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이 연구는 애착이론을 노인전집에 적용하는 최근의 연구들을 개관하고 미래연구를 위해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과제들을 제안하였다. 비록 그 수가 많지는 않지만, 최근 노인들의 애착관계에 관해 수행된 연구들을 5가지 주제(애착대상의 변화, 신에 대한 애착, 애착양식의 변화, 애착과 보살핌 제공자-수령자간의 관계 및 애착과 노년기 안녕 및 사별의 관계)로 구분하여 개관하고 이러한 주제들을 역점두어 연구하면서도 후속연구에서 해결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는 5가지 과제를 제안하였다. 즉 애착유대와 일반적인 애정적 유대의 구분, 애착척도의 문제, 종단연구의 필요성, 애착행동체계와 다른 관련 행동체계들의 상호작용 문제 그리고 거부형 애착비율의 증가문제가 제안되었다. Bowlby가 개인의 애착표상은 ‘요람부터 무덤까지’ 영향을 준다고 주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애착에 관한 연구는 영아기나 아동기의 애착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성인기에서의 애착연구는 낭만적 관계나 결혼관계에서의 애착문제에 한정되었다. 그러나 노년기는 분리와 상실, 질병과 고통으로 괴로움을 겪기 쉬운 시기이므로 이 시기 동안의 애착관계에 대한 연구는 노년기 안녕을 증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논의되었다.
This study reviewed the research applying attachment theory to older populations and suggested the tasks for future research. Research themes being addressed in this review are as follows: (1) changes of attachment figures; (2) attachment to god; (3) changes of attachment style; (4) relationships of giver-receiver in caregiving; (5) relationships of attachment to wellbeing and bereavement. For future research of themes reviewed in this study, 5 problems to need to be solved were suggested. Although Bowlby asserted attachment representations were likely to exert influence 'from the cradle to the grave', early attachment studies were based heavily on observations of infants and children and in later romantic relationships or marital relationships of adults. As the potential for distressing separation and loss experiences increases with old age, attachment study would contribute to improve the well-being in old age.
이 연구는 애착이론을 노인전집에 적용하는 최근의 연구들을 개관하고 미래연구를 위해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과제들을 제안하였다. 비록 그 수가 많지는 않지만, 최근 노인들의 애착관계에 관해 수행된 연구들을 5가지 주제(애착대상의 변화, 신에 대한 애착, 애착양식의 변화, 애착과 보살핌 제공자-수령자간의 관계 및 애착과 노년기 안녕 및 사별의 관계)로 구분하여 개관하고 이러한 주제들을 역점두어 연구하면서도 후속연구에서 해결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는 5가지 과제를 제안하였다. 즉 애착유대와 일반적인 애정적 유대의 구분, 애착척도의 문제, 종단연구의 필요성, 애착행동체계와 다른 관련 행동체계들의 상호작용 문제 그리고 거부형 애착비율의 증가문제가 제안되었다. Bowlby가 개인의 애착표상은 '요람부터 무덤까지' 영향을 준다고 주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애착에 관한 연구는 영아기나 아동기의 애착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성인기에서의 애착연구는 낭만적 관계나 결혼관계에서의 애착문제에 한정되었다. 그러나 노년기는 분리와 상실, 질병과 고통으로 괴로움을 겪기 쉬운 시기이므로 이 시기 동안의 애착관계에 대한 연구는 노년기 안녕을 증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논의되었다.
This study reviewed the research applying attachment theory to older populations and suggested the tasks for future research. Research themes being addressed in this review are as follows: (1) changes of attachment figures; (2) attachment to god; (3) changes of attachment style; (4) relationships of giver receiver in caregiving; (5) relationships of attachment to wellbeing and bereavement. For future research of themes reviewed in this study, 5 problems to need to be solved were suggested Although Bowlby asserted attachment representations were likely to exert influence 'from the cradle to the grave' early attachment studies were based heavily on observations of infants and children and in later romantic relationships or marital relationships of adults. As the potential for distressing separation and loss experiences increases with old age, attachment study would contribute to improve the well-being in old age.
