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실버소비자의 건강기능 제품에 대한 만족과 지식이 웰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Silver Consumer's Product Satisfaction and Knowledge on the Health Functional Consumer's Well-being

Th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JDS) / Th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P)1738-3110; (E)2093-7717
2011, v.9 no.2, pp.131-140
https://doi.org/https://doi.org/10.15722/jds.9.2.201106.131
이순금 (Department of Administration, Kyungnam University)
김용만 (Department of Administration, Kyungnam University)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자금의 고령화 사회에서 실버소비자의 웰빙을 향상시키기 위한 근본적인 마케팅노력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실버마케팅과 소비자웰빙의 연관성에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있으며, 그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첫째, 실버소비자의 건강기능 제품 만족을 결정하는 소비 전(全) 단계의 여러 가지 만족 요인이 실제로 소비자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일차적으로 실증 분석하고, 둘째, 제품 만족요인에 의해 소비자 웰빙을 가져오는 그 과정에서 실버소비자의 건강기능제품의 제품지식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이차적으로 실증 분석하는 데 둔다. 따라서, 실버소비자의 건강기능제품에 대한 제품만족은 건강관련 소비자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1과 실버소비자의 건강기능제품에 대한 제품지식에 따라 제품만족이 건강관련 소비자 웰빙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으로 강화될 것이라는 연구가설 2를, 설문조사를 통한 자료수집과 통계적 실증분석에 의해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연구가설 1은 채택되었으며, 연구가설 2는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건강기능제품의 효율적 웰빙마케팅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제품의 실버소비자 웰빙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소비 사이클 전반에 걸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구입-준비-소비-유지-처분 전(全)단계에서 소비자의 장기적인 만족을 위한 건강기능제품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소비자 웰빙은 다양한 욕구의 총합으로 구성되므로, 긍정적 정서적 경험의 증대와 부정적 정서적 경험의 저감의 목표를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건강기능제품에 관한 실버소비자의 지식을 높이기 위한 마케팅 노력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실버소비자의 제품지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건강기능제품에 대한 친숙성과 전문성을 제고하고 다양한 경로를 통해 그들의 제품지식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단,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건강기능제품에 관한 소비자의 높은 지식은 건강기능제품의 준비만족과 유지만족에의 관점에서만 소비자웰빙에 긍정적인 효과의 강화를 보인다는 점에서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이러한 분석 결과는 제품지식이 준비단계의 욕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유지단계의 정보 이용에 더욱 관련성이 있을 것이라는 선험적 인식을 보여 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실버소비자를 대상으로 제품만족, 제품지식 및 소비자웰빙에 대한 실증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본 연구의 시도는 시의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실버소비자의 건강기능제품의 소비와 관련하여 제품만족의 전 단계가 소비자웰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인과관계를 규명하였고, 그 과정에서 제품지식 수준의 조절변수 효과가 부분적으로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을 관찰하였다는 점이 웰빙마케팅 연구에 기여하는 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실버소비자, 건강기능제품, 건강제품지식, 긍정적정서, 부정적정서

Abstract

On 1 July 2000, as the over-65 year-old population numbered 3,371,000 and accounted for over 7.1% of Korea's total population, an aging society was revealed. The over-65 percentage climbed to 11.0% by late 2010. A truly aged society is expected soon, by 2019. This aging society requires marketing research concerning the consumer behaviour and well-being of the elderly, because the 'silver generation' is emerging as a large part of the consumer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se one effect among several satisfaction factors in the consuming cycle of various health functional products on consumer's well-being and the effect of product knowled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satisfaction and well-being. To achieve this purpose, we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product satisfaction, product knowledge, and consumer's well-being.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developed from the research model. Hypothesis 1: When elderly consumers' satisfaction with health functional products increases, their well-being will increase. Hypothesis 2: The effect of their satisfaction with health functional products on their well-being will be strengthen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ir knowledge of the products. Those hypotheses were tested by multiple and moderated regressions to the empirical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s a result, Hypothesis 1 was totally adopted, and Hypothesis 2 was only partially adopted. The study has many practical implications for well-being marketing. First, in order to heighten the elderly consumer's well-being, the level of his or her satisfaction with the health functional products has to be raised in every stage: during the acquisition, preparation, use, maintenance, and disposition of the consumption cycle. Moreover, promoting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while diminishing negative ones requires effort because a consumer's well-being is made up of various needs. Second, the marketing of health functional products should be invigorated in order to raise the level of elderly consumers' knowledge of them.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give them an expertise in the health functional products through different channels. A statistical analysis showed, however, that their knowledge has a decisive effect on only two satisfaction stages, preparation and maintenance. Nevertheless, this merely confirmed the intuitive assumption that the knowledge of health functional products is most relevant to their preparation and maintenance. In conclusion, this study is timely because few empirical studies exis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ilver consumer behaviour and well-being marketing. It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this subject by revealing the causality between the silver consumer's satisfaction and his or her well-being in the consumption cycle and by discovering the moderating influence of knowledge in that process.

keywords
실버소비자, 건강기능제품, 건강제품지식, 긍정적정서, 부정적정서

참고문헌

1.

