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미혼남녀의 자기관이 결혼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이성관계의 경험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Self-Construals of Single Males and Females on Marital Values : Mediating Effect of Dating experience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대에서 30대 초반의 미혼남녀 266명(남성 134명, 여성 132명)을 대상으로 자기관이 결혼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이성관계 경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별, 학력 및 경제수준 등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자기관 및 결혼가치관, 이성관계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둘째, 결혼의향을 예측하는 주요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 이성관계경험 및 학력수준, 결혼가치관 등은 결혼의향을 유의하게 예측하고 있어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이성관계경험 및 결혼가치관을 가지고 있을수록 결혼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혼남녀의 자기관과 결혼가치관 관계에서 이성관계경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호의존적 자기관이 이성관계경험을 매개로 결혼가치관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독립적 자기관은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에 직접효과만을 보였다. 연구 결과, 자기관의 유형에 따라 결혼가치관에 차이를 보였으며, 상호의존적 자기관이 건강한 이성관계를 매개로 유의하게 긍정적인 결혼가치관 형성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single males and females, self-construals, marital value, dating relationship experiences, 미혼남녀, 자기관, 결혼 가치관, 이성관계 경험

Abstract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heterosexual dating experiences on the relations between self-construals and marital values of 266 single males and females (134 males and 132 females) in their 20s and early 30s. As a result,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elf-construals, marital value, and dating experi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education, and economic level.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ain factors for predicting marital intention, the heterosexual dating experience, educational level, and marital values predicts marital intention significantly. The marriage intention was high.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path analys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ating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truals and marriage value of single males and females,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influenced marital values through the experience of heterosexual relationship. Independent self-construals, on the other hand, had a direct effect on conservative marrital val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arital value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s of self-construals,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predicted the formation of a positively positive marital-values through a healthy dating relationship experiences.

keywords
single males and females, self-construals, marital value, dating relationship experiences, 미혼남녀, 자기관, 결혼 가치관, 이성관계 경험

참고문헌

1.

권인숙 (2003).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성의식 및 결혼관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경신, 이선미 (1998). 미혼남녀의 결혼관에 나타난 결혼 이데올로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1), 27-43.

3.

김동직, 한성열 (1997). 한국 대학생의 애착유형 분포와 대인관계 특성. 한국심리학회:사회 및 성격, 11(2), 91-109.

4.

김두섭 (2007). IMF 외환위기와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의 변화. 한국인구학, 30(1), 67-95.

5.

김보경 (2003). 독립적-상호의존적 자기관과 사회불안-공적 자의식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진아 (2014). 미혼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 관계와 사랑․결혼에 대한 태도 및 결혼의사의 관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태훈. 출산율 줄었다고? 2030 혼인가구는 늘었다. 경향신문. 2019년 1월 5일자.

8.

김혜영, 선보영 (2011).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 12(2), 3-35.

9.

문선희 (2012). 미혼여성의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이 결혼의향과 기대결혼연령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7(3), 5-25.

10.

민순옥 (2009).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이성관계 태도가결혼태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

양명순, 하정희 (2006). 자아해석 방식이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17(2), 85-105.

12.

원아름, 박정윤 (2016). 이성교제 중인 미혼남녀가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및 이성교제관계의 질과 결혼이미지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가족치료, 24(1), 145-166.

13.

원아름 (2015).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유가효 (1988). 청년기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상호작용과 자녀의 부모에 대한 동일시 및 자녀의 결혼태도 간의 관계: 대구시 고등학생, 대학생을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유홍준, 현성민 (2010). 경제적 자원이 미혼 남녀의 결혼 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33(1), 75-101.

16.

이보람 (2012). 대학생들의 결혼 및 출산의식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이삼식 (2006).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행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26(2), 95-140.

18.

이성희 (2008). 대학생의 결혼기대와 영향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4(2), 124-130.

19.

이영미, 김정희 (1997). 성역할 정체감, 사회적지지 및 일상적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9(1), 351-365.

20.

이인수 (1994). 韓國女性의 결혼전이 時期硏究: 생애과정관점으로 본 결혼전이 시기 결정요인.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이지원 (2006). 가족기능이 대학생의 결혼관 및 자녀관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지은 (1996). 청년기 자녀가 지각한 부-모간상호작용과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이 자녀의 결혼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23.

이해숙 (2003). 남녀 대학생의 원가족 정서성과결혼신화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전시현. 빅데이터로 2030세대 마음 속을 들여다보니⋅⋅⋅. 인더스트리뉴스. 2017년 12월 28일자.

25.

전영주 (2005).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분화와 이성교제 관계의 질, 결혼기대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정은주, 박현정. 출산율 ‘1명’ 사상 첫 붕괴…OECD 회원국 중 유일. 한겨레신문. 2019년 2월 28일자.

27.

조미랑, 한종철 (2004). 문화적 자기관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4(1), 397-398.

28.

조은영, 임성문 (2012). 자아해석과 주관적 안녕감 및 우울간의 관계: 인지적 유연성,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와 자기복잡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493-519.

29.

주영희, 정은숙, 심문숙 (2013). 대학생들의 결혼 및 자녀 가치관과 성태도 관련성 연구,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2013 Sep; 11(9): 267-278

30.

주나연 (2012). 미혼남녀의 결혼관과 출산의지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최영미, 박윤환 (2019). 결혼 및 출산에 대한인식변화 분석과 저출산 원인의 유형화. 시민인문학, 101-137.

32.

통계청 (2019). 2018년 출생, 사망통계 잠정 결과. 통계청 홈페이지.

33.

한영혜 (2018). 남․녀 양성평등교육, 어릴수록 ⋅남학생에 더 큰 효과. 중앙일보. 2018년3월 21일

34.

한창식. 저출산정책, 심폐소생술이 필요하다. 프레시안. 2019년 6월 17일.

35.

현경자 (2004). 기혼남녀의 자기관과 결혼만족의 관계 - 독립 및 상호의존적 자기관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 56(4), 239-268.

36.

현경자 (2010). 중도장애, 이혼과 같은 생애위기경험자의 자기해석 복합성과 심리적 안녕 -관점의 다각화, 자기수용,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 62(4), 193-222.

37.

홍성애, 윤혜려 (2012). 대학생의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가치관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6(3), 197-208.

38.

Chan, W. (2007).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SEM: A Sequential Model Fitting Method Using Covariance-Equivalent Specific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14(3), 326–346.

39.

Deci, E., & R. Ryan (199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Press.

40.

Eagly, A. H (1987). Sex differences in Social Behaviar: A Social-role Interpreta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41.

Fiske, A., S. Kitayama., H. Markus, & R. Nisbett (1998). Cultural Matrix of Social Psychology edited by Gilbert, D., S. Fiske & G. Lindzey, Boston. MA: McGraw Hill.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2(4), 915-981.

42.

Gilligan, C. (1982). In A Different Voice: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73361(검색일: 2019. 7.8)

43.

Maccoby, E. E. (1990). Gender and Relationships:A Developmental Account. American Psychologist, 45(4), 513-520.

44.

Markus, H., & Kitayama, S. (1991). Culture and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2), 224-253.

45.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46.

Singlis, T. M. (1994). The measurement of Independant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0(5), 580-591.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