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The Effects of College Women’s Domestic Violence Experiences on Dating Violence Exposure: Mediated Effect of Explicit and Implicit Gender Stereotypes

Abstract

This study will provide the correlation of dating violence with: family violence, implicit and explicit gender stereotypes, and define mediated effect on each process related. The participants were 52 college students who had the experience of dating relationship.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CTS(The Revised Conflict Tactic Scale), ABI(Abusive Behavior Inventory), Explicit gender stereotype. Implicit gender stereotype that has become very popular in psychology recently is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IAT; Greenwald, McGhee, & Schwartz, 1998).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independent t-test,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amily violence and implicit gender stereotype, dating violence. Family violence victim group between family violence non victim group suggests that difference significantly by IAT. Implicit gender stereotype had full influence on dating violence.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Family violence, Gender stereotype, Dating violence, IAT, 가정폭력경험, 데이트폭력, 명시적 성 고정관념, 암묵적 성 고정관념

Reference

1.

김경신, 박옥임, 정혜정 (1999). 가부장적 관점에서의 가정폭력: 아내학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 213-239.

2.

김예정, 김득성 (1999). 데이팅관계에서 폭력 집단의 특성과 신체적 폭력 발생의 맥락.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187-211.

3.

김예정, 김득성 (1999). 대학생들의 데이팅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Ⅰ): 가해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7(10), 27-42.

4.

김예정, 김득성 (1999). 대학생들의 데이팅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Ⅱ): 피해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17(3), 187-202.

5.

김용미, 김현옥 (2000). 고교생의 이성교제 중 신체적, 심리적 폭력사용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2(3), 183-194.

6.

김은경, 엄애선 (2010). 가정폭력 목격이 자녀의 데이트 성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역할 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4), 759-777.

7.

김은영 (1991). 한국인의 성 고정관념에 대한 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재엽 (2002). 한국 부부의 의사소통과 가정폭력. 성곡논집 제33권, 성곡학술문화재단.

9.

나은영, 권준모 (2002). 암묵적 연합 검사에 의한 지역 편견의 강도 측정 및 응용: 사투리 음성자극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호지: 사회 및 성격, 16(1), 51-74.

10.

박유정 (2000). 대학생의 성 고정관념과 성역할 정체감 및 자기의식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서경현 (2002). 청소년들의 데이트 폭력 가해 행동에 대한 사회학습적 변인들과 분노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8(2), 1-15.

12.

서경현, 김봉진, 정구철, 김신섭 (2001). 대학생들의 연애폭력과 예측변인. 대한여성건강학, 2, 75-98.

13.

서경현, 안귀여루 (2007). 데이트 폭력의 공격적 피해 여성들의 특성과 연인관계에 대한 개입.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3, 77-95.

14.

서경현, 이경순 (2002). 데이트 폭력 경험자들의 분노, 정신병적 경향성 및 중독성.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3), 353-368.

15.

서경현, 이영자 (2001). 고등학생들의 연애폭력의 예측변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7, 91-106.

16.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

17.

손승아 (2004). 대학생 성폭력 예방을 위한 심리적 건강교육: 데이트 성폭력을 중심으로. 대한여성건강학회.

18.

신성자 (1997). 남자대학생들의 데이트 강간성향 파악과 대처 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32, 181-211.

19.

유선영 (2000). 여대생의 가정 폭력 피해와 이성교제 폭력 간의 매개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이선자 (1996). 성역할 구분에 대한 이론 고찰과 창문이론 명명하기. 한국여성심리연구회지: 창간호, 1, 29-42.

21.

장성숙 (2003). 한국문화와 현실역동상담의 상담자·내담자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치료, 15(2), 147-160.

22.

장희숙 (2002). 부모의 폭력 및 지지행동이 이성교제 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50, 131-155.

23.

현혜순 (2005). 아내폭력 가해자 집단치료 프로그램 개발 가능성 탐색: 여성주의 인지행동 접근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Bandura, A. (1973). Aggression: A social learning perspective. NJ: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25.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26.

Carlson, B. E. (1987). Dating violence: A research review and comparison with spouse. The Journal of Contemporary Social Work, 68(1), 16-23.

27.

Greenwald, A. G., McGhee, D. E., & Schwartz, L. K. (1998).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implicit cognition: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 1464-1480.

28.

Henton, J., Cate, R, Koval, J., Lloyd, S., & Christopher, S. (1983). Ramance and violence in dating relationships. Journal of Family issues, 4(3), 467-482.

29.

Kaura, S. A., & Lohman, B. J. (2007). Dating violence victimiza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mental health problems, and acceptability of violence: A comparison of men and women. Journal of Family Violence, 22, 367-381.

30.

Lichte, E. L., & McCloskey L. A. (2004). The effects of childhood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on adolescent gender-role beliefs and dating violence.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8, 344-357.

31.

Makepeace, J. M. (1981). Courtship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Family relations, 30, 97-102.

32.

Marshall, A. D., Jones, D. E., & Feinberg, M. E. (2011). Enduring vulnerabilities, relationship attributions, and couple conflict: An integrative model of the occurrence and frequency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5, 709.

33.

Muehlenhard, C. L., & Linton, M. A. (1987). Date rape and sexual aggression in dating situations: Incidence and risk factor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2), 186-196.

34.

O'Keefe, M. (1997). Predictors of dating violence among high school student.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2, 546-569.

35.

Peled, E. (1997). Intervention with children of battered women: a review of current literature, Child abuse and Neglect.

36.

Straus, M. A., Hamby, S. L., Boney-McCoy, S., & Sugarman, D. D. (1996). The revused conflict tactics scales(CTS-Ⅱ). Journal of Family Issues, 17, 283-316.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