곽준식, 김영조(2006), “제품지식수준과 시기적 적합성의 상호작용 이 계절상품의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소비문화연구, 제9권 제3호, 23-39.

2.

김동기, 배수현, 박종원(1993), “관여도와 제품지식이 태도와 행동 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마케팅연구, 제8권, 제2호, 1-17.

3.

김재훈(2005), “고령화사회 도래의 마케팅적 의미,”마케팅그룹컨슈 머인사이트팀, 대홍도큐, 4-9.

4.

박찬욱(2001), “제품지식이 적은 소비자의 원산지 정보 및 광고모 델 정보 활용전략 : 정보처리 동기와 제품유형의 조절적 역할을 중심으로,”마케팅연구, 제16권, 제2호, 49-68.

5.

박효현, 정강옥, 곽성열(2010), “의사인간관계가 온라인쇼핑몰 충성 도에 미치는 영향: 제품지식과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중 심으로,”광고학연구 제21권 제3호, 73-101.

6.

서모정(2008), “온라인 구전정보의 방향성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 향: 소비자 제품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서은국, 구재선, 이동귀, 정태연, 최인철(2010), “한국인의 행복지수 와 그 의미,”한국심리학회 2010연차학술대회 논문집, 213-232.

8.

손영석, 이진용, 채서일(1996), “제품에 대한 소비자 지식과 광고내 용이 확장상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제 25권 제3호, 1-28.

9.

이동진(2007), 소비자웰빙마케팅, 서울: 박영사.

10.

이동진 역(2005), Well Being Marketing(M. Joseph Sirgy), 서울: 박영사, 12-13

11.

이병관(2009), “제품 평가에 미치는 제품의 내재적 속성과 외재적 속성의 역할: 소비자 지식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광고 학연구 제20권 제4호, 263-277.

12.

이은미(2008), “원산지이미지가 브랜드동일시와 브랜드태도에 미치 는 영향: 제품유형과 제품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전영옥(2005), “웰빙 문화의 등장과 향후 전망,”삼성경제연구소 Issue Paper, 1-34.

14.

진현정, 이은영(2007), “아웃도어 스포츠웨어 소비자의 레저관여와 제품지식에 따른 의류브랜드와 소재브랜드 평가,”한국의 류학회지, 제31권 제9호, pp. 1333-1341.

15.

홍희숙 ․ 홍병숙(2008), “천연염색 의류제품에 대한 지각된 위험과 혜택: 천연염색 제품지식에 따른 차이,”한국의류학회, 한 국의류학회지 제32권 제9호 통권179호, 1343-1355.

16.

Aiken, L. S. and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Sage.

17.

Alba, J. W. and Hutchinson, J. W. (1987), “Dimensions of Consumer Experti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 411-454.

18.

Bettman, J. R. and Park, C. W. (1980), “Effects of Prior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Phase of the Choice Process on Consumer Decision Processes: A Protocol Analysi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7, 234-248

19.

Bradburn, N. M. (1969),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Chicago: Aldine.

20.

Diener, E., Smith, H. and Fujita, F. (1995), “The Personality Structure of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69, 130-141

21.

Diener, E., Sandvik, E. and Pavot, W.(1991), “Happiness is the Frequency, not the Intensity of Positive versus Negative Affect,” In Strack, F., M. Argyle, and N. Schwarz (Eds.), Subjective Well-being: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pp.119-139), Oxford: Pergamon Press.

22.

Grzeskowiak, S., Sirgy, M. J., Lee, D. and Claiborne, C. B. (2006), “Housing Well Being: Developing and Validating a Measure,” Social Indicators Research, 79(3). 503-541

23.

Johnson, E. J. and Russo, J. E. (1984), “Product Familiarity and Learning New Inform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1(1), 542-550.

24.

Lee, D. J. and Sirgy, M. J. (2003), “Developing a Measure of Consumer Well Being in Relation to Personal Transportation,” Yonsei Business Review, 40(1), 72-101.

25.

Maheswaran, D. and Sternthal, B. (1990), “The Effects of Knowledge, Motivation, and Type of Message on Ad Processing and Product Judgmen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7, 66-73.

26.

Punj, G. N. and Staelin, R. (1983), “A Model of Consumer Information Search Behavior for New Automobil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 366-380

27.

Rao, A. R. and Monroe, K. B. (1988), “The Moderating Effect of Prior Knowledge on Cue Utilization in Product Evaluat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 253-264.

28.

Sirgy, M. J., Grzeskowiak, S. and Lee, D. J. (2006), “Developing Product Specific Measure of Consumer Well Being(CWB) Guided by the Concept of the Consumer Product Life Cycle,” Working Paper

29.

Sujan, M.(1985), “Consumer Knowledge: Effects on Evaluation Strategies Mediating Consumer. Judgmen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 31-46.

30.

Tsai, J. L., Knutson, B. and Fung, H. H. (2006), “Cultural Variation in Affect Valu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0, 288-307.

31.

Watson, D., Clark, L. A. and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Th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J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