘째, 도매유통시스템 관리자의 신중한 유통시스템의 재설계가 필요하다. 셋째, 상적 유통이 더 업그레이드(upgrade) 되어야 하며 넷째, 물적 유통 또한 추가적인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의약공급 유통시스템 문제 해결을 위해서 투명하고 활동적인 정보시스템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state of local pharmaceuticals industry and investigated distribution system. The study found out associated problems as well as improvements of distribution system of local pharmaceuticals. Finally, to improve distribution system of local pharmaceuticals, the study investigated distribution system of 10 kinds of pharmaceuticals of 'J' Company being a leading local manufacturer of local pharmaceuticals, and found out improvements of the distribution system. The study collected and compiled 'J' Company's internal slips and reporting material from April 1, 2008 to July 31, 2008, and interviewed persons in charge continuously to find out state and problems of the distribution system.

박수용(대구보건대학 유통경영과) pp.61-79 https://doi.org/https://doi.org/10.15722/jds.6.2.200812.6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소매점포 내에서 인지되는 혼잡성, 쇼핑감정, 쇼핑가치 그리고 재이용의도간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인적혼잡성은 긍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부정적 감정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간적 혼잡성은 긍정적 감정에 부(-)의 영향을, 부정적 감정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긍정적 쇼핑감정은 실용적 및 쾌락적 쇼핑가치에 정(+)의 영향을, 부정적 쇼핑감정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쇼핑가치의 두 가지 차원은 재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백화점과 같은 소매점포에서는 다양한 이벤트나 공연, 혹은 쇼핑객들을 유인할 수 있는 시설의 유치 등으로 적정수준의 인적 혼잡성을 유발함으로써 쇼핑객들에게 활성화 작용을 일으키도록 해야 하고 점포 내 통로를 넓히거나 천장이 높게 보이도록 하고 실내를 밝은 조명이나 색상의 사용으로 쇼핑객들의 공간적 혼잡성으로 인한 부정적 행동을 감소시켜야 한다. 또한 쇼핑객들에게 양질의 제품이나 서비스의 공급뿐만이 아니라 쇼핑 그 자체에 보다 더 큰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마케팅전략을 구사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paper studies on the influence of customers' perceived store crowding, shopping emotions, shopping value, and repatronage intention.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human crowding and spatial crowding influence two dimensions of shopping emotions: positive shopping emotions and negative shopping emotions. Especially human crowding influences positively on positive shopping emotions while spatial crowding influence positively on negative shopping emotions, which means that shoppers visiting stores feel negative shopping emotions toward spatial crowding, but that shoppers' crowding in stores can arose positive shopping emotions which intrigue interest and liveliness. Second, positive shopping emotions and negative shopping emotions influence two dimensions of shopping values: hedonic shopping value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Especially positive shopping emotion influences positively on utilitarian shopping value and hedonic shopping value while negative shopping emotion influence negatively on utilitarian shopping value and hedonic shopping value. Third, the result shows that shoppers' shopping values influences positively on repatronage intention.

김문정(백석문화대학 광고마케팅학부) ; 조윤기(경기대학교 경영학부) pp.81-93 https://doi.org/https://doi.org/10.15722/jds.6.2.200812.8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저관여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행동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저관여 상표로 분류되는 캔커피 구매 시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장소 등에 관해 분석함으로서 마케팅 요소 중 어떠한 요소가 구매자의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여 마케팅 믹스의 최적배합에 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제품의 만족도가 아닌, 유통이나 인지도(홍보)에 있었다. 제품의 만족도가 낮은 구매자들이 타 상표로 이동하는 것이 없는 것은 아니었으나, 이는 예상했던 것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오히려 만족도가 낮은 고객도 다시 그 상표를 구매하겠다는 구매의사를 밝혔다. 본 연구는 저 관여상품의 구매에서 마케팅 믹스 중 유통요소나 인지도요소가 제품요소보다 중요하게 나타나 저 관여 상품 판매에 다양한 촉진요소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This paper has analyzed the factors and purchasing places affecting the purchasing caned coffee which is classified into low involvement goods. As the result of research, it was discovered that affected factor has arisen out of distribution or recognition other than satisfaction of goods. Consumers who have low satisfaction level switch but this occasion happen at a much lesser rate than expected and on the contrary, even customers who were lesser satisfied expressed that they would buy the same brand again. Although this paper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the distribution and recognition factors (publicity), among other marketing mixes, that play a greater role than the product when purchasing the product, it has not taken the effects of promotion into consideration. In the future, the consequences of promotions should be explored and simultaneously look into how each of the factors influence direct sales and weigh how much impact each factor has.

Th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J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