아동의 정신건강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자기조절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고조되면서 자기조절 능력의 기초가 되는 기질 차원인 통제노력에 관한 연구가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통제노력에 대한 최근의 연구를 개관하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들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질 이론의 틀 안에서 통제노력을 정의하고 그 발달과 측정방법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아동의 통제노력과 심리적 적응과의 연관성, 그리고 통제노력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 중 하나인 부모의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를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통제노력과 관련하여 앞으로의 연구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Due to a growing interest in the role of self-regulation in children's mental health, there has been a dramatic increase in research on child effortful control, a temperamental basis of self-regulation. The aims of this article were to review recent developments in the study of child effortful control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First the construct of effortful control was defined within the framework of Rothbart's temperament theory. Early development and commonly used measures of effortful control were also described. Further, recent studies on the relations between child effortful control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the effects of parenting on the development of effortful control were reviewed. Finally, future directions for the study of child effortful control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과제 개입 행동이 아동의 정서표현과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화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서울과 오사카에 사는 만6세 아동과 어머니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두 나라에 동일한 관찰실을 구성하고 아동과 어머니가 마주앉아 받아쓰기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개입 행동과, 아동의 정서표현, 아동의 자기조절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분석 준거를 통일하였다. 녹화된 행동을 각국에서 두 명의 코더가 먼저 분석하고 이후 자료를 교환하여 점검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과 일본 모두 공통적으로 어머니의 통제적 개입 행동이 아동의 짜증을 유발하였으며, 아동의 부적 정서표현이 높을수록 자기 조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어머니의 도움 주기가 아동의 부적 정서표현과 관련이 있었던 반면, 일본에서는 그렇지 않았으며, 일본 어머니의 격려는 아동의 정적 정서표현과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유사성과 차이점은 각국의 문화적 특성을 기반으로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ultural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mothers' involvement in children's task performance. The cultural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mothers's involvement on children's emotion expression and self-regulation were also examined. Sixty five Korean children and seventy eight Japanese children at age 6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teractive behaviors of mothers and children were videotaped and analyzed by coders. Results showed that Japanese mothers showed helping behaviors and encouragement more frequently than did Korean mothers. In addition, Japanese children expressed more smiles than did Korean children. About mother-child relationship, helping behaviors of Korean mothe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but this relation was not significant for Japanese mother-child dyads. Mothers' encouragem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hildren's positive emotion in the Japanese group, but not in the Korean group.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Japan.
은퇴한 지 3년 미만인 50세 이상의 남성 72명을 대상으로 자기존중감과 낙관성, 은퇴환경 및 다양한 배경변인이 은퇴만족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은퇴만족과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의 중다회귀 분석 결과, 은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존중감과 주관적 경제상태, 그리고 은퇴연령은 은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낙관성, 주관적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교육수준, 그리고 은퇴선택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주관적 경제상태는 은퇴만족과 주관적 안녕감 모두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확인되었으나, 자기존중감은 은퇴만족에만 영향을 주며, 낙관성은 주관적 안녕감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은퇴만족과 주관적 안녕감이 은퇴 적응의 지표로서 서로 보완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Seventy-two retired men less than three years from their retirement participated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of retirer's self-esteem, optimism, conditions of workforce exit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with their retirement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 differential effects of predicted variables. Self-esteem, perceived economic status, and age in retirement were associated with retirement satisfaction, but optimism, perceived economic status, perceived health condition, education level, and voluntary choice of retirement were associ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A noticeable finding was that self-esteem predicted retirement satisfaction but optimism predicted subjective well-being. The limitation and its implic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의 만 3, 4세 아동들이 타인의 거짓말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사실을 추론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1에서는 아동들에게 거짓말쟁이 인형을 소개하고, 인형의 말을 통해 실제 사탕이 숨겨져 있는 위치를 알아맞히는 과제를 실시하였다. 3세 아동들은 거짓말쟁이 인형의 말을 그대로 믿는 경향을 보였고, 4세 아동은 무작위반응을 보였다. 연구 2에서는 아동들에게 인형이 거짓말을 하는 동기에 대해 명확한 설명을 제시하였고, 첫 번째 시행 이후 사탕이 인형이 말한 장소와 반대 장소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아동들의 수행이 향상되었다. 3세 아동은 무작위 반응을 보였고, 4세 아동은 거짓말쟁이 인형의 말의 내용과 반대의 장소에 사탕이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개별 시행 분석 결과, 특히 두 번째 시행에서 3, 4세 아동들 모두 사탕이 거짓말쟁이 인형이 한 말의 내용과 반대의 장소에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었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거짓말 이해와 사실추론 능력의 발달 과정을 한국 아동을 대상으로 검증하였으며, 특질과 행동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 능력의 발달 과정의 문화 차에 대한 연구의 새로운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 기대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ree- and four-year-old children's ability to infer true information based on others' lies. In Study 1, children were asked to guess the true location of a candy after listening to a liar puppet's statement about the candy's location. Three-year old children merely trusted the statement of the liar puppet, and four-year old children did not show any systematic pattern. In Study 2, several changes were made. First, the experimenter showed the children the true location of the candy after the first trial and thus children witnessed that the liar puppet's statement about the candy’s location was false. Second, the puppet's motivation to deceive the child was clarified. In study 2, children's overall performance improved. Especially, both three- and four- year-old children performed better at the second trial. This research adds to the evidence on Korean children's understanding of lying and their ability to infer truth based on others' lies. This research has implications for further cross-cultural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abilit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s' traits and behaviors.
