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전통시장 상인들의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인식과 조직몰입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Awareness on Low Carbon Green Growth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ed on the Traditional Retailers

Th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JDS) / Th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P)1738-3110; (E)2093-7717
2011, v.9 no.3, pp.37-46
https://doi.org/https://doi.org/10.15722/jds.9.3.201109.37
양회창 (Department of Distribution Management, JangAn University)
김성일 (Department of Business Management, Graduate School, AnYang University)
박영호 (Department of Business Management, Graduate School, AnYang University)
이상남 (Chairman of Paldal-Gu Autonomy Committee)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유통시장의 개방과 함께 국내&#x00B7;외 유통기업들의 진출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유통업태들과의 경쟁으로 인해 전통시장은 심각한 문제들에 봉착하게 되었다. 전통시장의 생존을 위해 그간 정부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였고, 학자들도 문제 해결을 위한 많은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으나 불행하게도 그 결과들은 아직 만족스럽지 못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의 도입과 관련하여 전통시장의 생존과 유지&#x00B7;발전을 위한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먼저 전통시장의 생존과 유지&#x00B7;발전을 위해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이라는 가정아래 먼저 전통시장 상인들의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인지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전통시장을 발전시키기 위한 키워드로 상인들의 조직몰입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태도변수로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와 상인들의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여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흥미롭게도 전통시장 상인들의 인구통계적 특성(예를 들어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의 세대별 양극화 현상과 학력차이)이 구별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전통시장 상인들의 세대차와 학력차이로 인한 변수들의 평균값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기성세대 상인들의 녹색성장인식, 정부정책신뢰,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의 정도는 젊은 세대 상인들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녹색성장인식(F = 9.964, p<.05), 자기효능감(F = 5.532, p<.05) 그리고 조직몰입(F = 5.697, p<.05)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학력차의 경우에도 고학력 상인들이 학력이 낮은 상인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구체적으로는 고학력 상인들의 녹색성장인식(F = 8.564, p<.005)과 자기효능감(F = 6.754, p<.005)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정부가 정책을 실현함에 있어 상인들의 인구통계적 특성도 중요한 요인이 될 것임을 반영하고 있다. 연구결과 1) 상인들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 대한 인식이 높으면 전통시장에 대한 조직몰입의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알 수 있었고, 2) 녹색성장 정책의 인식과 조직몰입간의 관계에 있어 상인들의 정책신뢰가 조절하고 있음과 3) 상인들이 스스로 해낼 수 있다는 신념인 자기효능감은 둘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정책신뢰가 녹색성장 정책의 인식과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조절한다는 뜻은 상인들이 정책를 신뢰할 수 있는 어떤 단서가 있어야 함을 의미하며, 자기효능감의 완전매개는 전통시장 상인들이 스스로 전통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을것이라는 신념을 스스로 가질 수 있도록 정부가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말미에는 이 연구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영향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전통시장, 녹색성장 정책,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신뢰

Abstract

Since the Korean retail industry was made accessible to the big conglomerates and foreign retail companies, local traditional markets have faced serious problems. To sustain the local traditional markets' survival,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various remedial policies for addressing, and many scholars published articles to suggest how to find solutions to, the problem. Unfortunately, the results have not been satisfac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other way to help the Korean traditional retail market, from the view point of the Green Growth Policy, an initiative designed to address environmentally balanced economic growth in Korea. In order to survive and to maintain sustainable growth, it is incumbent upon retailers in the traditional marke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Green Growth Policy. A survey was conducted as a means of testing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Green Growth Policy, as well as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awareness and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the retailers in the local traditional markets. Interestingly, we were able to detect some of the features (e.g., they were distinguished by the elderly and the young, as well as low level of education and high level of education) in the traditional market retail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 utilized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statistical method to simultaneously compare the differences in retail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Overal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wareness of the Green Growth Policy, the degree of trust in the government's policy, levels of self-efficacy, and level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higher with the older traditional market retailers than the younger traditional market retailers. Specifically, the degree of trust in government policies (F=9.964,p < .05), levels of self-efficacy (F=5.532,p < .05), and level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F=5.697,p < .0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in the portion of the study that addressed the difference between education levels, all the variables were averaged in the higher education category of the traditional market retailers. Specifically, awareness levels of the Green Growth Policy (F=8.564,p < .005) and levels of self-efficacy (F=6.754,p < .00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revealed that the traditional market retail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factors in order to realize their polic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1)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government's Green Growth Poli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it related to traditional market retail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2) The degree of trust of the government's policy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etween the awareness of the government's Green Growth Policy and the traditional market retail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traditional market retailers' awareness of the government's Green Growth Policy will show more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higher levels of trust of the government's policy. 3) It also revealed that traditional market retailers' self-efficacy was fully mediated between the awareness of the Green Growth Policy of the government and traditional market retail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government should show an interest in showing traditional market retailers how to enhance their traditional market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keywords
전통시장, 녹색성장 정책,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신뢰

