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대학생의 무조건 자기수용이 성 평등 의식에 미치는 영향: 다양성 수용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on College Students'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The Mediating Effect of Diversity Acceptance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무조건 자기수용이 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다양성 수용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에 재학생 723명(남: 405명, 여: 3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과 Baron & Kenny(1986)가 제안한 회귀분석 절차를 사용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조건 자기수용과 다양성 수용, 성평등의식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조건 자기수용과 성평등의식의 관계에서 다양성 수용의 매개효과는 부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한점을 제언하였다.

keywords
무조건 자기수용, 다양성 수용, 성평등 의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cepting diversity in the effects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o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723 students (male: 405, female: 318)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verifi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a regression analysis procedure proposed by Baron & Kenny (1986),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diversity acceptance,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mediating effect of diversity acceptance was partially significant.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limita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suggested.

keyword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diversity acceptanc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logo