본 연구의 목적은 만 3∼5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정서인식과 정서수용 및 양육태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3∼5세 자녀를 둔 저소득가정 20가정과 중류가정 20가정, 총 40가정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수학습게임을 이용하여 15분간 모-자녀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저소득가정 어머니는 중류가정에 비하여 긍정적 정서표현성이 낮고, 온화함/애정 양육태도를 적게 보이며, 적개심/공격성, 냉담/무시, 일관적 거부, 통제적 양육태도를 많이 보였다. 또한 자녀의 정서에 대한 정서인식 및 정서수용도 낮게 나타났다. 둘째, 저소득가정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과 온화함/애정 양육태도, 부정적 정서표현성과 냉담/무시 양육태도가 의미 있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저소득가정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성은 냉담/무시 양육태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expressiveness, emotional awareness and acceptance, and parenting attitude of mothers who have children aged 3 to 5 from low and middle income families. For this study, surveys were conducted with the mothers who have children aged 3 to 5 from total 40 families, which consisted of 20 low income families and 20 middle income families in Seoul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using a teaching task that lasted about 15 minutes was observ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the mothers from low income families express relatively lower positive emotion, less warm/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s and more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uch as hostility/aggression, indifference/neglect, undifferentiated rejection and control compared to the mothers from middle income families. Low income mothers also showed lower emotional awareness and acceptance with their child's emotion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warm and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s, as well as between the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different/negligent parenting attitudes from the low income mothers. Thir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of low income mothers can predict the indifferent and negligent parenting attitudes.
본 연구에서는 또래괴롭힘의 주도적 가해자 혹은 방어자에 따라 마음읽기, 도덕적 이탈, 도덕적 정서(죄책감, 수치심, 정서적 공감)에서 차이가 발생하는지, 그리고 도덕적 이탈과 도덕적 정서가 마음읽기와 또래괴롭힘 행동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중학교 1, 2학년 582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의 마음읽기 능력, 가해행동, 방어행동, 피해경험, 정서적 공감에서 성차가 발견되었고,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서 도덕적 이탈과 가해행동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의 경우, 죄책감과 가해행동 간의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확인되었고, 남학생의 경우에는 정서적 공감과 방어행동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주도적 가해집단과 방어집단으로 연구 대상을 분류한 뒤, 주요 변인에서 성별과 집단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과 집단의 주효과가 도덕적 이탈과 도덕적 정서에서 각각 나타났으며, 성별과 집단의 상호작용 효과도 도덕적 이탈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서 마음읽기 능력의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전체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마음읽기와 도덕적 이탈, 도덕적 정서, 가해행동 혹은 방어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서 죄책감은 마음읽기 능력과 가해행동, 방어행동을 매개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고, 남학생의 경우에는 정서적 공감 또한 마음읽기와 방어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makes differences between proactive bullies and defenders even though they have similar theory of mind (ToM) skills. Thus, moral disengagement and moral emotions(guilt, shame, affective empathy) were selected as mediating variables that would contribute to group differences. For this research, the self-report data of 582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analyzed. Results indicate that proactive bullies and defenders were similar in their ToM skills. However, proactive bullies reported the higher level of moral disengagement than defenders. Compared to proactive bullies, defenders reported more guilt and affective empathy. In addition, the interaction was significant between gender and participating roles in terms of moral disengagement. Female proactive bullies reported the highest level of moral disengagement. On path analysis, it was found that guilt fully mediated between ToM and bullying behaviors in both gender. The mediating effect of guilt was also apparent between ToM and defending behaviors in both gender. However, affective empathy fully mediated between ToM and defending behaviors only among boy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the suggestions for intervention were discussed.
한국어 복합 동사 중 동작을 표현하는 동작 동사들은 동작의 방식(예, 뛰다) 다음에 동작의 경로를(예, 넘다) 기술하는 방식 동사-경로 동사 의미 분포의 배열 규칙성을 보인다. 본 연구는 두 개의 동사가 복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고 주어와 목적어 등을 공유하여 각 동사에 대한 의미를 추출하기 어려운 복합 동사의 의미 습득에 이러한 배열 분포 규칙성이 활용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성인과 5세의 아동들에게 새로운 동사(예, 무삐다)를 복합 동사의 방식 동사의 위치나 경로 동사의 위치에 제시하고 주어진 두 개의 새로운 방식 동작과 경로 동작 중에서 새로운 동사의 의미에 해당되는 것을 고르도록 하여 동사의 순서적 위치에 따라 동사의 의미를 다르게 추출해 낼 수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선택 반응에서 성인과 아동 모두 방식 동사 위치에 제시된 경우의 수행이 경로 동사 위치에 제시되었을 때보다 높았다. 아동들은 선택 반응과 함께 응시 반응도 측정하였는데, 응시 반응 결과는 아동들이 동작의 유형과 동사 위치에 따라 다른 반응 경향을 보여 아동들이 적어도 암묵적으로 복합 동사의 배열 정보를 동사 의미 습득에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Serial verb constructions (SVC) contain more than two verbs in the same clause. Korean SVCs that particularly express motion events show a distributional regularity. Within SVC, manner verbs precede path verbs, and only rarely can path verbs appear before manner verbs.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5-year-old Korean learners can detect this regularity and utilize such cues in inferring the verb meanings of SVC. In a dialogue, participants first heard a novel verb either appearing in the manner position or the path position, and then were presented with an event that showed a novel manner and a novel path event combined. Then, the manner and path events appeared separately, and participants were asked to choose the meaning of the novel verb between the two events while their eye-gazes were recorded. Pointing and eye-gaze responses showed some sensitivity to verb's positional regularity within SVC and it's related mea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