참고문헌

1.

곽원일, 남인우, 노정구 (2009), “재래시장과 대형마트의 방문의도에 대한 환경 및 감정적 영향에 관한 연구,” 유통연구,14(3), 77-104.

2.

김계수 (2007),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370-374.

3.

김기태, 조봉순 (2008), “인적자원관리와 조직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 성과로서 종업원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사·조직연구, 16(1), 115-157.

4.

김상철 (2004), “재래시장의 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SERVQUAL 모형을 중심으로”, 유통과학연구, 제2권 제2호, 17-32.

5.

김영훈 (2009),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하여. (오마이뉴스 기사 일부인용)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758374

6.

김유오, 지해명, 윤명길 (2009),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상품권유통방안에 관한 소고: 전통시장 상품권을 중심으로” 유통과학연구, 제7권 제4호, 37-45.

7.

김응진, 배일현 (2008), “재래시장 소비자의 지각된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 고객 충성도,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통상정보학회지, 11(1), p.158.

8.

김판석, 사득환 (1999),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이해와 개념정리”, 한국정치학회, 71-88.

9.

김판진, 김경조, 남궁석, 윤명길 (2009), “재래시장 시설현대화에 따른 소비자 인식도에 관한 연구: 목포지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유통과학연구, 제7권 제1호, 55-70.

10.

노승혁, 윤성욱, 서근하 (2006), “재래시장 상인의 불황극복과 경영혁신을 위한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 ·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28(4), 19-44.

11.

녹색성장위원회 (2009a), 「녹색성장 국가전략」.

12.

녹색성장위원회 (2009b), 「녹색성장 5개년계획」.

13.

박봉두, 노정구 (2007), “재래시장 경쟁력 구성요인과 정책적 시사점”, 유통연구, 12(5), 17-48.

14.

박영근, 김판준, 황태수 (2007), “주거환경이 주거가치, 주거만족,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통과학연구,5(1), 23-40.

15.

백은남 (2010),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인식과 에너지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기후변화 대응을 중심으로”, 대구: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성정연, 전선규 (2009), “수유시장의 재래시장 활성화전략 사례”.경영교육연구, 12(3), 51-82.

17.

윤순진 (2009), “저탄소 녹색성장’의 이념적 기초와 실재” 환경사회학연구 ECO, 제13권 제1호, 7-348.

18.

이명현 (2011), “저탄소 녹색성장과 산업의 잠재성과에 관한 실증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0권 제1호, 99-163.

19.

이병욱 (2005), 환경경영, 서울: 에코리브르. 156-175.

20.

이용우, 윤양수, 최영국 (2003), “지속가능한 국토개발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 국토연구원, 단행본, 127-136.

21.

이상남 (2011),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인식과 조직몰입의 관계에 관한 연구”, 수원: 아주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이선준 (2010), “국가 녹색성장정책 수립에 따른 고등학교에서의 녹색환경교육 방향”, 서울: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이철규 (2007), “재래시장의 활성화 사업의 개선방안 연구-정부지원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지, 5(2). 127-142.

24.

이현훈 (2008), “녹색성장과 강원도, 춘천”. 강원발전연구원, 1-62.

25.

임용택, 전성모 (2010), “재래시장의 유형별 특성과 활성화 방안”.지역발전연구, 10(1), 165-189.

26.

임진, 김영기, 이민권, 김유오, 윤명길 (2011), “전통시장 관련법 개정 방안에 대한 고찰 : 성남 모란시장을 중심으로“, 유통과학연구, 제9권 제2호, 37-47.

27.

임창희 (2008), 조직행동,제4판, 서울: 비엔앰북스. 131-139.

28.

정난호, 김남면, 성일석 (2006), “소매업태에 대한 소비자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대전지역 재래시장, 중형마트(SSM),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 유통과학연구, 제4권, 제2호, 41-63.

29.

중소기업청 (2008), 전통시장 활성화 종합계획, -시장유형별·특성별육성전략.

30.

최호규, 윤정근 (2008), “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재래시장 발전방향: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유통과학연구, 제6권 제1호,25-46.

31.

환경부 (2008), 유통매장 친환경상품 판매장소 설치·운영현황 조사.

32.

Bandura, A. (1977),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N.J.:Prentice-Hall.

33.

Breckler, S.K. (1984), “Empirical validation of affect, behavior and cognition as district components of attitud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Man, 1191-1205.

34.

Brown, M. E. (1969), “Identification and some conditions of organizational involvemen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5,346-355.

35.

Buchanan, B. (1975), “Red tape and the service ethic: Some unexpected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managers“,Administration and Society, 6, 423-438.

36.

Cook, J. & Wall, T. (1980), “New Work Attitude Measures of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sonal Need Nonfulfillment”,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3,39-52.

37.

Fishbein, M. & Ajzen, I. (1956),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Mass: Addison Wesley Publishing Co., 1975, p.6

38.

R.B.Cattel, and A, Baggaley, "The Objective Measurement of Attitude Motivati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inciples and Devices," Journal of Personality, 1957, 421.

39.

Gambetta, D. (1988),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Oxford, UK: Basil Blackwell.

40.

Gist, M. E. & Mitchell, T. R. (1992), “Self-efficacy: A Theoretical Analysis of Its Determinants and Malleabil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7(2), 183-211.

41.

Hill, C. W. L. (1990), “Cooperation, opportunism, and the invisible H&: Implications for transaction cost theor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5(3), 500-513.

42.

Hosmer, L. T. (1995), “Trust: The connecting link between organizational theory and philosophical ethic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0, 379-403.

43.

Kraimer. M. L., Wayne, S.J. & Liden, R.C. (2005), " The Role of Job Security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ptions of Temporary Workers and Employees'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350-362.

44.

Lazarus, R. S. (1982), "Thoughts on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 and Cognition", American Psychologist. 37, 1019-1024.

45.

Lewicki, R. J. & Bunker, B. B. (1996), “Developing and maintaining trust in work relationships”, In Kramer, R.M., and Tyler,T.R. ed., Trust in organizations: Frontiers of theory and research,Thousand Oaks, CA: Sage, 114-139.

46.

Lewis, J. D. & Weigert, A. (1985), “Trust as a Social Reality”,Social Forces, 63, 967-985.

47.

Mowday, R. T., Steers, R. M. & Porter, L. W. (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 224-247.

48.

Nunnally, J. C. (1978), Introduction to Psychological Measurement,New York: McGraw-Hill.

49.

Powell, D.M. & Meyer, J.P.(2004), “Side-bet theory and the three-component mod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5, 157-177.

50.

Rotter, J.B. (1971), “Generalized expectancies for interpersonal trust”,American Psychologist, 26, 443-452.

51.

Williamson, O. E. (1985), The economic institution of capitalism.New York: Free Press.

52.

Zand, D. E. (1972), “Trust and managerial problem solving”,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7(2), 229-239.

Th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J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